• 제목/요약/키워드: 그룹코칭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진로탐색행동 개선을 위한 자기가치확인 기반 그룹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program based on self-affirmation theory to improve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exploration)

  • 권영미;김면수;용정순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2호
    • /
    • pp.21-46
    • /
    • 2023
  • 본 연구는 자기가치확인 이론(self-affirmation theory)을 기반으로 대학생들의 진로탐색행동 개선을 위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서울 소재 대학의 재학생들로, 방학기간 동안 각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한 학생들이었다. 그룹코칭 프로그램은 3주간 주 2회, 총 6회 실시되었고, 1회기의 시간은 2~2.5시간이었다.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자기가치확인과 관련된 다양한 심리적 변수와 대학생들의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18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 비교집단, 무처치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비교한 혼합변량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실험집단인 그룹코칭 참가자들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 참가자들에 비해 긍정심리자본, 진로 자기효능감, 개방성, 문제해결중심 대처 및 진로탐색행동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 프로그램 종료 4주 후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가 이론이나 현장에 갖는 의의와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회복 탄력성 향상을 위한 청소년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y Friends Youth Group Coaching Program for Improving Resilience)

  • 정현규;김현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184-193
    • /
    • 2021
  • 본 연구는 FRIENDS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효과가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FRIENDS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2. FRIENDS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에 어떠한 차이 가 있는가? 연구문제 3. FRIENDS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회복탄력성의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그룹코칭 실시 사전과 사후, 추후 검사를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전과 사후, 추후검사를 Reivich와 Shatte의 RQT에 근거하여 김주환씨가 계발한 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 KRQ-53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FRIENDS 프로그램의 관련 자료와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지도 교수의 자문을 받아 본 연구자가 연구대상자에 알맞게 수정하여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실시는 매회기 5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FRIENDS 그룹코칭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인학습자 대상 메타인지 학습능력 증진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Program on Improving Metacognition Learning Ability for Adult Learners)

  • 김현진;김태희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2호
    • /
    • pp.47-7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업상황에서 메타인지 학습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주제 및 목표는 '메타인지적 지식'에 속하는 요소들의 이해와 적용에 초점을 두었으며, 각 세션은 '메타인지적 조절' 의 요소인 '계획-점검-조절'을 코칭 REGROW모델에 통합하여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A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대학생들 중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할당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대기자집단으로 본 연구 완료된 후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메타인지 학습능력 검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 지각된 메타인지적 학습능력 전체 및 하위영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고했으며, 메타인지에 대한 지식,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적용이 높아졌으며, 집단코칭 방식이 유익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GROW모델을 활용한 1:1 코칭과 예시 아이디어가 신제품 개발 아이디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1:1 coaching and the example ideas with the GROW model on the creativity of new product development ideas)

  • 황현희;정문선;김근배;김보민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2호
    • /
    • pp.1-24
    • /
    • 2021
  • 본 연구는 GROW모델을 활용한 1:1코칭과 예시 아이디어가 신제품 아이디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실험 연구이다. 참여자는 신제품 개발 관련 업종과 관계가 없는 성인 32명으로 구성하였으며, 1:1 코칭 그룹, 예시 아이디어 그룹, 통제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참가자가 답변한 아이디어는 실험 후 전문가 집단 4인이 참신성, 적합성, 지불의사가격을 측정해 아이디어 창의성을 평가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30명의 실험자료와 3명의 전문 평가 자료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GROW 모델을 활용한 1:1 코칭은 신제품 아이디어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참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예시 아이디어 그룹은 참신성과 적합성에서 통제집단을 포함한 세 그룹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아 아이디어 창의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업무나 상황에서 코칭 활용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PDF

대학생 성장지향성 증진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성장지향성, 삶의 만족도, 지각된 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사회인지동기모형을 기반으로 (Effects of the Group Coaching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Growth Orien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on Growth Orientation, Life Satisfaction, Perceived Stres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Model of the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 경일수;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3호
    • /
    • pp.231-26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지동기모형을 기반하여 개발한 대학생의 성장지향성 증진 그룹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성장지향성, 삶의 만족도, 지각된 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대인관계 변인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프로그램은 성장지향에 유용한 성장지향성, 마인드셋과 뇌의 가소성, 자기 주도적 목표설정, 재능은 지속적 노력의 산물, 실패태도와 관점 변화, 긍정적 정서·사고 및 행동, 타인 이해, 성장지향 가치와 셀프코칭의 8가지 주제이고, 1회 120분씩 총 8회기로 구성하였으며, 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전문가의 평가와 참여자의 피드백 등을 토대로 일부 프로그램을 수정하였다. 본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신청한 대학생 48명을 16명 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 통제집단으로 배치한 후, 실험집단은 성장지향성 증진 그룹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암묵증진이론에 기반한 학습목표지향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어떤 프로그램도 실시하지 않았다. 세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후, 프로그램 종료 후 1개월·3개월 후의 시점에서 성장지향성, 삶의 만족도, 지각된 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대인관계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세 집단이 동질 집단인지를 조사한 후, 시점과 집단에 대한 변량분석으로 상호작용효과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성장지향성 증진 그룹코칭이 성장지향성, 삶의 만족도, 지각된 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대인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효과가 있었고 효과크기가 커서 비교 프로그램보다 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코칭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지속되었고, 효과크기가 커서 비교 프로그램 보다 더 효과적으로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성장지향성 증진 그룹코칭을 통해 대학생의 성장지향성, 삶의 만족도, 긍정심리자본, 대인관계 능력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릿향상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태도성숙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it Enhancement Group Coaching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오경화;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4권1호
    • /
    • pp.21-4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차적으로 장기적인 목표를 이루기 위해 끈기와 열정이 필요하다고 밝힌 그릿이 구조적 개입프로그램을 통해 향상이 가능한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또한 그릿향상이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참가자들은 서울시에 위치한 여자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희망하는 학생들을 선착순으로 모집하고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회기 당 90분으로 주 1회, 총 8회기로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시행 전 그릿과 진로준비행동,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검사를 시행하였다. 8주간 총 8회기의 그릿향상 그룹코칭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종료 시점 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그릿향상 그룹 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대생의 그릿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그릿이 향상됨에 진로준비행동, 진로태도성숙의 수준 모두 향상되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지속을 알아보기 위해 2주 뒤 추후검사를 실시한 후 분석한 결과, 평균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지속성을 유지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기술하였다.

  • PDF

동기/비동기 기반의 통합 E-코칭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E-Coaching system Based o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 김도연;김도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7
    • /
    • 2015
  • 지금까지 대부분의 코칭은 대면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인터넷을 활용한 e-코칭으로 확장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 e-코칭은 대면 코칭을 위한 보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코치와 피코치 간의 수평적 관계에서 언제 어디서나 소통할 수 있는 e-코칭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e-코칭은 전자문서, 비디오 채팅, 문자 채팅, 전화 등의 네 가지 형태가 일반적이다. 대부분의 e-코칭 방식은 접근성이 용이하나, 비디오 채팅은 우수한 가시성을 제공하나 동기방식을 요구한다. 이에 반해 전자 메일은 비동기 방식이며, 문서 작성 중심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기와 비동기를 지원하는 통합 e-코칭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한 e-코칭 시스템은 비동기 방식의 전자 메일과 동기 방식의 P2P(Peer to Peer) 비디오 채팅과 그룹 문자 채팅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비동기와 동시적인 방법을 함께 지원하여 개인 혹은 그룹 간의 규칙적, 비공식적 코칭이 가능할 수 있다.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hange Motivation Scale for Growth and Development)

  • 이은주;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1호
    • /
    • pp.59-8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Change Motivation for Growth and Development)를 '자신의 현재 행동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목표 달성을 위해 기꺼이 행동하도록 하는 힘'으로 정의하고, 일반 성인들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를 측정하는 척도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예비문항 개발을 위해 코칭 전문가 7명과 코칭 유경험자 9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일반 성인 55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후 3차례의 문항 분류 작업과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7개 요인, 83개 문항을 선정하여, 일반 성인 321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4개요인 42 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 척도의 구성개념 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 검증을 위해 일반 성인 631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1의 315명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그룹2의 316명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변화동기 척도의 구성개념을 검증하였다. 그룹1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1개 문항으로 구성된 3개 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룹2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개 요인구조의 수정모형 적합도가 양호하게 확인됨에 따라 성장 및 변화를 위한 변화동기 척도의 구성개념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 척도의 수렴타당도와 준거관련타당도 분석을 위해 다양한 변인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3개 각 요인은 대부분의 변인과 유의하게 관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제한점, 미래 연구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안드로이드 기반 휘트니스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공유 메커니즘 설계 (A Study on the Data Sharing Mechanism Design in Android-Based Fitness System)

  • 강희범;장재명;이종원;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14-616
    • /
    • 2015
  • 현재 U-Healthcare는 헬스, 치료중심의 건강관리 개념에서 향후 예방중심의 Wellness로 전문화 되고 있다. 그 중 Wellness는 U-Healthcare의 핵심 분야로 발전됨에 따라 휘트니스 시스템 분야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휘트니스 시스템에서는 트레이너와 사용자 간의 1:1 상담만이 가능했고, 트레이너의 수가 제한되어, 특정 시간대에 코칭을 받을 수 있는 사용자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개인이 받을 수 있는 코칭 시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휘트니스 시스템에서의 사용자의 BMI(Body Mass Index) 지수를 DB 테이블의 필드 값으로 그룹화 하여 관리하고, 트레이너가 BMI 지수가 상이한 다수의 사용자를 효율적으로 코칭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설계하고자 한다.

  • PDF

성공창업 실현 지원을 위한 효과적인 멘토링 플랫폼 구축방안: 한밭대 이노폴리스캠퍼스 육성사업을 중심으로 (Effective Mentoring Platform Alternative to lead a Successful Startup: In the Center of Hanbat Innopolis Campus Program)

  • 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6호
    • /
    • pp.143-152
    • /
    • 2016
  • 성공적 창업을 위해 창업자들을 지원하는 많은 시스템 중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이 멘토링 지원프로그램들이다. 이에 따라 관련 멘토 모집 및 멘토 운영프로세스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창업관련 멘토링의 성과에 대하여서는 많은 의구심을 가지는 것 또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성공창업 실현을 위해 효과적인 멘토링 플랫폼 구축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5년동안 진행해 온 한밭대 이노폴리스캠퍼스 육성사업의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요와 운영구조, 운영조직, 진행 프로세스 등에 대한 사례를 설명하고자 한다. 운영구조에서는 전문멘토그룹, 코칭그룹, 전문가그룹, 운영그룹 등을 통해 멘토링 플랫폼 구축하고 운영방식은 문제해결방식의 시스템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운영구조 중 코칭을 위한 전문가의 필요성과 멘토링 시스템을 통한 문제해결 프로세스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즉, 창 업자와 전문멘토들이 직접소통을 하는 데는 시간적, 물적 비용이 너무 소요됨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소통을 위한 준비를 해줄 창업전문가의 필요성과 이를 창업자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진행프로세스를 제안한다. 또한 성공창업의 사례를 예시로 보여줌으로써 멘토링 플랫폼 구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