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12.441

An Analysis of the Concretizing Process of the Free Semester Policy : Focusing on the Policy Objectives  

Yang, Heejoon (한국교육개발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looked at the concretizing process of the Free Semester Policy(as is the FSP). The concretizing process of policy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the major components of policy idea are changing through the agenda setting and policy decision process. To this end, we collected major policy documents related to the FSP from the pledge of the presidential candidate to the implementation plan of the FSP and the oral data of key personnel of the FSP, and analyzed the concretizing process of the policy focusing on the policy objectiv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olicy objectives of the FSP were presented in a more comprehensive and ambiguous form through the agenda setting and policy decision process. The emphasized direction of policy has also changed over and over. This phenomenon offers sever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education policy. Firs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bjectives of education policy presented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re provisional. Second, the change in policy objectives may have occurred in the process of securing the legitimacy of policy promo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and politics. In order to properly promote an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common sense and needs of the public, a mature education policy discussion culture is required.
Keywords
the Free Semester Program; the Concretizing Process of Policy; Agenda Setting Process; Policy Making Proc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https://edunet.net.
2 교육부, 자유학기(년) 정책 안내 및 공유, 2019년 교육과정 및 자유학기 연구학교 컨설팅지원단 워크숍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2019.
3 박휴용, 송진웅, "교육정책이 적용되는 현장의 갈등요인 분석,"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2호, pp.7-32, 2018.
4 성열관, "자유학기제의 정책 특징에 따른 교사들의 제도 인식 : 정책 정당성, 교사 정체성 및 전문성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제31권, 제1호, pp.27-58, 2018.
5 신철균, 황은희, 김은영,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제16권, 제3호, pp.27-55, 2015.
6 김은영, 김경애, 김보경, 양희준, 이상은, 최상덕, 김아미, 성열관, 차성현, 자유학기제 중장기 추진 전략과 방안: 초.중.고 운영 확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6.
7 김성용, 오세준,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언론의 보도 프레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221-230, 2016.   DOI
8 R. Bowe, S. J. Bal,l and A. Gold, Reforming education and changing schools: Case studies in policy sociology, Routledge, 1992.
9 허혁, 최선미, "정책실패의 반복과 관성에 관한 연구: 양양국제공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456-467, 2018.   DOI
10 여지영, 채선미,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698-709, 2016.   DOI
11 류방란, "구술사 연구의 방법과 활용," 한국교육, 제25권, 제2호, pp.33-50, 1998.
12 이종재 외, 한국교육행정론, 교육과학사, 2012.
13 Frances C. Fowler, 교육정책의 이론과 실제,(신현석.한유경 역) 아카데미프레스, 2007. (원저 2004 출간)
14 정정길 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12.
15 김기석, 이향규. "구술자, 무엇을, 왜,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한국교육사고 연구노트, 제9호(창립5주년 기념 연구노트 집성 합본호), 1998.
16 김재춘, "자유학기제 정책의 회고와 성찰," 국어교육학연구, 제52집, 제3호, pp.7-35, 2017.
17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운영계획(안), 2003.
18 http://news.joins.com/article/9949973.
19 새누리당, 세상을 바꾸는 약속 책임있는 변화, 제18대 대통령선거 공약집, 2012.
20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제안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2013.
21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안), 2015.
22 양희준, "교육관련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특례법 제정 과정 분석 - 법안 제5조 심사 과정을 중심으로," 교육법학연구, 제25권, 제3호, pp.133-158, 2013.   DOI
23 S. Gerwirtz, M. Dickson, and S. Power, "Unravelling a 'spun' policy: a case study of the constitutive role of 'spin' in the education policy process," Journal of Education Policy, Vol.19, No.3, pp.321-342, 2004.   DOI
24 S. J. Ball, Politics and policy making in education : explorations in policy sociology, Routledge : London and NewYork, 1990.
25 C. A. Torres, "The Capitalist State and Public Policy Formation. Framework for a Political Sociology of Educational Policy Making,"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Vol.10, No.1, pp.81-102, 1989.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