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조동정

검색결과 690건 처리시간 0.022초

영지버섯추출물 및 에르고스테롤의 냉감 수용체 TRPM8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ation Channel Melastatin Subtype 8) 발현 유도 효과 (Inductive Effects of the Cold Receptor TRPM8 Expression in Ganoderma lucidum Extracts and Ergosterol)

  • 유화선;정지연;전원옥;이춘몽;이정노;박성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5-21
    • /
    • 2018
  • UV 뿐 아니라 가시광선, 적외선에 의해 발생된 열로 인해 피부 온도 상승, MMP-1의 증가에 따른 피부 노화가 진행된다. 따라서 열에 의한 노화에서 피부 온도 조절은 노화 억제에 중요한 핵심 요소이다. 일시적인 수용체 전위 통로인 TRPM8은 멘솔 수용체(CMR1)로써 $25^{\circ}C$ 이하의 온도에서 활성화되고 시원한 감각을 발생시키는 냉 수용체로 보고되어 있다. TRPM8 조절을 통해 시원한 감각과 피부 온도를 조절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인 영지버섯을 이용하여 냉 수용체인 TRPM8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다. 영지버섯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TRPM8 발현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영지버섯추출물, n-hexane 분획물 및 water 분획물에서 농도의존적으로 TRPM8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Hex 분획물에서 유효성분을 찾고자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1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1H$$^{13}C$ NMR spectrum 분석을 통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에르고스테롤로 TRPM8 발현 증가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영지버섯추출물 및 에르고스테롤은 화장품 분야에서 새로운 쿨링 소재로서 개발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인삼근의 지질 분포 (Distribution of Lipids in Panax ginseng Root)

  • 김우갑;이창섭;정병갑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93-103
    • /
    • 1988
  • 인삼근의 구조적인 차이점에 따른 지질의 함량 및 지방질 조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chloroform-methanol로 추출한 지질을 column, thin layer, gas-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각 부위별 정제 지질은 1.08~2.23%로서 그 조성면에서 볼 때 중성지질은 64.2~73.5%였고 당지질은 15.4~17.4%였으며 인지질은 10.4~19.2%였다. 특히 피층에서는 중성지질의 함량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이곳에만 특징적으로 존재하는 지질분비관에서 합성 분비된 중성지질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점은 조직화학적 관찰 결과 분비관 내강의 분비물질이 nile blue에 적색의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더욱더 뒷바침 될 수 있었다. 중성지질 획분중에는 triglycerides, sterol esters and hydrocarbons 의 함량이 높았고 그외에 1,3-diglycerides, monoglycerides, 1,2-diglycerides, free sterols, free fatty acids와 미동정된 5종류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중심주에서는 unidentified II, IV 및 V가 검출되지 않은 점이 특이하였다. 당지질 획분 중에는 sterol glucoside, digalactosyl diglyceride 및 esterified sterol glucoside가 주성분이었고 미동정된 6종류가 검출되었다. 인지질 획분 중에는 phospatidyl glycerol,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주성분이었고 그 외에 phosphatidic acid, phosphatidyl inositol 및 미동정된 2종이 검출되었다. 각 부위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 획분 중에서 모두 18종류의 지방산이 동정되었는데 주요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였으나 각 지방산의 함량은 부위별 및 지질분획에 따라서 다소 상이하였다.

  • PDF

한국산 작살나무와 좀작살나무(마편초과)의 분류학적 형질 재검토 (Reconsideration of the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Callicarpa japonica Thunb. and C. dichotoma (Lour.) K. Koch (Verbenaceae) in Korea)

  • 윤민지;최보경;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1-149
    • /
    • 2012
  • 분류학적 식별형질이 모호한 국내에 분포하는 작살나무와 좀작살나무(마편초과) 두 분류군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형질 및 미세형태학 형질(잎, 약, 열매. 특히 내과피의 표면 및 구조, 화분)을 상세히 관찰하고, 기재하였다. 결과적으로 줄기 단면 윤곽, 동아 형태 및 길이, 화관 통부 길이와 열편 길이, 약의 길이와 열개유형, 내과피의 형태가 두 분류군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식별형질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다음의 세 가지 형질들이 이들 분류군의 동정에 더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1) 작살나무의 화관통부의 길이(2.5-4.6 mm)는 좀작살나무(0.7-1.0 mm)에 비해 길고; (2) 약의 열개 유형은 작살나무가 개화기 초반에 상부의 끝에서 구멍모양으로 열개하고, 반면 좀작살나무는 개화기 시작부터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로 열개한다; 그리고 (3) 작살나무의 경우 측면에서 볼 때 내과피의 가장자리가 부분적으로 오목하고, 좀작살나무의 경우에는 편평하다. 반면에 엽연에 나타나는 거치의 위치 및 화서의 형성위치는 좋은 진단형질은 아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추가적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산 작살나무속 분류군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세포성 인지질분해효소 활성 억제에 따른 비티 살충력 증가 효과 (Effect of Cellular Phospholipase A2 Inhibition on Enhancement of Bt Insecticidal Activity)

  • 엄성현;박지영;김건우;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71-280
    • /
    • 2014
  • 곤충병원성세균 Xenorhabdus nematophila (Xn)의 일부 대사물질은 대상 곤충의 phospholipase $A_2$ ($PLA_2$)를 억제하여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 활성을 저해시킨다. 그러나 이들 세균 대사물질이 억제하는 곤충의 $PLA_2$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Xn의 배양액에서 화학구조가 동정된 8 가지 대사물질들은 두 종의 나비목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과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유충에 대하여 살충 활성을 보유했다. 특별히 이들 물질은 모두 Bacillus thuringiensis (비티)의 살충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파밤나방의 세포성 인지질 분해효소($SecPLA_2$)를 클로닝하고 대장균에서 과발현시켰다. 분리된 $SecPLA_2$를 지방체에서 얻은 인지질과 반응시켰을 때 여러 다가불포화지방산을 해리시켰다. 이 효소활성이 Xn 유래 대사물질들에 의해 뚜렷이 억제되었다. 또한 $SecPLA_2$에 대한 억제효과와 비티 살충력 상승효과 사이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SecPLA_2$가 Xn 대사물질의 억제 대상 분자 종말점 가운데 하나라고 제시하고 있다.

스테비아로부터 분리한 Austroinulin의 RAW264.7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ustroinulin from Stevia rebaudiana in LPS-induced RAW264.7 Cells)

  • 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56-46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스테비아는 이용성이 높은 식물임에도 불구하고 diterpene 성분에 대한 생리활성이 과학적으로 주로 연구된 바 없어 active-guided fractionation 방법을 이용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화합물을 규명하기 위해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 및 정제한 후, $^1H$$^{13}C$-NMR, COSY, DEPT, HMQC, HMBC spectrum(500 MHz, $CDCl_3$), MS, IR 분석을 통하여 분자량 322의 astroinulin임을 구조 동정하였다. 특히 HMBC spectrum을 통해 분리된 화합물이 decalin system에서 C-9에 3-methylpenta-2,4-dienyl 치환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리된 astroinulin을 RAW264.7 세포에 2.5, 5, 10 ${\mu}g$/mL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마찬가지로 iNOS protein의 발현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하였으며, 화합물을 2.5, 5, 10 ${\mu}g$/mL 처리한 결과 각각 11.4, 26.8, 45.1% 감소하였다. Astroinulin 화합물을 10 ${\mu}g$/mL의 낮은 농도에서 NO와 iNOS를 각각 67.9, 45.1%를 저해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스테비아에서 분리된 astroinulin 화합물은 RAW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와 iNOS 단백질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및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지닌 약용 식물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산박하 추출물과 분리물질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Isodon inflexus (Thunb.) Kudo Extract and Its Isolated Substance)

  • 부희정;이선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7-268
    • /
    • 2016
  • 본 연구는 제주에서 자생하는 산박하(Isodon inflexus (Thunb.) Kudo, I. inflexus (Thunb.) Kudo )의 80% 메탄올 추출물과 분획물, 그리고 분리 물질인 henryin의 항산화능 및 항염증에 관하여 조사한 것이다. 항산화 효과는 DPPH 라디칼 소거, xanthine oxidase 억제 및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는데, 산박하 추출물의 효능을 측정한 결과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부탄올 분획물의 $IC_{50}$값이 각각 $0.9{\mu}g/mL$, $0.2{\mu}g/mL$로 대조군인 allopurinol ($2.2{\mu}g/mL$)에 비해 우수한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RAW 264.7 세포주를 사용한 항염 효능 평가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강한 NO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 분획으로부터 순수 분리하여 구조 동정된 물질인 henryin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NO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henryin은 iNOS, COX-2와 염증관련 cytokine인 TNF-${\alpha}$, IL-6, IL-$1{\beta}$의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산박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갖는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고 henryin은 기능성 지표물질로 활용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백자인(Thuja orientallis L.)으로부터 tyrosinase 저해제의 분리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yrosinase Inhibitors from the Seeds of Thuja orientalis L.)

  • Lee, Jun-Young;Park, Sang-Wo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09-413
    • /
    • 2000
  • 식물추출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효과있는 새로운 tyrosinase 저해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기존의 spectrophotometric assay를 개선한 새로운 TLC 검색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식물추출물을 검색한 결과 백자인의 메탄올추출물이 강한 tyrosinase 저해활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백자인의 메탄올추출물로부터 tyrosinase 저해제를 분리하기 위하여 먼저 탈지 메탄올추출물을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한 후 이 중 활성이 강한 에테르 추출물을 얻었다, 다음 에테르 추출물을 5% NaHCO$_3$로 씻은 후 산성화하여 얻은 강산성에테르추출물을 silica gel, Sephadex LH-20 및 분취 TLC를 각각 이용하여 4가지의 tyrosinase 저해물질을 분리하였으며, 이 중 화합물 2 ($IC_{50}$/=26 $\mu\textrm{g}$/ml)와 3 ($IC_{50}$/=30 $\mu\textrm{g}$/ml)은 tyrosinase 저해제로 잘 알려진 ascorbic acid ($IC_{50}$/=28 $\mu\textrm{g}$/ml)와 유사하게 강한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현재 그들의 화학구조를 동정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볼 때 백자인으로부터 분리된 tyrosinase 저해제는 식품의 효소적갈변저해제로써 뿐만 아니라 기미, 주근깨 및 검반점을 예방할 수 있는 미백화장품 및 의약품의 신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pulsed flame photometric detector(SPME-GC/PFPD)와 static headspace-gas chromatograph/pulsed flame photometric detector(SH-GC/PEPD)를 이용한 황 함유 화합물들의 분석 방법 비교 (Comparison of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Pulsed Flame Photometric Detector (SPME-GC/PFPD) and Static Headspace-Gas Chromatograph/Pulsed Flame Photometric Detector (SH-GC/PEPD) for the Analysis of Sulfur-Containing Compounds)

  • 양지연;김영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95-701
    • /
    • 2005
  • 각각의 황 함유 화합물의 표준곡선을 그렸을 때, linear range의 범위는 $10^2$부터 $10^4$까지의 범위를 보였다. Dimethyl trisulfide가 가장 작은 limit of detection(LOD) 값과 가장 넓은 linear range $(10^4)$를 보이는 반면, methional은 가장 큰 LOD 값과 가장 좁은 linear range$(10^2)$를 가졌다. 각 황 함유 화학물의 분자구조와 PFPD의 황 함유 화합물 분석 원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서로 다른 세 종류의 fiber를 사용시, 미세 고체상 추출법(SPME)을 사용했을 때, CAR/PDMS fiber는 가장 좋은 추출 효율을 보였고, 반대로 PDMS/DVB fiber는 가장 낮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SPME 방법을 사용하면,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6개의 황 함유 화합물들 중, 최대 5개까지 분석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 사용하지 않은 황 함유 화합물들도 다수 동정 되었는데, 이렇게 추출과정 중 artifacts로 생성된 황 함유 화합물들은 분석 시 오차를 작용할 수 있다. 고정상 기체추출법(SH)은 SPME와 비교했을 때 더 적은 수의 황 함유 화합물을 감지해냈다. SPME와 비교 시 SH의 추출 효율은 낮았지만, artifact로 생성되는 화합물의 수는 적었다.

강원도 지역 구름버섯균의 rDNA의 ITS 부위 염기서열 분석 (Analysis of rDNA ITS Region from Trametes spp. in Kangwon Province, Korea)

  • 이미정;전상철;황일기;최한구;김규중
    • 한국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0
    • /
    • 2005
  •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에서 채집한, 구름버섯균으로 예상되는 19종의 실험균주의 외부형태와 내부구조의 특징을 파악하여 동정하고, 구름버섯균(Trametes versicolor)의 형태적 특징과 rDNA상의 ITS염기서열간의 상관관계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Trametes versicolor와 동일 속(Genus)에 속하며 계통학적 유연관계가 가까운 Trametes villosa KCTC06866, Trametes suaveolens KCTC 26205, Trametes hirusta KCTC26200, Trametes versicolor KCTC16781 및 KCTC26203의 4종-5균주와 함께 r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s(ITS1 과 ITS2)영역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채집된 실험균주는 Trametes versicolor KCTC16781 및 KCTC26203과의 염기차이가 $0{\sim}6$개로 매우 유사한 근연한 양상을 나타내었고 계통도를 분석한 결과, 구름버섯으로 예상된 실험균주들과 Trametes versicolor 종들이 단계통군을 이루어 실험균주는 모두 동일종으로 확인되었으며, Trametes hirusta KCTC26200, Trametes suaveolens KCTC26205 그리고 Trametes villosa KCTC06866는 측계통을 이루었다. 채집된 19종의 균주는 외형상 다양한 채색과 무늬를 갖고 있으나 ITS1과 ITS2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계통수에서는 Trametes versicolor간의 색깔이나 무늬는 ITS1 및 ITS2의 염기서열과는 직접적인 유연관계가 없었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수산 자숙액의 단백질 함량 변화 (Changes of the Protein Contents of Seafood Cooking Drips by Gamma Irradiation)

  • 최종일;김현주;성낙윤;변의백;김재훈;전병수;안동현;조국연;변명우;이주운
    • KSBB Journal
    • /
    • 제23권6호
    • /
    • pp.489-493
    • /
    • 2008
  • 수산가공 폐자원인 수산 자숙액의 산업적 활용 극대화 방안의 연구 일환으로 감마선 조사가 수산 자숙액 내 단백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톳, 문어 및 참치 자숙액을 감마선 조사하여 단백질 정량 및 SDS-PAGE를 진행하였다. Lowry, BCA 및 Kjeldahl 법에 의한 단백질 정량 실험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해 수산 자숙액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단백질 함량은 10 kGy이상에서는 선량에 따라 일정한 값을 가졌다. 이를 토대로 각각의 자숙액을 SDS-PAGE를 이용한 전기영동적 분리정도를 확인한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해 단백질의 응집과 저분자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감마선 조사에 의해 수산 자숙액의 단백질 추출 효율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감마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단백질의 동정 및 구조변화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