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Didactic Transposition for Teaching Statistical Graphs - The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and MiC's textbooks

그래프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 비교 -우리나라 교과서와 MiC 교과서의 초등 통계 내용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is study looks around the goals of teaching statistical graphs that are introduced in the seventh Korean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and in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NCTM, 2000), and these are compared. We compare how to transpose statistical graphs didactically between the Korean and MiC textbooks. For it, it examines the types of statistical graphs, the methods defining them, and the making connections and comparing among them, which are content components in the chapters on statistical graphs. The results show that in contrast to the Korean textbooks, NCTM(2000) has allowed students to develop their own expression for data, to compare results analysed within different graphs, and to consider a graph as a whole in the goals of teaching statistical graphs. MiC textbooks have introduced the number-line plot and the box plot more than Korean. Although both of Korean and MiC textbooks usually use extensive methods for defining individual graphs, the former use extensive methods together with synonymic methods and the latter use extensive method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raphs. Also, the number-line plot is defined using operative method in the MiC textbooks. MiC textbooks contain various activities for connecting and comparing graphs, but there are comparatively few comparing activities in the Korean textbook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NCTM(2000)의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에서 제시하고 있는 그래프 지도의 목표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교과서와 MiC 교과서에서 그래프를 어떻게 교수학적으로 변환하여 다루고 있는지 비교한다. 이를 위해 그래프 단원의 내용 요소로서 그래프의 종류와 정의 방식, 그래프 비교 활동에 대한 교수학적 변환 방식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그래프 지도 목표에서 우리나라에 비해 NCTM(2000)에서는 학생 스스로 자료를 표현하는 방법의 개발을 허용하며, 그래픽 표현 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를 비교하도록 한다. 또, 그래프를 통해 자료 전체에 주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는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두 교과서에서 다루는 그래프의 종류는 우리나라에 비해 MiC 교과서에서 number-line plot과 상자 그림을 더 다루고 있었다. 그래프를 정의하는 방법은 두 나라가 외연적 정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교과서는 외연적 방법과 동의적 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MiC 교과서는 외연적 정의 방법을 그래프의 특징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프간의 비교 활동은 우리나라 교과서가 매우 빈약한 반면에, MiC 교과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비교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