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래프의 정의 방식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4 seconds

The Study on Didactic Transposition for Teaching Statistical Graphs - The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and MiC's textbooks (그래프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 비교 -우리나라 교과서와 MiC 교과서의 초등 통계 내용을 중심으로-)

  • Lee, Kyung-Hwa;Ji, Eun-Jeung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8 no.3
    • /
    • pp.353-372
    • /
    • 2008
  • This study looks around the goals of teaching statistical graphs that are introduced in the seventh Korean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and in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NCTM, 2000), and these are compared. We compare how to transpose statistical graphs didactically between the Korean and MiC textbooks. For it, it examines the types of statistical graphs, the methods defining them, and the making connections and comparing among them, which are content components in the chapters on statistical graphs. The results show that in contrast to the Korean textbooks, NCTM(2000) has allowed students to develop their own expression for data, to compare results analysed within different graphs, and to consider a graph as a whole in the goals of teaching statistical graphs. MiC textbooks have introduced the number-line plot and the box plot more than Korean. Although both of Korean and MiC textbooks usually use extensive methods for defining individual graphs, the former use extensive methods together with synonymic methods and the latter use extensive method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raphs. Also, the number-line plot is defined using operative method in the MiC textbooks. MiC textbooks contain various activities for connecting and comparing graphs, but there are comparatively few comparing activities in the Korean textbooks.

  • PDF

The Implementation of Generalized Visibility Graph (일반화 가시화 그래프의 구현)

  • 안진영;유견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727-729
    • /
    • 2002
  • 가시화 그래프(visibility graph, Vgraph)는 로봇의 경로를 계획할 때, 최적의 경로를 구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는 지도접근 방식중의 하나이다. 원래 Vgraph는 다각형으로 모델링된 로봇이 다각형 환경의 평면상에서 움직일 때 움직이는 로봇을 점으로 환산한 환경인 형상공간(configuration space, C-공간)에서 정의되었는데 이를 원형 로봇 혹은 일반화 다각형(generalized polygon) 환경으로 확장한 것이 일반화 가시화 그래프(GVgraph)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다각형 환경에서 정의된 Vgraph를 형성하는 알고리즘과 동일한 시간복잡도로 GVgraph를 구현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미세 운동계획(fine motion planning)에 응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Didactic Transposition Method and Students' Understanding for Graph's Trail (그래프의 경로에 대한 교수학적 변환 방식과 학생들의 이해 분석)

  • Shin, Bo-Mi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3 no.2
    • /
    • pp.289-301
    • /
    • 2010
  • This study discovered that instructional objectives of graphs which are dealt with in Math I of the revised curriculum are not matched with those of Discrete Mathematics in the 7th Curriculum.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analysed didactic transposition method of trail in graph and matrix of Math I and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rail. Then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ough the concept definition of trail in Math I of the revised curriculum, some textbooks and students tend to consider it as the path. The concept definition of trail is significant in systems that deal with Euler Circuits(Euler Closed trail) and Hamilton Cycle. Then it is not easy to find the value of trail in Math I of the revised curriculum.

  • PDF

Network Operation Support System on Graph Database (그래프데이터베이스 기반 통신망 운영관리 방안)

  • Jung, Sung Jae;Choi, Mi Young;Lee, Hwa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05a
    • /
    • pp.22-24
    • /
    • 2022
  • Recently, Graph Database (GDB) is being used in wide range of industrial fields. GDB is a database system which adopts graph structure for storing the information. GDB handles th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graph which consists of vertices and edges. In contrast to the relational database system which requires pre-defined table schema, GDB doesn't need a pre-defined structure for storing data, allowing a very flexible way of thinking about and using the data. With GDB, we can handle a large volume of heavily interconnected data. A network service provider provides its services based on the heavily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network facilities. In many cases, their information is hosted in relational database, where it is not easy to process a query that requires recursive graph traversal operation. In this study, we suggest a way to store an example set of interconnected network facilities in GDB, then show how to graph-query them efficiently.

  • PDF

Planning Graph Heuristics for Forward State-Space Planning (전향 상태 공간 계획을 위한 계획 그래프 휴우리스틱)

  • Shin, Haeng-Chul;Kim, Man-Soo;Kim, 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264-268
    • /
    • 2006
  • Graphplan 계획기에서 유래된 계획 그래프는 탐색에 매우 유용한 휴우리스틱을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수단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향 상태 공간 계획방식을 정의한 뒤, 이 계획방식에 적용 가능한 계획 그래프 기반의 휴우리스틱 계산법들을 소개한다. 또 본 논문에서는 각 휴우리스틱 계산법이 갖는 특징을 정리하고 이들이 계획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해본다. 또한 이러한 전향 상태 공간 탐색 알고리즘과 휴우리스틱 계산법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전향 상태 공간 계획기인 JPLAN을 구현하였고 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 PDF

A Study on the Algorithm on Computing Model of Pulse Oximetry Using 2 Channel Sensor (2 채널 센서 펄스 옥시메터의 산소포화도 계산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김동철;이윤선;이경중;이성호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5
    • /
    • pp.573-579
    • /
    • 1999
  • 본 논문은 2채널 센서를 이용한 펄스 옥시메터의 산소포화도 계산 모델의 설계 및 분석에 관한 것이었다. 또한 Beer Lambert 법칙에 의거하여 기존 알고리즘 및 새로운 알고리즘들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손가락을 투과한 2개의 채널에서 나온 광신호를 각각 직류성분 Adc 와 맥동성문 Aasin wt. 잡음성분 Ahnoise , ALnoise 등으로 모델링한다. 모델링 되어진 광신호를 맥동성분이 적분비를 사용하여 고주파 동잡음인 AHnoise 를 제거한 후 각각 산소포화도 계산을 위한 상관계수 그래프를 구한다. 또한 2개의 채널에서 적분비를 사용하여 구해진 상관계수 그래프를 사용하여 산소농도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맥동성분비와 관혈적인 측정에 의한 혈중 산소포화도와의 상관관계 그래프의 선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펄스 옥시메터 시뮬레이터 오차범위를 고려해 75~100%상이의 산소포화도를 중점적으로 관측하였고, 4주기로 면적계산주기를 결정하여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는 맥동성분의 적분비를 이용한 방법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는 4주기의 면적계산 주기를 가졌을 때 기존의 방식보다 평균오차가 0.7%정도 향상되었으며, 회귀적선의 신뢰도를 보여주는 결정계수 ${\gamma}$$^2$도 0.995로 기존의 방식에서 나온 0.979보다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2채널을 이용한 방법이 A Lnoise 제거와 성능면에서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Fully Automatic Facial Recognition Algorithm By Using Gabor Feature Based Face Graph (가버 피쳐기반 얼굴 그래프를 이용한 완전 자동 안면 인식 알고리즘)

  • Kim, Jin-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2
    • /
    • pp.31-39
    • /
    • 2011
  • The facial recognition algorithms using Gabor wavelet based face graph produce very good performance while they have some weakness such as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and an irregular result depend on initial location. We proposed a fully automatic facial recognition algorithm using a Gabor feature based geometric deformable face graph matching. The initial location and size of a face graph can be selected using Adaboost detection results for speed-up. To find the best face graph with the face model graph by updating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graph, the geometric transformable parameters are defined. The best parameters for an optimal face graph are derived using an optimization techniqu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produce very good performance with recognition rate 96.7% and recognition speed 0.26 sec for FERET database.

A Study on Aspect Refactoring using Program Dependency Graph (프로그램 의존성 그래프를 이용한 어스팩트 리팩토링에 관한 연구)

  • Cho, Byoung-Hyoun;Lee, Seung-Hyung;Song, 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989-992
    • /
    • 2010
  • 리팩토링은 시스템의 기능 변경 없이 코드 구조를 재조정하여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성을 향상하기 위함이다. 기존의 어스팩트 리팩토링은 프로그램의 특정 부분을 어스팩트로 정의하여 리팩토링하거나 구현된 어스팩트 명세를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객체지향 프로그램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객체지향 리팩토링에 어스팩트 개념을 적용하기 위한 구체화된 접근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위해 프로그램 의존성 그래프를 이용한다. 리팩토링의 주요 어스팩트인 중복 코드는 프로그램 의존 그래프에서 노드 사이의 순서관계를 비교하여, 리팩토링을 위한 어스팩트 후보로 변환하며 이를 근거로 재조합 함으로써 캡슐화된 객체 내부의 리팩토링 요소를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다.

Notes On Inverse Interval Graph Coloring Problems

  • Chung, Yerim;Kim, Hak-J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4 no.10
    • /
    • pp.57-64
    • /
    • 2019
  • In this paper, we study a polynomially solvable case of the inverse interval graph coloring problem. Given an interval graph associated with a specific interval system, the inverse interval graph coloring problem is defined with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no proper K-coloring for the given interval graph, where K is a fixed integer. The problem is to modify the system of intervals associated with the given interval graph by shifting some of the intervals in such a way that the resulting interval graph becomes K-colorable and the total modification is minimum with respect to a certain norm.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case K = 1 where all intervals associated with the interval graph have length 1 or 2, and interval displacement is only allowed to the righthand side with respect to its original position. To solve this problem in polynomial time, we propose a two-phase algorithm which consists of the sorting and First Fit procedure.

Object Recognition using Entropy Measure on Line Features (특징 선분과 엔트로피 측도를 이용한 물체 인식)

  • Ko, San;Lee, Kyong-Mu;Zhang, Byo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5.05a
    • /
    • pp.135-14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크기, 회전, 위치의 변환과 물체의 가리워짐, 복잡한 이미지에 대해서도 강인하게 동작하는 새로운 물체 인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기하학적 해싱 알고리즘에서 착안한 정합 방식과, 새롭게 정의된 엔트로피 정합 측도를 도입함으로써, 노드 간의 대응 과정 없이도 물체의 전체 구조정보를 한꺼번에 정합에 이용 할 수 있게 하여, 기존의 노드 대응에 기반한 그래프 정합 기법이 가지고 있는 조합적 계산 복잡도를 개선하고, 동시에 노드 정보의 손실과 경험적으로 정해주어야 하는 변수들을 최소화 하였다. 속성 관계 그래프에 기반한 정합 기법과 제안 기법과의 성능 비교 실험 결과 정확도와 인식 속도 측면에서 제안 기법이 보다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