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 및 자격증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초

특성화고 화공계열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Curriculum of Chemical Engineering Field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이규녀;이광복;김소연;한수경;이영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2-91
    • /
    • 2015
  • 이 연구는 특성화고 화공계열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화공계열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화공계열 학교(과) 대상의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교육과정 및 학과명, 그리고 취득 자격증의 상호간에 적합성을 내용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공계열이 화공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산업 현장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화공에서 파생된 응용화학공업, 나노화학공업, 환경화공, 에너지환경화공, 융합신소재화공, 세라믹화공, 생명화공, 식품생명화공 등 응용학문의 학과를 개설하고, 학과별 교육목표에 따른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해야 한다. 둘째, 화공계열의 기준학과별로 관련 자격증을 다양화하고, 취업 가능성 제고에 따른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하여 산업수요와 직업의 변화를 고려한 인력 양성 목표와 인재상을 명확하게 수립해야 한다. 셋째, 화공계열 교육과정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중등 직업교육이 '알기만 하는 교육(지식)'에서 '할 줄 아는 교육(능력)'으로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발맞추어 '화공 산업체 - 화공 직업교육 - 화공 자격'이 일체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미용계열학과 국가역량체계(NQF) 현황분석과 개선방안 (An Analysis and Reformation of 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 in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 이성희;안경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511-4519
    • /
    • 2015
  • 국내 미용계열학과 국가자격체계(NQF)의 개선안 마련을 위해 해외 국가별 자격체계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미용계열학과 국가자격체계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국 내외 자격수준체계는 Level 8을 도입 또는 시행, 수정 중에 있다. 미용계열의 자격체계 개선을 위해 고등학교부터 석 박사과정까지 미용계열 학과의 각 교육과정에 준하는 자격증과 자격명칭의 개발과 더불어 미용계열에는 없는 산업기사 및 피부 네일 메이크업과정을 위한 기능장 자격증이 신설되어야 한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를 통해 미용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자격을 취득하여 능력이 존중받는 현장중심 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하였다.

미용사 일반 국가자격증 실기과제가 현장실무에 미치는 영향 및 활용정도 (A Study on the Influence and Utilization Level of Practical Subjects of National Hairdresser Licensing Examination on the Practical Field)

  • 김유리;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449-455
    • /
    • 2016
  • 본 연구는 미용사 일반 국가자격증 7가지 실기과제 두피스켈프, 샴푸, 헤어커트, 블로우 드라이, 롤셋팅, 퍼머넌트웨이브, 컬러링실기과제와 현장 실무와의 연계성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서울 소재 미용실에서 근무하는 현직 미용사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7가지 실기과제 과목 대부분은 현장실무에 대한 활용정도가 평균 수준 정도로 나타났으며, 세부과제들 중 헤어컬러링의 경우만 유일하게 도포량, 도포방법 등의 항목에서 도움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헤어커트와 컬러링 두 과제의 활용수준은 현장 실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p<0.05), 현직 미용사들에게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 인 헤어 커트에 대한 실전 응용과 고객 만족을 위한 수준 높은 교육이 요구되며, 상대적으로 현장실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과제들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문성 향상의 관점에서 본 미국, 일본, 한국의 사회복지 자격제도 비교 (A study comparing social work credentialing systems among the U.S., Japan, and South Korea from a professionalism perspective)

  • 이순민;임효연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4호
    • /
    • pp.103-136
    • /
    • 2011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문성의 발달에 대한 관심의 일환으로 미국, 일본, 한국의 사회복지 자격제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중심전략을 통해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3개국에 대한 비교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미국, 일본, 한국의 사회복지 자격제도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상이점과 일치점을 밝히며,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해 사회복지직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이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비교 연구한 결과, 미국, 일본, 한국 모두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이라는 같은 목적을 위해 자격증 제도를 실행하고 있으나, 각 나라의 제도 간에는 자격증 제도의 구성내용, 공식교육의 질에 대한 규제, 독점적인 지위나 권위 획득 및 유지를 위한 노력에서 여러 차이점이 존재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 사회복지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사회복지 자격제도의 개선 노력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이 논의되었다.

중장년층의 사회복지 전공 선택 동기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tivating Factors Affecting the Middle-Aged People in Choosing Major in Social Welfare)

  • 배나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96-102
    • /
    • 2019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전공 선택 이유를 살펴보고, 사회복지전공교육의 효과적인 환경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인 학부생 41명을 대상으로 전공 선택에 관한 동기요인에 대해 질적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리적 목적으로 자격증 취득을 위해 사회복지 전공을 선택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한 수단 및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전공을 선택하였다. 셋째 사회복지실천을 바탕으로 한 전문가로서 사회적 기여에 의한 전공 선택 동기요인이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가정환경 경험에 의한 동기요인이다. 사회복지전공교육의 학습효과를 높이는 학습전략 방안이다. 첫째,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학습자를 위해 목적지향형 학습이 필요하다.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실제 적용이 가능한 실천기술과 전문지식을 익힐 수 있는 교육과정의 배치가 필요하다. 둘째,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한 수단 및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복지 전공을 선택한 학습자를 위한 교육은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세대통합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실천을 바탕으로 한 사회적 기여를 위해 전공을 선택한 학생의 교육은 사회복지전문가로서 지역사회에서 전문 자원봉사자로 활동 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에 대한 교육이 구성되어야 하겠다. 넷째, 개인적 경험과 가정환경에 의한 동기를 위해 사회복지전공을 선택한 학습자를 위해 소외되고 도움을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 사례관리 대상자를 발굴하고 그들이 학습한 사회복지전공이 가시적인 성과를 이룰수 있도록 사례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겠다.

미용교육과정 인식과 직무활용도 및 직무만족도 관련 연구 (A Study on Cognition, Job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in Beauty Education)

  • 유수연;리순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39-249
    • /
    • 2020
  • 본 연구는 미용전공 졸업생 205명을 대상으로 미용교육과정 인식이 현장활용성, 직무활용도,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전공별 각 요인들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피부는 실습, 기타 전공은 기술적인 면, 실기 테크닉 및 현장감 있는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모든 전공이 이론<실습 형태의 교육과정, 실습 위주 수업을 요구하였다. 미용교육과정 인식 및 현장활용성이 낮게 나타났고 자격증 교육과정, 직무활용도 및 직무만족도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미용교육과정 인식이 현장활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고(p<0.001), 교육내용은 직무활용도 하위요인과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p<0.001). 결론적으로 모든 전공에서 현장활용성, 직무활용도 및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실기교육 보완, 실습 비율 증가 등 교육과정 내용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부 이수교과목 분석을 통한 현장 사서의 계속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Continuing Educational Program for Librarians - Based on Analysis of University Credits)

  • 안인자;노영희;최상기;김혜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7-5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프로그램 교과내용을 제안하는 것이다. 문헌정보학과 졸업자가 학부에서 이수한 교과목 분석을 통하여 선행된 교육 이수 내역을 조사하였고, 국립중앙도서관의 계속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사서들의 교육 수요조사를 조사하였다. 외국의 계속교육프로그램으로는 ALA, SLA를 비교분석하였다. 새로이 개설되는 신규교과목 경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문헌정보학 주제분야별로 교육내용을 제시하였다. 제안되는 교과내용은 전자출판과 저작권, 도서관미래, 톡소노미 및 통제어휘, 특허정보, 과학정보리터러시, 오픈억세스프로그램, 도서관가치인식, 라이센스 이슈, 고객응대 등이다.

체육계열 4학년 학생의 취업준비행동 분석 (A Study on Employment Preparation of Graduating Senior in the Department affiliated with Physical Education)

  • 최진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453-460
    • /
    • 2017
  • 이 연구는 4학년 체육계열학과 졸업대상자를 중심으로 취업준비행동을 파악하고 현재 상황을 되짚어 전략적인 취업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 대졸자 직업이동조사 기초분석보고서를 비교대상으로 삼았다.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경기, 서울, 충남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5개 대학 체육계열학과 164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그에 따른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평균 t-검증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4학년 체육계열학과 졸업대상자들은 교내 취업프로그램에 낮은 참여율을 보였으며 진로 및 취업프로그램과 적성검사에만 50% 정도의 참여경험을 나타냈다. 대학교육과 진로관련 지원에는 만족하고 있었지만 취업시설과 복지시설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전공과 관련한 국가전문자격증과 민간자격증을 취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청년고용정책에는 실제 참여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체육계열학과 특성에 맞는 전략적인 취업준비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기계설비관련대학 탐방(14) - 에너지와 환경으로 미래 첨단성장 동력산업 주도 -동명대학교 공과대학 냉동공조학과-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37호
    • /
    • pp.80-84
    • /
    • 2010
  • 국내의 기계 및 설비관련 학과는 모든 산업의 기초가 되는 기계를 다루는 기술인이 반드시 알아야 할 기계관련 이론과 다양한 실기를 통해 산업현장에 필요한 전문직업인 양성에 교육 목표를 두고 있다. 또한 오늘날 첨단 기계 산업의 발달 및 다양화에 따라 생산 및 생산시설 관리, 제품 설계 및 제작, 엔지니어링 마케팅,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관련 업무를 충실히 담당할 중견 전문가 양성도 담당하고 있다. 본지는 지난해 3월호부터 이번호까지 총 14회에 걸쳐 전국의 기계 및 설비관련 학과를 소개했다. 건축물이 첨단화 다양화 되면서 기계설비의 비중이 점차 커짐에 따라 각 대학들은 다양한 커리큘럼을 마련해 전문성 향상은 물론, 개별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자격증 및 어학 등을 강화함으로써 21세기가 요구하는 미래의 기계설비인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본지는 이번호를 끝으로 기계설비 관련 대학 탐방을 마친다. 그동안 취재 및 원고 작성에 협조해주신 대학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 PDF

산업보안관리사 개발과정에서 PMP를 활용한 단계별 창직 연구 (A Study on Job creation Using PMP in ISE development process)

  • 임헌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79-86
    • /
    • 2019
  • 창직(창직업)이란 작은 의미에서는 자격증을 만들어 직업을 개발하는 것이며, 큰 의미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신산업을 조성하고 이에 필요한 직업을 개발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이에 창직 사례로 공인민간자격인 산업보안관리사(ISE, Industrial security expert)의 개발 과정을 예로 들고 프로젝트 관리의 지침서인 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의 PMP(Project Management Process)와 매핑하여 단계별로 창직에 필요한 세부 요구지식을 도출하고 이 과정을 정형화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1) 창직 계획 (2) 민간자격 등록신청 (3) 직무분석 (4) 세부출제기준 확정 (5) 접수시스템 구축 (6) 교재개발 (7) 설명회 개최 (8) 자격검정 공고 (9) 양성과정 교육 (10) 자격시험 시행 (11) 직무교육 및 지속 수요확대 등 11단계를 도출하였으며, 향후 자격증을 만드는 창직사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