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 공간

검색결과 2,332건 처리시간 0.041초

On Tightness of Product Space

  • Hong, Seung He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13권3호
    • /
    • pp.17-18
    • /
    • 1975
  • 거리공간과 Normal countable compact의 위상적이 Normal이라는 것은 A.H. Stone에 의하여 이미 밝혀졌고, V.I. Malyhin은 space expX의 Cardrmal invariant와 공간 X 사이의 관계를 논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V.I. Malyin이 밝힌 tightness의 개념을 도입하여 countable tightness의 pracompact와 normal strongly countable compact 공간의 topological product가 Normal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 PDF

초등학교 안전체험교육 공간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s of School Safety Experience Education Space)

  • 이근임;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3호
    • /
    • pp.61-68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체험을 통한 안전교육을 일상적이고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안전행동을 습관화하고 위기상황에 대응하는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학교 안전체험교육 공간 운영에 필요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 내 안전체험교육 공간 여건과 타시도 사례를 조사하여 학교 안전체험교육 공간을 운영하기 위한 요소로서 장소 및 규모, 체험장 및 거점운영 등을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적정성을 밝히기 위하여 해당지역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학교 안전체험교육 공간 운영으로 장소와 규모에 있어서 교실 2실 정도를 활용하되 학교 형편에 따라 복도, 다목적실, 체육관 등 다양한 장소를 모색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장은 초등학생 맞춤형으로 운영하되 전문적 시설이나 대규모를 요구하는 경우는 전문 안전체험시설을 이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거점 학교는 타학교 학생들의 접근이 용이한 곳에 위치하여야 하고 충분한 공간이 있는 학교가 선정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서울시 영재교육기관의 공간적 분포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of Gifted Education Units in Seoul)

  • 김성연;이선영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711-72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기관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분석하여 서울시에서 영재교육기관이 부족한 지역을 도출하고, 영재교육기관 입지 변인과 관련 있는 변인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영재학급은 1차, 교육청 영재교육원은 2차, 그리고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은 3차 영재교육기관으로 구분하여 GIS를 기반으로 공간분석을 수행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버퍼링 분석 결과 일부 서울 주변부와 종로구에서 영재교육 공급에 있어 사각지역이 나타났지만, 그 면적이 작아 서울시 영재교육기관의 공간적 분포는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화도 분석 결과 구로구에 공간상의 허브 영재교육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지적 공간집중도 분석 결과 중구는 콜드스팟으로, 송파구는 핫스팟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관분석 결과 서울시 영재교육기관은 대체로 그 지역의 소득 수준을 나타내는 경제 변인과 무관하게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향후 서울시 영재교육기관을 신설 또는 확장하는 경우에 영재교육기관 운영의 공간적 효율성과 형평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 공간 혁신' 정책 키워드 분석 - 뉴스 기사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Keywords on 'School Space Innovation' Policies using Text Mining - Focused on News Articles -)

  • 이동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2호
    • /
    • pp.11-2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한국의 주요 언론 매체를 통해 드러난 학교 공간 혁신 정책의 실행과 관련 이슈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언론에서 발행한 학교 공간 혁신 관련 기사 총 519개를 수집하여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 혁신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학교 공간 혁신은 미래교육에 대한 대응으로 추진되고 있다. 둘째, 사용자가 학교 공간 혁신의 주체로 참여한다. 셋째, 전문가는 협력 체제를 갖추어 학교 공간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교 공간 혁신에 지역사회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있다. 다섯째, 교육부와 교육청의 주요 사업으로, 상향식과 하향식이 조화를 이루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 공간 혁신 정책의 주요 이슈를 이해하고, 차후 연구와 실천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간적 사고 관점에서 천문 분야 교과서 삽화 및 탐구활동에 대해 예비교사가 인식한 문제점과 개선안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Astronomy Textbook Images and Inquiries Raised by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Thinking)

  • 김종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501-520
    • /
    • 2022
  • 천문학 학습 과정에서 공간적 사고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교원 양성 단계에서부터 공간적 사고를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공간적 사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 후 이들이 천문 단원 교과서의 삽화 및 탐구활동에 대해 인식하는 문제점과 개선안의 양상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천문 영역의 공간적 사고를 공간 개념, 표상, 추론 과정으로 구성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수도권 소재 A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2주에 걸쳐 공간적 사고에 대한 교육이 실시되었으며 예비교사들은 천문 단원 중 1개 차시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공간적 사고 측면에서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22명이 제시한 33개의 사례가 분석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교사들은 공간 개념과 추론 과정 측면에서 교과서 삽화 및 탐구활동의 한계를 인식하고 그것을 보완하기 위한 개선안을 제안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그러나 일부 예비교사는 문제점을 타당하게 인식하더라도 적절한 개선안을 제안하지 못하거나, 공간적 사고 측면에서 삽화나 탐구활동을 분석하지 못하는 경향도 나타냈다. 본 연구는 공간적 사고에 대한 일련의 교육을 통해 예비교사가 천문 교수 실행시 공간적 사고 측면에서 교과서 삽화나 탐구활동을 인식하고, 그 한계를 보완할 능력을 갖출 수 있음을 보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가 공간적 사고와 관련된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시사하는 바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사이버 교육의 현황 (Issues in Cyber Education)

  • 황대준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MULTIMEDIA DATABASES on INTERNET
    • /
    • pp.172-196
    • /
    • 1997
  • 정보통신 기술, 방송 기술 및 관련 소프트웨어 기술 발전은 수요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정보 제공자에게로 다가가던 종래의 정보서비스 환경으로부터 사이버 공간을 통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으로의 변화를 촉진시켜주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개별화된 학습체제에 대한 필요성과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는 사이버 공간을 통한 교육 기회의 확대는 정보통신망과 방송망을 통해서 다양한 형태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버 교육의 큰 특징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사이버 교육 환경 구현에 필요한 제반 요소들을 분석하고, 국내외 사이버 교육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사이버 교육이 갖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국내의 경우 사이버 교육의 도입 현황을 살펴봄으로서 사이버 교육이 열린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으로 정착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해 보고져 한다.

  • PDF

선형 대수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변천

  • 신경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33-142
    • /
    • 2004
  • 선형대수 교육과정 연구 단체(LACSG, The Linear Algebra Curriculum Study Group)는 1990년 그의 결성과 함께 선형대수 교육과정에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할 다섯 가지 추천 목록을 발표하였다. 그 중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기존의 형식적이고 엄밀한 벡터공간 중심의 선형대수 교육과정을 보다 실용적인 행렬중심으로 바꿀 것을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벡터 공간 중심의 교육과정과 행렬 중심에 기반한 교육과정의 역사적 흐름에서 행렬 중심의 교육과정이 우위를 차지하게 된 배경을 살핀다. 또한 이러한 교육과정과 맥을 같이한 선형대수 교과서의 변천과, 행렬의 곱의 전개를 중심으로 두 중심사이의 차이를 논한다.

  • PDF

공간디자인의 창의성 연계 교육 연구동향 -디자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Trend of Creativity-related Spatial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Design Process)

  • 안소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441-4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창의성과 연계된 공간디자인 교육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창의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정리하고, 공간디자인 교육과 다른 디자인 분야의 창의성 교육 연구동향을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간디자인의 창의성 연계 교육연구는 다른 디자인교육에 비해 빈도가 낮았으며, 디자인프로세스 중 아이디어의 조형적 표현에 관련된 연구가 많았다. 이에 반해 타 디자인분야의 창의성 교육은 전체 프로세스와 연계된 것이 가장 많았고, 주요내용은 IT기법의 활용, 학습이론의 활용, 융합을 통한 창의성증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전반에서 다양한 교육시도들이 요구되며, 새로운 IT기술은 물론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통합적 접근과 인문학과 과학, 과학과 예술의 융합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WEAK-AND STRONG CONVERGENCE IN SPACE OF LINEAR OPERATORS

  • Kim, Byung You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14권1호
    • /
    • pp.19-21
    • /
    • 1975
  • 약 위상과 강위상이 주어진 선형공간 E에서 수열의 약수렴과 강수렴에 관한 성질을 보조정리로하여 두 Banach공간 E와 F사이에 정의된 연속작용소 공간 L(E.F)에서 작용소열 { $T_{n}$ }이 T에 강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F가 Hilbert 공간일때는 { $T_{n}$ }이 T에 약수렴함과 동시에 실수열 (equation omitted)$T_{\chi}$ $n^{\chi}$(equation omitted)가 실수 (equation omitted)T$\chi$(equation omitted)에 수렴할 때이다.

  • PDF

가상현실 체험을 이용한 환경교육에 관한 연구 (Stud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experience)

  • 이근왕;김용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11-21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 국토개발 등을 통해 빠르게 달라지고 있는 거주공간 및 자연환경의 원형을 사이버공간에 친환경적으로 표현하여 환경교육 학습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컨텐츠로 조선시대 마을의 거주공간 및 자연환경의 원형을 3D기술(가상현실, 3D Max)을 이용하여 사이버공간에 재현하는 환경 교육용 가상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