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성 타당도

검색결과 661건 처리시간 0.021초

Revised Piper Fatigue Scale의 구성타당도 : 한국여성 유방암 환자를 중심으로 (Construct Validity of the Revised Piper Fatigue Scale in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 Lee, Eun-Hyun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85-493
    • /
    • 1999
  • Revised Piper Fatigue Scale (Piper et al., 1998)은 미국에서 개발된 암환자의 피로를 측정하는 자가보고서 형식의 도구이다. 이 도구는 총 22문항으로 네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국인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Revised Piper Fatigue Scale의 구성타당도를 재평가하기 위함이다. 총 122명의 유방암 환자가 번역-역번역 과정을 거쳐 한국어로 번역된 Revised Piper Fatigue Scale에 응답을 하였고 그 자료는 요인분석 (principal axis analysis with oblique rotation)에 의해 분석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총 19문항으로 이루어진 네 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총문항의 Cronbach's alpha는 .93이었고, 도출된 네 요인들의 alpha는 .84에서 .91이었다. 한국어로 번역된 총 19문항의 Revised Piper Fatigue Scale(revised PFS-K)은 한국인 유방암 환자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라 할 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한국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계속해서 도구 검증이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 PDF

만성질환자 대상 한국어판 자율성 선호도 도구(K-Autonomy Preference Index)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autonomy preference index among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 이지애;안보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81-39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어판 자율성 선호도 측정 도구(K-API)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총 569명의 만성질환자가 참여하였다.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고,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으로 확인하였다. 원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한 후 내용 타당도 검증, 예비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K-API는 두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며 (i) 의사결정 선호도, (ii) 정보추구 선호도의 두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K-API는 자율성 선호도의 53.4%를 설명하며, 2개 요인으로 구성된 도구의 적합도 지수가 충족되었다. Cronbach's α는 의사결정 선호도는 .77, 정보추구 선호도는 .75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K-API의 타당도가 신뢰도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API 도구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근거를 제공한다.

Evaluation in Ayres Sensory Integration® (EASI)의 번역 및 구성타당도 연구 (A Translation and Construct Validity Study of the Evaluation in Ayres Sensory Integration® (EASI))

  • 김경미;이지현;정혜림;최정실;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4-38
    • /
    • 2021
  • 목적 : Evaluation in Ayres Sensory Integration(EASI)의 국내사용을 위해 번역연구를 통한 한글 연구판 EASI를 제시하고, EASI의 구성타당도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EASI의 번역연구는 타문화 적응을 위한 번역 가이드라인의 4단계에 따라 실행하였다. 과정은 번역, 번역내용의 통합과 내용타당도 분석을 거쳤으며, 하위 검사 하나는 역번역을 실시하여 한글 연구판 EASI를 제시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증은 3~12세의 일반아동과 감각통합문제를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EASI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구성타당도는 일반아동과 감각통합문제를 가진 아동 그룹의 집단비교와 학령전기와 학령기 일반아동의 집단비교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집단비교는 Mann 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번역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20개의 모든 항목은 평균 3.17점 이상을 보였다. 일반아동군과 감각통합문제 아동군의 EASI 영역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4개의 영역 중 감각지각 영역에서 두 그룹간 차이를 보였다(p=0.044). 세부적으로 촉각과 전정감각과 관련된 항목에서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였다. 일반아동의 학령전기 아동군와 학령기 아동군의 EASI 영역별 비교에서는 실행, 안구, 자세 및 양측운동통합의 2개 영역에서 통계학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EASI 번역연구를 통해 제시된 한글판 EASI는 연구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구성타당도 검증결과 일반아동과 진단군 아동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항목들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이는 EASI 결과 해석에 고려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감각통합 기능의 종합적인 평가와 중재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검사자간 신뢰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이 필요하며, 추가적인 타당도 검증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한국어판 리더 레포 관리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Leader Rapport Management)

  • 한정원;김남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29-136
    • /
    • 2016
  • 본 연구는 White 등이 개발한 LRM (leader rapport management)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 및 수정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서울 소재의 2개의 상급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200명을 대상으로 하여 내용 타당도, 구성 타당도, 동시 타당도, 수렴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판 LRM도구는 총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자존감 4문항, 자율성 4문항, 유대관계 4문항으로 총 12문항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신뢰도검증 결과 자존감은 Cronbach's ${\alpha}$ .86, 자율성 Cronbach's ${\alpha}$ .83, 유대관계 Cronbach's ${\alpha}$ .84으로 확인되어 본 연구의 개발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 차원의 상사와의 레포를 측정하던 도구들과는 달리 레포의 다차원적인 측면을 고려한 측정도구라는 점과 임상 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효율적인 인적관리를 위해 상사와의 레포 관리 정도를 측정하여 이에 따른 다양한 측면의 관리 방법을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한국형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척도(Secondary Traumatic Stress Scale)의 구성타당화 연구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Scale(K-STSS))

  • 박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4호
    • /
    • pp.33-57
    • /
    • 2011
  • 본 연구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척도(STSS)를 한국의 외상관련 원조실무자를 대상으로 적용하고 심리측정적 속성을 평가하여 한국형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척도(K-STSS)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수렴 및 개념구성 타당도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총 17문항 중 4문항을 제외한 13문항으로 구성된 두 가지 차원의 한국형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척도(K-STSS)가 수정 제시되었다. 제시된 척도에서 신뢰도상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 불안척도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수렴타당도가 성립되었다. 소진척도와의 상관관계 수준이 매우 높아 개념 구성타당도 성립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외 조사대상자의 특성(연령, 성별, 개인외상경험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한국형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척도(K-STSS)가 척도로서의 변별력을 갖춘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청소년의 인지적 사회지지 측정을 위한 PRQ(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Part II의 타당도 (STRUCTURAL VALIDATION OF THE PRQ PART II (PERCEIVED SOCIAL SUPPORT) MEASURE FOR ADOLESCENTS)

  • 이은영;탁영란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2호
    • /
    • pp.236-243
    • /
    • 1999
  • 방법론적으로 사회적 지지와 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메타 분석의 결과 사회적 지지의 연구 결과는 측정된 도구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PRQ Part II는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의 이론검증연구에서 건강 관련 행위와의 예측 타당도 검증은 이루어 졌으나, 한국에서의 청소년을 대상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PRQ-Part II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 검정이 청소년기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다면적인 개념으로서의 인지적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방법론의 향상을 위해서 본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한국청소년을 대상으로 PRQ-Part II 25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 15문항의 4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요인 1에 해당하는 5가지 항목은 2개의 지도/정보(assistance/guidance), 3개의 정서적지지(intimacy)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요인 1을 '정서/지도/정보 지지'라고 명명하였다. 15문항의 PRQ-Part II한국 청소년의 인지적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로 나타났다. 4가지의 요인 추출로 구성된 15문항의 PRQ-Part II가 부모-자녀 관계, 또는 대처에서 더 높은 상관계수로 구성 타당도를 잘 설명하고 있다. 이에 청소년의 정신 건강의 완충 및 중재 변인으로서의 인지적 사회적 지지에 관심을 둔 이론 검정 연구 및 청소년 평가와 진단에서 15문항의 PRQ-Part II가 구성 타당도면에서 적절함을 제시한다.

  • PDF

의료기관 근로자의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대한 평가도구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Assess Hospital Workers' Perception for Protection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 차기정;하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253-126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관 근로자들의 환자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도구의 개발 및 검증과정은 도구의 개념틀 구성, 기초 문항 작성, 내용타당도 검증, 예비조사를 거쳐 최종문항을 추출하였다. 내용타당도는 3명의 보건의료전문가의 검증을 받았고, 구성타당도는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로 검증하였다. 간호사, 병원 행정직원, 여러 보건의료 종사자들로 구성된 의료기관 근로자 2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요인 모델의 적합도가 높아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4요인 13문항으로 구성된 본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83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도구는 의료기관 근로자의 개인정보보호 인식을 측정하기에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도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경험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및 적용 : 고등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 김낙규;류춘렬;이창진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17
    • /
    • 2010
  • 본 연구는 학생들의 과학 경험의 정도를 정량화 하는데 있어 통일된 측정 도구를 제시하는 것이다. 측정 도구를 구성하는 요인들은 선행연구를 통해 학교 안 과학 경험은 일반 활동 경험, 과학 탐구 경험, 실험 기구 경험으로 세분화 되며 학교 밖 과학 경험은 일반 활동 경험, 취미 활동 경험, 현장 견학 경험 6개의 영역으로 구분을 할 수 있었다. 각각의 요인을 구성하는 질문은 NAEP(1987)에서 사용된 과학 경험 검사 도구와 신영준(2000)의 과학 경험 검사 도구의 문항 중 일부를 발췌하고 더불어 과학 경험에 대한 개방적인 설문지를 통하여 1차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답변 중 빈도가 많은 답변과 중등 교과서의 탐색적 분석을 통해 영역별 10문항씩 6개 영역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사전 설문조사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검사지를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13명을 대상으로 2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한 측정 도구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와 구인타당도로 검사하였다. 내용타당도는 2명의 현직 중등교사와 2명의 과학교육전문가가 각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지 심사하였고, 구인타당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검사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 $\alpha$를 통하여 문항을 분석하였다. 6개의 영역의 요인에 대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결과 6개 영역으로 구성된 60문항의 측정 도구는 학생들의 과학 경험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 PDF

수량 비교 과제의 형식에 따른 아동의 수 민감도 측정치의 구성 타당도 및 예측 타당도 비교 (Comparing Construct and Predictive Validities of the Measurement of Children's Approximate Number Acuity Depending on Numerosity Comparison Task Format)

  • 박윤지;조수현
    • 인지과학
    • /
    • 제25권2호
    • /
    • pp.159-187
    • /
    • 2014
  • 대략적 수 민감도(approximate number sense)란 수량에 대하여 대략적인 비교와 덧셈 등의 기본적인 조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선행 연구들은 수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해 두 개의 점 집합의 수량을 비교하는 과제를 사용하였다. 선행 연구들이 보고한 수 민감도 수치에는 상당한 편차가 존재하는데 이는 수량 과제 비교의 형식의 차이에 기인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아동의 수 민감도 측정에 더 적절한 수량 비교 과제의 형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선행 연구에서 가장 흔히 사용된 수량 비교 과제는 서로 다른 색깔의 두 점 집합이 서로 섞여서 제시되는 혼재형(intermixed) 형식과 두 점 집합이 나란히 제시되는 병렬형(side-by-side) 형식이었다. 혼재형 수량 비교 과제는 각 색깔 집합의 수량을 추정할 때, 억제 조절 능력, 선택적 주의 및 시공간 작업 기억 등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수량 변별 외에 추가적인 인지 처리를 요구하는 과제는 수량 비교 수행의 개인차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며(구성 타당도의 저하), 수량 변별 능력이 마땅히 예측할 것으로 기대되는 관련 변인과의 상관관계도 저조할 가능성이 있다(예측 타당도의 저하).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량 비교 과제의 형식에 따른 수 민감도 측정치의 차이를 관찰하고 수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혼재 형식 수량 비교 과제를 통한 수 민감도는 병렬 형식에서보다 현저하게 낮았으며, 선행 연구에서 예측한 수 민감도 발달 추이를 고려할 때 지나치게 과소 추정된 값이었다. 나아가 두 가지 제시 형식에 의해 측정된 수 민감도와 수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는데, 혼재 형식 수량 비교 과제를 통해 산출된 수 민감도는 수학 성취도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예측타당도 역시 낮다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수 민감도 측정 시 혼재형식보다 병렬 형식 수량 비교 과제를 사용하는 것이 구성 타당도와 예측 타당도가 더 높다고 판단된다.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Korean Job Crafting Scale)

  • 이현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11-623
    • /
    • 2017
  • 본 논문은 한국 조직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잡 크래프팅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우선 잡 크래프팅의 개념 및 측정도구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잡 크래프팅에 대해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문항을 작성했다. 10명의 HRM 전문가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검사도구의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수정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국내 8개 기업에서 근무하는 305명의 종업원에게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수정된 검사도구를 국내 7개 기업에서 근무하는 295명의 종업원에게 추가로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측정모형이 자료를 비교적 양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각 하위척도가 수렴 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과업조형을 측정하는 6개 문항, 인지조형을 측정하는 4개 문항, 관계조형을 측정하는 5개 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가 개발되었다. 만일 본 측정도구가 추후의 연구에서도 타당도가 검증되면 국내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잡 크래프팅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