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43/kisee.2017.16.3.061

A Study on the Operations of School Safety Experience Education Space  

Lee, Geun-Im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Lee, Yong-Hwa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v.16, no.3, 2017 , pp. 61-6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ary measures for the school safety experience education space to provid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ability to provide safety education through experiences routinely and repeatedly.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onditions of safety experience in Jeollabuk-do and the case of other cities as a factor for operating the school safety experience educational space. In order to cla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i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e teachers in the local a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two classrooms in the place and the scale in the operation of the school safety experiential education space should be sought in various places such as hall, multipurpose room, and gymnasium according to the school condition. Experiential areas should be opera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customized, but specialized facilities or large scale should be used for professional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For efficient operation, the base school wanted to be located in a place where accessibility of other school students was easy, and that a school with sufficient space would be selected.
Keywords
school safety experience education space; experiential areas; base school;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영혜(1999), 체험학습의 이론적 기초, 열린 교육학회 제7집 제22호
2 고미숙(2006), 체험교육의 의미, 아시아교육연구, 7
3 고재술(2016), 중학교 안전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효선(2016), 촉감을 활용한 체험 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메타디자인학부 석사학위논문
5 류호섭(2002) 초등학교 교사의 공간 종류 및 설치현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 박상철.조진일.양승실.안유정.김진욱.안효령(2016), 유휴교실을 활용한 안전체험교실 조성 가이드라인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PR 2016-26
7 박석진(2007), 시민안전체험교육시설의 효율적 설치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반한성(2008), 안전체험시설 비교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서병재(2001), 학교안전사고 실태분석 및 지도 방안. 수원대학교 행정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석혜민(2005), 초등학교 안전교육 실태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유향산(1992), 경제적 교육공간의 시설.정비, 서울:한불문화출판
12 윤영란(2013), 안전체험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방재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수정(1997), 초등학교 아동의 사고예방행동과 사고발생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영화(2012), 시민안전체험공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성인 교육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조진일(2009), 교육시설의 건축 계획, 한국교육행정학회 편(2009), 교육시설 행정론, 파주: 교육과학사
16 조진일.류호섭.최형주.박희원(2012), 한.일 초등학교 공간구성 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2012-27
17 조진일.박성철.송병준.장재원.방영현.윤형욱(2016), 학생 안전체험교육시설 표준모형(안)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CR 2016-14
18 주재복.박해육(2013), 어린이 안전교육 체험시설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 한국산업안전공단(2003), 안전교육 교사연수
20 김정호(2014), 초등학교 교육공간에 대한 교육적 논의,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