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22/JGTE.2015.25.5.711

The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of Gifted Education Units in Seoul  

Kim, Sungyeun (Seoul National University)
Lee, Seon-Young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v.25, no.5, 2015 , pp. 711-72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rive the regions in Seoul that lack gifted education units by analy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unit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unit locations. The gifted education units are divided into the three following types: the first type is a gifted class at a school, the second type is a gifted education center at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third type is a gifted education center at a university. The results of using a GIS-based spati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 buffering analysis showed that even though there were gifted educational blind spots in Jongno-gu and in parts of the outskirts of Seoul, the spatial distribution of gifted education units in Seoul seemed homogeneous because they were too small. Second, a special quotien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hub unit of gifted education in Guro-gu. Third, an analysis of local Moran's Index showed that Jung-gu was a cold spot and Songa-gu was a hot spot. Fourth, a correlation analysis investigated that the number of gifted education units had general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conomic factors. These results will help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equity of the management of the gifted education units in Seoul that will be established or expanded in the future.
Keywords
Buffering analysis; Gifted education units;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Moran's I (index);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과학기술부(2007).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2 교육부 (2003). 제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3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4 교육통계서비스 (2010). 교육기본통계.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교육통계서비스 (2012). 교육기본통계.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교육통계서비스 (2013). 교육기본통계.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7 김단영 (2011). 사설 과학영재교육기관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8 김명환, 박종욱, 박종원, 서혜애, 이길승, 최재혁 (2008).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운영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과학재단.
9 김묘정, 최아현 (2008). 농촌장수마을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충북 음성군 차평 1리를 사례로. 국토연구원, 59, 37-59.
10 김미숙, 이희현, 임청묵 (2008). 시도교육청과 대학의 영재교육기관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1 김소연, 이신동 (2009). 국가수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8(3), 63-88.
12 김수경 (2010). 초등 영재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의 사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비교.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13 김시곤, 김황배 (2002). GIS를 활용한 거주자 우선주차 운영.관리시스템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2(6), 1037-1044.
14 김영표, 박종택, 한선회 (1999). GIS의 기초와 실제. 서울: 하나디앤피.
15 김영표, 임은선 (2003). GIS기반 공간분석방법론 개발 연구. 서울: 국토연구원.
16 김지숙, 김호용, 이성호 (2014).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방법의 개선방안 검토: 해수면상승 재해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1), 50-60.   DOI
17 김호용, 김지숙, 이성호 (2012). 도심경계설정을 위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 42-54.   DOI
18 김흥순, 정다운 (2010). 서울시 의료시설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3(1), 27-45.
19 노영순 (2005). 우리나라 수학영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3), 383-409.
20 류승한, 서연미, 이윤석 (2013). 지역별 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산업입지 정책 방안. 서울:국토교통부.
21 박기호 (2000). 범죄분석 지리정보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한국공간정보학회지, 8(2), 213-232.
22 박노욱, 권병두 (2000). 지구과학자료 분석을 위한 GIS의 응용. 사대논총, 60, 55-77.
23 서울경제 (2015). 엇나가는 영재교육 정책. http://economy.hankooki.com/ (검색일: 2015. 06.30)
24 배진성 (2010). 단위학교별 영재학급에 의한 영재교육 확대 방안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5 변순천 (2010). 고급과학기술인력 양성.활용 주요 정책 이슈 분석 및 향후 과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6 서예원, 박지은, 박지희, 정영옥, 이경숙, 채현정 (2013). 영재교육 대상자 및 선발의 현황과 성과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7 손정렬 (2011). 모란 및 국지모란지수를 이용한 도시용수 이용의 공간패턴과 그 변화 분석-미국 남동부 카운티들을 대상으로-. 지역연구, 27(2), 77-97.
28 손정렬, 오수경 (2007). GIS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접근성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5), 576-594.
29 양광식 (2011). 지역의 경제성장과 사회적 형평성을 연계한 지역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3(1), 103-116.
30 오규식, 박경호 (1997). 도시경관 관리를 위한 경관정보시스템의 개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5(2), 161-175.
31 이강래 (2009). 수학 영재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32 이사로, 김윤종, 민경덕 (2000). 산사태 공간 정보시스템 개발 및 산사태 공간 정보의 활용. 한국공간정보학회지, 8(1), 141-154.
33 이상화, 송지영 (2013). 영재학교 신입생들 IQ 검사해보니...깜짝. http://jmedianet.com/ (검색일: 2015.06.30)
34 이재분 (2012). 영재교육 10년, 회고와 전망. 교육과학기술부 심포지움 기조발표 자료(2012.11.28.).
35 이재호 (2010). 창의.인성을 갖춘 미래사회 영재 판별 방법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36 이재호, 류지영, 진석언 (2011). 미래사회 영재 판별 방법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2), 307-317.
37 이희연, 임은선 (2001). GIS를 이용한 생활폐기물의 수거권역설정과 수거 차량의 순회경로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9(1), 15-30.
38 이정규, 성은현 (2015). 우리나라 영재교육 정책의 변화와 향후 전망. 영재와 영재교육, 14(2), 49-67.
39 이태식, 구지희 (1996).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이용한 응급의료 진료관리시스템 개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4(1), 43-54.
40 이희권 (2009). 영재교육 정책: 어제와 오늘. 서울: 박학사.
41 정건섭, 김성우, 이양원 (2012). 부산시 실거래 주택매매 가격을 이용한 공간계량모형의 적합도 비교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 43-51.   DOI
42 정천수, 안정현, 진석언, 한기순, 이정훈, 강지연, 황정훈 (2012). 지역중심 영재교육 지원시스템 모델. 영재와 영재교육, 11(1), 121-152.
43 조성호, 박순호 (1996). GIS 기법을 이용한 도시공공서비스 시설의 입지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 69-85.
44 한기순, 박유진 (2013). 영재들은 왜 사교육을 받을까?: 초등 영재의 사교육 실태 및 참여결정요인 분석. 영재교육연구, 23(4), 505-521.   DOI
45 Anselin, L. (2003). $GeoDa^{TM}$ 0.9 user's guide. Urbana, 51, 61801.
46 Aronoff, S. (1989).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 management perspective. WDL, Ottawa.
47 Auchincloss, A. H., Roux, A. V. D., Brown, D. G., Raghunathan, T. E., & Erdmann, C. A. (2007). Filling the gaps: spatial interpolation of residential survey data in the estimation of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Epidemiology, 18(4), 469.   DOI
48 Burrough, P. A., & Mcdonnell, R. A. (1998). Principle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9 Chou, Y. H. (1996). Exploring spatial analysis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Onward Press.
50 Fester, E. J. (2001). Introduction to Regional Cluster Industry Cluster Analysis. Department of City & Regional Plannin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13-16.
51 Hernandez-Murillo, R. (2003). Strategic interaction in tax policies among states. Review-Federal Reserve Bank of Saint Louis, 85(3), 47-56.
52 Kang, C. H. (2005). The more the better?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on academic performance: Evidence from exogenous variation in birth order.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resented at the 1st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Conference, Seoul, Korea.
53 Kim, D., Galeano, M. A. O., Hull, A., & Miranda, M. L. (2008). A framework for widespread replication of a highly spatially resolved childhood lead exposure risk model. Environ Health Perspect, 116(12), 1735-9.   DOI
54 Kim, D., Lauria, D. T., & Whittington, D. (2012). Selecting optimal prices and outpost locations for rural vaccination campaigns.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37, 436-458.
55 Kim, D., Miranda, M. L., Tootoo, J., Bradley, P., & Gelfand, A. E. (2011). Spatial modeling for groundwater arsenic levels in North Carolina.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5(11), 4824-4831.   DOI
56 QGIS Team. (2013). Q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pen Source Geospatial Foundation Project.
57 Sui, D. Z., & Hugill, P. J. (2002). A GIS-based spatial analysis on neighborhood effects and voter turn-out: a case study in College Station, Texas. Political Geography, 21(2), 159-173.   DOI
58 Voss, P. R., Long, D. D., Hammer, R. B., & Friedman, S. (2006). County child poverty rates in the US: a spatial regression approach.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25(4), 369-391.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