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군연소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1초

산소부화 조건에 따른 LNG 연소특성 연구 (Combustion Characteristic Study of LNG Flame in an Oxygen Enriched Environment)

  • 김혜숙;신미수;장동순;이대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3-30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용 보일러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산소부화 연소기술을 개발하는데 있다. 일차적으로 실험실 규모의 연소기에서 연소용 산화제를 공기에서 산소로 대체할 경우 화염특성 및 배출 오염물질의 특성변화를 수치해석을 통해 조직적으로 연구하였다. 첫 번째로 증가된 산소부화량의 결과로 나타나는 화염은 길고 가는 층류형상의 화염모양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은 산화제 중에서 질소성분이 감소함으로써 약화된 난류혼합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문헌에 발표된 실험결과와 그 경향이 일치하였다. 그리고 산소부화효과는 $N_2$ 가스에 의한 현열손실과 희석효과를 감소시키므로 연소로 내 화염온도를 실질적으로 크게 증가시키고 또한 $CO_2$$H_2O$ 농도분율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100% 순산소 연소가 아닌 경우 산소부화량 증가에 의한 화염온도의 증가는 thermal $NO_x$ 발생을 크게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산소부화에 따른 고온 특성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생성문제와 산화제의 유량 감소에 따른 화염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적절하게 재순환시키는 문제와 기타 운전 조건의 조절에 의한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예를 들어 화염의 버너선회와 형상변화가 연소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버너의 선회각을 변화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 $30\sim45^{\circ}$의 버너 선회는 LNG 연료의 연소효율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NO_x$ 발생량을 저감시켰다.상이었다. 5. 총당함량(總糖含量)은 담금기간(期間)에는 각(各) 시험구간(試驗區間)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성숙후기(成熟後期)에는 조미료(調味料)로서 간장을 첨가(添加)한 제국식(製麴式) 고추장에서 높았다.etection을 통하여 항진균 물질의 분자량은 약 2.4 kDa 정도이며, 항세균 물질의 분자량은 약 4.5 kDa으로_ 확인되었다. 따라서 B. subtilis MJP1은 항진균 활성과 항세균 활성을 가진 bacteriocin-like substances를 생산함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새로운 항미생물 물질은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 뿐만 아니라 항생제 대체 의약품으로도 활용이 기대되며, 이를 위하여 향후 이 물질들의 보다 정확한 구조 및 특성 규명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성도는 1시간째에 최저로 떨어지다가(대조치의 89%, p<0.05)이후 회복하기 시작하여 24시간째에 약간 대조치 이상으로 회복되었다. 5-HT의 turnover rate는 MAO활성도 변화와 거의 같은 변화를 보였다. 2) 만성투여시 (하루 2번, 14일간 투여)는 5-HT 함량, 5-HIAA 함량, MAO 활성도 및 5-HT turnover rate 모두가 중등도로 감소되었다. (각각 대조치의 87%, 69%, 80%, 79%). 3) MAO 활성도와 5-HT turnover rate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r=0.866, p<0.001, N=94). 4) MAO 활성도의 역동학 실험에서는 대조치에 비해 투여군에서 Km 값은 의미가 있는 증가가 있었으나 $V_{max}$값은 큰 변동이 없었다. 5) d-amphetamine을

열중성자로 핵계산을 위한 69군 단면적 라이브러리 생산 및 검증 (Generation and Benchmarking of a 69-group Cross Section Library for Thermal Reactor Applications)

  • Kim, Jung-Do;Lee, Jong-Tai;Gil, Choong-Sup;Kim, Hark-Rh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1권4호
    • /
    • pp.245-258
    • /
    • 1989
  • 열중성자로의 핵계산을 위한 69군 단면적 라이브러리를 생산하였다. 기본 평가핵자료로는 IAEA Nuclear Data Section에서 수집된 자료가, 그리고 이를 처리하여 군정수화 하는데는 NJOY코드가 이용되었다. 새로이 마련된 라이브러리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각기 산화우라늄과 금속 우라늄 연료로 구성된 임계실험치를 WIMS-KAERI 코드로 계산된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총 88임계결과에 대해 평균 $K_{eff}$ 값 0.9997, 그리고 표준 편차 0.69%를 보였다. PWR 연료의 연소결과로 얻어진 우라늄과 플루토늄 생성량에 대한 평가에서도 전반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었다.다.

  • PDF

간접 뜸 자극의 뇌파 평균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 Variations of EEG for the Indirect Moxibustion Stimulation)

  • 송홍복;윤동업;박동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914-1922
    • /
    • 2008
  • 한의학의 뜸 요법은 잘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도 쑥을 연소하여 시술하는 고전적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대체의학의 뜸 기기 개발에서, 뜸에서 반응하는 인체의 특징 및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뜸 요법에 대한 뇌파변화를 고찰하고자, 자극을 가하지 않은 무자극 대상군과 간접 뜸 방식을 적용한 대상군으로 나누어, 뜸 자극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관원(CV4), 신궐(CV8), 그리고 중완(CV12)의 경혈 점에 자극을 주어 뇌파 변화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숲가꾸기 산물의 적재형태에 따른 산불위험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Accumulation Types of the Leaving of Thinning Slash)

  • 이시영;이명욱;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5-53
    • /
    • 2008
  • 본 논문은 숲가꾸기 산물인 간벌목이 산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즉, 간벌목이 산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강원도 양양군과 인제군, 경기도 가평군의 숲가꾸기 실행지와 미실행 지역을 선정하였다. 이 조사대상지에 대하여 수종, 입지특성, 간벌강도, 숲가꾸기 종류, 간벌재의 적재행태 및 산불위험도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지인 양양군 5개소, 가평군 4개소, 인제군 5개소 총 14개 조사구에 대하여 숲가꾸기 실행지 9개소, 미실행지 5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숲가꾸기 미실행지 5개소는 숲가꾸기 실행지와 인접한 조사지역을 선정하였고, 숲가꾸기 실행지와의 산불위험도에 대해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숲가꾸기 실행지의 산물인 간벌목의 적재높이는 1 m 미만으로 적재되어 있어 산불연소시 수관부로 전파될 위험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적재된 간벌목과 임목간의 거리가 거의 붙어 있어 적재된 간벌목에 산불이 붙을 경우 임목 줄기부(수간)에 직접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적재된 간벌목이 많이 쌓여 있을 경우 이로 인하여 재발화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축물의 적재가연물 특성에 관한 연구 -대형서점의 적재가연물 연소발열성상- (Characterization of Live Fire Load in Buildings - Heat Release Characteristics of Typical Live Fire Load in Bookstore -)

  • 남동군;장곡견웅이;정종진;임우섭;사공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6
    • /
    • 2008
  • Heat release characteristics of live fire load are an important parameter for performance oriented fire safety design of a building. While investigation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fire load and its burning behavior in office, 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s and so on, little effort has been paid for the rational treatment of fire load in bookstore. In this report, burning behavior of typical combustible objects in bookstore are studied by measuring heat release rates of bookshelf with book.

  • PDF

실대화재시험의 연소성능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 적용 (Applying to simulation analysis for predicting the combustion performance of Large scale fire tests)

  • 김운형;박계원;정재군;임홍순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86-92
    • /
    • 2008
  • On this study, modeling works using Cone tools simulation method were made for the prediction of real fire test results such as small to large scale fire tests including ISO 5660-1, EN 13823 and ISO 13784-1. For those simulation prediction, three real fire tests were performed in advance. In addition, Real data from ISO 5660-1 test were applied to this simulation modeling. Finally,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Real fire tests and Simulation results were made out. Also, the Classifying evaluation by EURO Class using EN 13501-1 were taken off.

  • PDF

샌드위치 패널 연소특성 분석을 위한 실대규모 화재시험(ISO 13784-1) 적용 (Applying to ISO 13784-1 fire tests for analyzing the combustion properties of sandwich panel systems)

  • 임홍순;박계원;정재군;이길용;김정욱;정정호;이우석;김운형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12-116
    • /
    • 2008
  • The combustion properties of sandwich panels were tested according to ISO 13784-1(Room Corner Test for Sandwich panel building systems) method to supplement ISO 9705 Room corner test, and analyzed comparatively. Several variables including heat release rate, smoke production rate, FIGRA, SMOGRA, thermal configuration, visual check lists and so on, were analyzed for four materials on sandwich panel systems. Finally, Fire performances of test results on each material by ISO 13784-1 are categorized by apply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both EN 13501-1 and Eurefic research program

  • PDF

건축물의 적재가연물 특성에 관한 연구 -우체국 적재가연물의 연소성상 - (Characterization of Live Fire Load in Buildings - Heat Release Characteristics of Typical Live Fire Load in Post Office Building -)

  • 남동군;장곡견웅이;사공성호;정종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7-10
    • /
    • 2008
  • Heat release characteristics of live fire load are an important parameter for performance oriented fire safety design of a building. While investigation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fire load and its burning behavior in office, 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s and so on, little effort has been paid for the rational treatment of fire load in post office buildings in Japan. In this report, burning behavior of typical combustible objects in post office buildings are studied by measuring heat release rates of plastic palettes with and without postal envelopes or packages and special containers loading numbers of palettes. The test results suggest that dynamic heat release rate is highly dependent on the condition of palettes especially if they load appropriate amount of postal envelopes or not.

  • PDF

콘칼로리미터 연소가스 FT-IR 분석을 위한 국제표준 초안의 비교시험 결과분석 (Results of a Round-Robin Test for the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on FT-IR Gas Analysis of Fire Effluents from a Cone Calorimeter)

  • 최정민;박계원;정재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1-8
    • /
    • 2019
  • ISO TC 92에서는 콘칼로리미터의 연소가스를 FT-IR 방식의 가스분석기로 분석하기 위한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2018년에는 표준 초안(WD 21397)의 절차에 따라 6개 기관이 참여하여 표준 초안의 반복성 및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시험대상 시료는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경질 폴리우레탄 보드 및 PVC 장판이었고 콘칼로리미터 시험결과 중 착화시간(s), 최대 열방출률(kW·m-2), 총 방출열량(MJ·m-2) 및 유효연소열(MJ·m-2·kg-1)을, 그리고 FT-IR 가스분석결과 중 독성가스의 최대 농도(µL·L-1), 가스 발생량(g) 및 가스 수율(g·g-1)을 ISO 5725-2에 따라 통계 분석하여 정밀도를 평가하였다. 이상치(outlier)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콘칼로리미터 시험의 반복성(sr/m)은 1.5%, 재현성(sR/m)은 9.8%로 나타났고 FT-IR 가스분석의 반복성은 12.9%, 재현성은 27.9%로 나타났다.

룸코너 시험을 이용한 배관용 보온재의 난연성능 분석 (Evaluation of the Reaction-to-fire Performance of Pipe Insulation Material using Small Room Test)

  • 임옥근;남동군;장효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1-8
    • /
    • 2019
  • 천장이나 배관에 설치된 보온재의 연소로 인해 화재가 확산되는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수계소화설비의 배관보온재는 난연재료 성능 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배관보온재의 일부분을 시편으로 가공하여 난연성능을 평가하고 있지만 설치환경을 고려한 실규모시험을 통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발포폴리에틸렌폼 및 고무발포보온재를 실규모 시험기준인 ISO 20632에 따라 시험하고 유럽의 난연성능 분류 기준과 비교하였다. 배관보온재 재료별로 상이한 난연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발포폴리에틸렌폼보온재의 경우 시공방법에 따라 화재성장율 및 열방출율이 달라졌다. 화재발생 시 배관보온재로 인한 연소확산을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설치하는 대상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난연성능 적용이 필요하며, 시공 시 사용하는 접착제와 테이프 등 부자재의 난연성 또한 고려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