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술문서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for Oral Document Analysis (구술문서 자료분석을 위한 정보검색기술의 응용)

  • Park, Soon-Cheol;Hahm, Han-Hee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3 no.2
    • /
    • pp.47-5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analytical methodology of or릴 documents by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ies. This system consists of the key word search, contents summary, clustering, classification & topic tracing of the contents. The integrated model of the five levels of retrieval technologies can be exhaustively used in the analysis of oral documents, which were collected as oral history of five men and women in the area of North Jeolla. Of the five methods topic tracing is the most pioneering accomplishment both home and abroad. In final this research will shed light on the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studies of oral history and culture.

  • PDF

Automatic term-network construction for Oral Documents (구술문서에 기초한 자동 용어 네트워크 구축)

  • Park, Soon-Cheol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2 no.4
    • /
    • pp.25-31
    • /
    • 2007
  • An automatic term-network construction system is proposed in this paper. This system uses the statistical values of the terms appeared in a document corpus. The 186 oral history documents collected from the Saemangeum area of Chollapuk-do, Korea, are used for the research. The term relationships presented in the term-network are decided by the cosine similarities of the term vectors. The number of the terms extracted from the documents is about 1700. The system is able to show the term relationships from the term-network as quickly as like a real-time system. The way of this term-network construction is expected as one of the methods to construct the ontology system and to support the semantic retrieval system in the near future.

  • PDF

An Oral History Study of Overseas Korean Astronomer: John D. R. Bahng's Case (한국천문연구원 원외 원로 구술사연구 - 방득룡 전임 노스웨스턴 대학교 천문학 교수 사례 -)

  • Choi, Youngsil;Seo, Yoon Kyung;Lee, Hyung M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73.4-74
    • /
    • 2021
  • 한국천문연구원은 2017년 제1차 구술채록사업에 이어 2020년 제2차 사업을 진행하면서 최초로 원외 원로에 대한 구술채록을 시도하였다. 국가 대표 천문연구의 산실로서 연구원 존재 의의를 확립하기 위하여 원내 원로에 국한되었던 구술자 대상을 확장한 것이다. 그 첫 외부 구술 대상자로 방득룡 전임 노스웨스턴 천문학과 교수를 선정하여 2020년 7월부터 준비단계에 들어갔다. 방득룡 전(前)교수가 첫 번째 한국천문연구원 원외 인사 구술자로 선정된 이유는, 그가 우리나라 천문대1호 망원경 구매 선정에 개입한 서신(1972년)이 자료로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2017년에 수행한 제1차 구술채록사업에서 구술자로 참여한 오병렬 한국천문연구원 원로가 기증한 사료들은 대부분 연구원 태동기 국립천문대 구축과 망원경 구매 관련 자료였으며 이 가운데 1972년 당시 과학기술처 김선길 진흥국장에게 Boller and Chivesns(사(社))의 반사경을 추천한 방득룡 전(前)교수의 서신은 한국 천문학 발전사에서 중요한 사료였다. 연구진은 이 자료를 시작으로, 방득룡 전(前)교수의 생존 여부와 문서고의 공기록물들에서 그의 흔적을 찾아가기 시작했다. 놀랍게도 그는 실제 세계와 한국천문연구원 문서고 깊숙이 기록물들 모두에서 상존하고 있었다. 1927년생인 방득룡 전(前)교수, Dr. John D. R.은 미국 플로리다 한 실버타운에서 건강한 정신으로 생존하여 있었고 연구진의 인터뷰에 흔쾌히 응했다. 2020년 9월 16일에 한국천문연구원 본원 세종홀 2층 회의실에서 영상통신회의로 그와의 구술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이 구술인터뷰는 원외 인사가 대상이란 점 외에도 방법적으로는 전형적인 대면 방식이 아닌 영상 인터뷰였다는 점에서 코로나 시대의 대안이 되는 실험적 시도였다. 현대 한국천문학 발전사의 재조명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었다. 1960년대 초반부터 1992년 정년퇴임까지 30년을 미국 유수 대학교 천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활발한 활동을 해 온 한국계 천문학자가 우리나라 최초 반사망원경 구매 선정에 적극 개입하였던 역사는, 공문서 자료들과 서신 사료들에 이어 그의 육성으로 나머지 의구심의 간극이 채워졌다. 또 구술자 개인이 주관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기는 '기억'이 중요한 아카이빙 콘텐츠 확장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구술사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관점을 주었다. 애초 연구진이 방득룡 전(前)교수의 공식 기록에서 아카이빙의 큰 줄기로 잡았던 것은 1948년 도미, 1957년 위스콘신 대학교 천문학 박사학위 취득, 1962년부터 노스웨스턴 대학(일리노이주 에반스턴)의 천문학 교수진, 1992년 은퇴로 이어진 생애였다. 그러나 그와의 구술 준비 서신 왕래와 구술을 통하여 알게 된 그가 인생에서 중요시 여겼던 지점은, 1948년 도미 무렵 한국의 전쟁 전 상황과 당시 비슷한 시기에 유학한 한국 천문학자들의 동태, 그리고 1957년부터 1962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M. Schwarzschild 교수와 L. Spitzer 교수를 보조하며 Stratoscope Project를 연구하였던 경험이었다. 기록학적 의미에서도, 전자를 통해서 그와 함께 동시대 한국 천문학을 이끌었던 인재들의 맥락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며, 후자를 통해서는 세계 천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친 석학에 대한 아카이브 정보와의 연계 지점과 방득룡 전(前)교수의 연구 근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들은 추후 방득룡 콘텐츠 서비스 시에 AIP, NASM, Lyman Spitzer 콘텐츠, 평양천문대, 화천조경천문대, 서울대와 연세대, 그리고 한국천문연구원까지 연계되어 전 세계 폭넓은 이용자들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검색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번 방득룡 구술사 연구에서 구술자 개인의 주관적인 소회가 공식 기록이 다가갈 수 없는 역사적 실체에 일정 부분 가까울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이를 통하여 개인의 역사는 공동체의 역사로 확장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 연구진은 방득룡 전(前)교수의 회상을 통하여 구술자 개인의 시각으로 한국과 미국 천문학계의 공동체 역사를 재조명할 수 있었고, 이것을 아카이브 콘텐츠 확장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무엇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주제의 아카이브로 연동될 수 있는 주제어와 검색도구를 구술자 개인의 회상으로부터 유효하게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향후 한국천문 구술아카이브의 확장을 통하여 보다 다양한 활용과 연구 재활용의 선순환이 가능하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는 최근 기록학계에서 대두되고 있는 LOD(Linked Open Data)의 방향성과도 흡사하여 한국천문학 구술사연구의 차세대 통합형 기록관리의 미래모형을 기대케 하는 대목이다.

  • PDF

한국 가금협회-그 10년 (전 1962~1967년)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 no.12 s.38
    • /
    • pp.14-21
    • /
    • 1972
  • 한국가금협회의 10년사를 기록하기 전에 여러분 들에게 이해를 구해야 할 것이 있다. 먼저 이 기록은 협회에 비치되어 있는 여러 가지 자료, 문서철 등을 중심으로 당시 협회의 임직원으로 계시된 분들을 보시고 그분들의 기억과 기록을 근간으로 하여 엮어 본 것이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라는 말과 같이 10년간의 기록을 뒤적여 보니 그 동안의 도난, 화재 등으로 없어진 기록도 많았고 또 구술하시는 분들의 기억에도 희미한 것이 많았다. 단지 이 기록은 불충분한대로 협회의 지난 10년 동안의 활동을 간추려 본 것이라 할 수 있고 누락된 이 있으면 수시로 지적해 주시는 모든 회원들의 협조를 얻어야만 완전한 기록으로서 협회의 사실이 다시 한번 빛을 볼 수 있게 되리라 생각된다.

  • PDF

The Qualitative study about parent's in law of multiculture family - Hermeneutical grounded theory methology - (다문화 가족 시부모들에 대한 연구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접근-)

  • Kim, Young Sook;Lee, Keun Mo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2 no.2
    • /
    • pp.41-70
    • /
    • 2011
  •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interaction of multiculture parents in law between. daughter in law. We approached hermeneutical grounded theory and six of multiculture family's parent's in law participated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the depth interview and various written records and we could construct 9 hermeutical theme by analyzing and categorizing 83 meaning units, 22 categories. We descripted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between parent's in law and daughter in law. The result as follows : ① sticking self dimensions → ② strategic acceptomce → ③ making shade of co-existence → ④ self dismantling and reconstruction. Finally we proposed the 「joint program of parent's in law and daughter in law for reinforcing culture unpetence」.

An Analysis of the Concretizing Process of the Free Semester Policy : Focusing on the Policy Objectives (자유학기제 정책의 구체화 과정 분석 : 정책 목표를 중심으로)

  • Yang, Heej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2
    • /
    • pp.441-453
    • /
    • 2020
  • This study looked at the concretizing process of the Free Semester Policy(as is the FSP). The concretizing process of policy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the major components of policy idea are changing through the agenda setting and policy decision process. To this end, we collected major policy documents related to the FSP from the pledge of the presidential candidate to the implementation plan of the FSP and the oral data of key personnel of the FSP, and analyzed the concretizing process of the policy focusing on the policy objectiv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olicy objectives of the FSP were presented in a more comprehensive and ambiguous form through the agenda setting and policy decision process. The emphasized direction of policy has also changed over and over. This phenomenon offers sever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education policy. Firs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bjectives of education policy presented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re provisional. Second, the change in policy objectives may have occurred in the process of securing the legitimacy of policy promo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and politics. In order to properly promote an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common sense and needs of the public, a mature education policy discussion culture is required.

A Study for the establishment environment of the Labor Archives (노동 아카이브(Labor Archives) 설립 환경에 관한 연구)

  • Kwak, Kun-Hong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20
    • /
    • pp.77-114
    • /
    • 2009
  •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labor unions are primitive. First, there is no good records management regulation. At this research, I found it that most regulations of the labor unions were all the same. I think they have been copied a kind of one of originality. Second, the definition of records were very narrow, like documentary evidence. Third, the classification, filing, disposal regulations are the below level of the public institution in 1970s. Fourth, there are no standards of the records scheduling for the labor records. What kind of labor records have the historical values? I could not find, only the documentary evidence value. So, I think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labor unions are primitive. I investigated the collections of the Southern Labor Archives in USA. There were many kind of records. For example, the records of regional labor unions also central labor unions, pamphlets, journals, photos, personal records, oral history, organizational records like protocols article of associations internal rules, minute books etc. Like this the collections of the Southern Labor Archives in USA are very various. But our actual conditions of the labor unions is far from that. Rather, we just have tried collected records for publishing the white papers. But this habitual practice would not be desirable. Because they must manage the records from the producing time. Mostly, 'laborer history HANNAE' were organised, and they are trying the collecting and management of the labor records. Also They are trying the computerizing, compilation. 'HANNAE' has the condition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labor archives. But if they want to be really, they must make the records management infra and so, should normalize the record management firstly. For example, They must be keep the standardized records management regulations, records scheduling redesigned. the developing standard model for the records management. And they have the vision for the hub of the labor archives. When coming to this, it will be realized the labor archives Now the records for the working class are disappearing. The managing the records for the labor is another labor movement. All together should join it. But I think the supporting of the archival science research colleagues will be the essential p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