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Group Coaching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Growth Orien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on Growth Orientation, Life Satisfaction, Perceived Stres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Model of the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대학생 성장지향성 증진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성장지향성, 삶의 만족도, 지각된 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사회인지동기모형을 기반으로

  • 경일수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 탁진국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Received : 2019.08.31
  • Accepted : 2019.12.24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growth orientation, life satisfaction, perceived stres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group coaching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growth orien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model of the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The program consisted of eight topics: growth orientation, growth mindset and brain plasticity, self-directed goal setting, talent which is a product of ongoing effort, failure attitude and perspective change, positive emotion, thinking and behavior, value of growth orientation and self-coaching, respectively. The program comprised a total of eight sessions, 120 minutes each, and the final program was completed through a preliminary experiment with three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48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16 in the experimental group, 16 in the comparative group, and 16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coaching program to enhance the growth orientation based on the model of the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a learning goal orientation improvement program based on an incremental implicit theory,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carry out any program. Three groups were tested in pre, post, follow-up1(after 1 month) and follow-up2(after 3 months) in order to growth orientation, life satisfaction, perceived stres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 performed analysis to confirm the homogeneity to the data of the three groups and to verify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s and group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coaching program to promote growth orientation, life satisfaction, perceived stres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n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mparative program due to the larger effective size. Also, we confirmed that the coaching effect was sustained after the program was finished and more effectively maintained than the comparativ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s because it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aching for the promotion of the growth orientation by scient ic method.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지동기모형을 기반하여 개발한 대학생의 성장지향성 증진 그룹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성장지향성, 삶의 만족도, 지각된 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대인관계 변인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프로그램은 성장지향에 유용한 성장지향성, 마인드셋과 뇌의 가소성, 자기 주도적 목표설정, 재능은 지속적 노력의 산물, 실패태도와 관점 변화, 긍정적 정서·사고 및 행동, 타인 이해, 성장지향 가치와 셀프코칭의 8가지 주제이고, 1회 120분씩 총 8회기로 구성하였으며, 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전문가의 평가와 참여자의 피드백 등을 토대로 일부 프로그램을 수정하였다. 본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신청한 대학생 48명을 16명 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 통제집단으로 배치한 후, 실험집단은 성장지향성 증진 그룹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암묵증진이론에 기반한 학습목표지향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어떤 프로그램도 실시하지 않았다. 세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후, 프로그램 종료 후 1개월·3개월 후의 시점에서 성장지향성, 삶의 만족도, 지각된 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대인관계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세 집단이 동질 집단인지를 조사한 후, 시점과 집단에 대한 변량분석으로 상호작용효과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성장지향성 증진 그룹코칭이 성장지향성, 삶의 만족도, 지각된 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대인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효과가 있었고 효과크기가 커서 비교 프로그램보다 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코칭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지속되었고, 효과크기가 커서 비교 프로그램 보다 더 효과적으로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성장지향성 증진 그룹코칭을 통해 대학생의 성장지향성, 삶의 만족도, 긍정심리자본, 대인관계 능력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