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과정 자료

Search Result 3,31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evelopment of the Career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ur Life' Unit ('정보 통신 기술과 생활' 단원에서 진로교육 수업자료 개발)

  • Choi, Ji-Na;Lee, Yong-Ji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7 no.1
    • /
    • pp.145-16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teaching materials of career education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ur Life' unit in the technology education. As preparation phase, in order to choose the suitable contents for career education, we analyzed the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ur Life' unit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hen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existing related researches. After content analysis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career education, we mapped the contents into career education area. In the 'Design' step of teaching, we extracted the unit design components after analyzing 'Development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 of eleven text books used in 2007 revised curriculum In the 'Introduction', 'Activity', 'Arrangement' steps of teaching, by applying the SHIP model, one of career education program model, we develop the teaching materials. Then, we get expert evaluation using questionnaire and improve the suitability of the teaching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our teaching materials reflect the development histo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ell, show the features of career education, and are suitable to middle school students as the teaching materials. Second, our teaching materials can help students to face various jobs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have more interests and exploring opportunities 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bject. Third, our teaching materials can help teachers to use it for the career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ur Life' unit of 2007 revised curriculum in the class time. Our teaching materials can also be used in the extra activity related to career education and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urthermore, since 2009 revised curriculum includes the career education unit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bject, our teaching materials can be used partially as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future.

An Analysis on the Development Tend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Gifted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중등 수학영재 교수.학습자료 개발 동향 분석)

  • Jun, Sun-Mi;Yoo, Won-S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5 no.1
    • /
    • pp.79-97
    • /
    • 2011
  • As the necessity of the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to develop their talents and national power is gradually recognized, many kinds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 development tendency of the materials is not systematically studied because their database is not sufficiently constructed nor most of them are made public. In this research, we would like to provide the reference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developed materials and reduce the deviation among the classified fields when we will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by collecting the already developed materials and analyse their development tendency by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the contents.

Statistica Basic Language를 이용한 통계 교육

  • Park, Dong-Ju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279-286
    • /
    • 1999
  • 수학 통계용 그래픽 계산기와 통계 자료 분석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외국과 국내의 통계 교육의 ·추세를 소개한다. 그리고 통계 자료 분석용 소프트웨어인 Statistica의 특징을 요약한 다음 통계학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하여 Statistica에서 제공되는 Statistica Basic Language로 프로그램한 세 가지 모듈을 제시한다. 프로그램을 입력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 후 각 모듈을 소개한다. 처음 모듈은 숫자 값으로 표현되는 계량 자료에 대한 단순 통계량들을 구하기 위하여 분석하려는 원시 자료를 Sprea-dsheet에 입력한 다음 Statistica Basic Language로 프로그램한 모듈을 실행시킴으로써 한 번에 입력 자료에 대한 단순 통계량의 결과들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로 1에서 100까지 숫자들을 단순 랜덤 비복원 추출하는 과정을 프로그램한 모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한 모듈에서 제시되는 윈도우에 균일 분포에서 단순 랜덤 복원 추출하기 위한 표본의 크기와 샘플링 반복 횟수를 입력하면 표본 평균의 도수분포표와 도수분포도가 작성되어 표본 평균의 분포가 중심극한정리를 따르는가를 확인하였다.

  • PDF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모델 제안 - 재량.특별활동시간에 비주얼베이직언어를 중심으로 -

  • Mun, Oe-S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9 no.4
    • /
    • pp.595-606
    • /
    • 2005
  • 7차교육과정에서의 초등 컴퓨터교육은 재량활동시간 또는 특별활동시간에 단순한 응용프로그램(워드프로세서, 엑셀, 파워포인트 등)을 활용하거나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검색 수준이다. 따라서, 문제해결 능력이나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는 미흡하다. 인지능력이 뛰어난 초등학교 5, 6학년에는 이러한 컴퓨터 활용방법 교육보다 컴퓨터 기초원리 또는 프로그래밍교육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프로그래밍교육을 재량 특별활동 시간에 학년별(5, 6학년) 또는 통합학년으로 학습할 수 있게 프로그래밍교육과정 60차시 분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개발한 교육과정은 교수 및 학습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설문조사 등을 통해 얻은 기초자료를 참조하였다. 제안한 교육과정이 초등학교 5, 6학년에 적합하고 우수한지를 검토하기 위해 일부 차시의 교육과정으로 5, 6학년을 대상으로 재량활동시간에 직접 교수 학습한 후 자기평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로 제안한 교육과정이 적합성과 우수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Design of CT-CPS Based Programming Lesson Using NetsBlox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을 위한 NetsBlox를 활용한 CT-CPS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설계)

  • Lee, Seung-Chul;Kim, Tae-Young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8a
    • /
    • pp.3-6
    • /
    • 2018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9년 3월부터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이 실시된다. 궁극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의 목표는 컴퓨팅 사고력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는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의 체험을 통해 소프트웨어 기초 소양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컴퓨팅 사고력을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전용주(2017)는 소프트웨어 및 컴퓨팅에 관련된 사고과정과 원리를 실생활의 소재와 관련지어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그 해결방안을 구현해가는 과정으로 제시할 수 있는 수업 구성 원리인 CT-CPS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교육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실시 전,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선도학교를 전국에 지정하여 운영하였다. 선도학교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주로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요소 중 알고리즘과 자동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엔트리와 스크래치와 같은 블록 프로그래밍 도구를 사용한 코딩교육과 로봇교육을 주로 실시했고, 실제 문제에 대한 학생들이 자료를 직접 다루는 시간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컴퓨팅사고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실제 자료를 수집, 분석, 표현해보는 활동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NetsBlox을 활용하고자 한다. NetsBlox는 학생들에게 익숙한 블록형 프로그래밍 도구로 실제 데이터를 온라인상에서 쉽게 받아와서 수집, 분석, 표현을 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NetsBlox를 활용한 CT-CPS기반 프로그래밍 수업을 설계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Development a Curriculum for Character Designer -Focused on Two-Year Course Work of College Education (캐릭터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2년제 전문교육을 중심으로)

  • 김용우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3
    • /
    • pp.231-244
    • /
    • 2004
  • The curriculum in the vocational training shall be planed and operated on a basis what is the occupational category that the students can be employed after their graduation and the ability necessary to the engagement in their occupations. Accordingly, the course select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curriculum plan for the vocational training shall be developed continuously and gradually through the maintenance of dose relation by the participation of the persons in the industries related to the major field. If the curriculum in the vocational training is for the preparation of employment, the focus of curriculum shall be adjusted to the employment. It needs to collect and analyze the related data between the universities and industries, particularly regional industries synthetically in order to develop the curriculum in the vocational training. The curriculum shall be planned on a basis of the data. As for the data related to the local community, it needs to develop new programs considering the prospect of demand of manpower by the industry, necessary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s,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occupational category available in the employment with a bright prospect hereafter. Also, the contents to improve in the existing curriculum(a change of technology, a form of facilities for experimentㆍpractice, and a type of continuing & further education) shall be investigated and analyzed objectively.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urriculum more systematically in order to foster the character designer specially who to engage in the character industry that increases its role and expectation all the more with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industries and the extension of markets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rease the estrangement between the school education that has been problems and the practical affairs in the field, to foster the special manpower that can satisfy the industries demand.

  • PDF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 Im, Hae-Gyeong;Park, Eun-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563-589
    • /
    • 2002
  • 고학년으로 갈수록 지필 환경에만 머무르는 현실 속에서 생활 및 예술 작품 등에서 수학적 원리와 개념을 발견하도록 하는 테셀레이션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수학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것 이상으로 기하학적 사고의 기초를 학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4학년까지 적용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테셀레이션에 대한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가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지 못한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서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 학습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사들에게는 테셀레이션의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로서 , 학생들에게는 수학의 기하적 개념들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학습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테셀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가. 테셀레이션의 정의와 예 그리고 종류를 알아보고 테셀레이션 속의 수학적 개념을 활용방법과 함께 제시한다. 나.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테셀레이션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다. 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활용 방안을 탐색한다. 라.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활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적용 실험을 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학습의 효과를 밝힌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적용 실험을 위하여 광주대성초등학교 6학년 한 반을 선정하였고 약 4주에 걸쳐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투입하여 4번의 활동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후 작성된 학습지와 소감문 및 연구자에 의해 관찰된 수업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 결과 지필적 환경에서 제한적이었던 탐구하고 조작해보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역동적인 수학 실험실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도구적 이해가 아닌 관계적 이해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학적 개념을 암기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연스런 조작을 통해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수학을 공부한다기 보다는 수학 속에서 재미있게 놀이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였고 배우는 즐거움을 알고 자신감을 가지며 더 나아가 창의적인 생각을 하도록 하는 기회를 줄 수 있었다. 둘째, 테셀레이션은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수학이 단순히 책에서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 즉 디자인, 생활 속에서의 벽지문양과 포장지, 예술작품 등에 활용되고 있음을 체험함으로써 수학이 실생활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게 하였다. 역으로 생활 속에서의 테셀레이션을 통해 수학적 개념을 찾는 과정을 통해 수학이 아름다우면서도 실용적이라는 생각을 심어줄 수 있었다. 셋째, 테셀매니아, GSP, 캐브리, 거북기하 등 평소 수업에서는 활용도가 적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컴퓨터 소프트웨어 자체에서 오는 호기심뿐만이 아니라 직접 조작하여 테셀레이션 작품과 개념을 익히고 새로운 작품과 학습을 해 내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 등에 있어 큰 변화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컴퓨터 기능이 미숙한 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당황해 하고 어려워하는 부분도 있었으나 조작할 시간적 여유를 주고 교사와 우수한 학생들이 도우미로서 역할을 잘해내어 나중에는 큰 어려움 없이 마칠 수 있었다. 테셀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아직은 생소한 현장에서 교수 학습 자료가 부족하고 그에 따른 이해도 부족한 현실 속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가 교수 학습 현장에 투입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조사한 것을 목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로서 테셀레이션이라는 주제는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에서 평면 도형의 각과 모양 등의 성질을 탐구하게 하고, 대칭변환의 개념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게 할 수 있고, 반복되는 모양에서 규칙성을 발견하고 부분과 전체를 파악하여 패턴을 인지할 수 있게 하며 제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수학적 개념과 수학적 창의성, 수학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게 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테셀레이션은 수학적 개념은 물론 수학과 미술, 수학과 일상 생활과의 연결성을 논의하고 확인하는 데 흥미로운 주제가 될 수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테셀레이션을 활용하여 지도하기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앞으로는 테셀레이션과 관련된 내용이 직접적으로 교육과정 내에서 다루어지고, 또한 테셀레이션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기하학적 사고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s of public astronomical science museums and science curriculum revision, 2009 (천문과학관의 전시자료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분석)

  • Choi, Hyungbin;Yeom, Bum-Suk;Yi, Yu;Oh, Su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9 no.2
    • /
    • pp.173-185
    • /
    • 2016
  • Since Daejeon observatory has been built as the first astronomical science museum(ASM) whose theme is astronomy and space, many ASMs have been built or are being built by the governmental support. ASMs are requested to perform an important role as the educational venue that can be experienced the scientific activities for supplementing regular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alysis of the connection to astronomy-related contents of science curriculum revised in 2009 for exhibits of 17 ASMs. As a result, exhibits of ASMs show the low reflectivity to science curriculum and are very biased to standard of accomplishment. That is, they are not sufficient enough for the students to reach the learning objectives. However the astronomical scientific activities which are hard to be performed in regular school curriculum can be experienced at ASMs. Additionally, since exhibits of ASMs are easy to access and accept, they can provide the effective educational activities and learning effect. Therefore, ASMs have to be improved for supplementing regular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informal curriculum of astronomical scientific activities by the producing and displaying good astronomy-related exhibits.

Analysis of North Korean Primary English Curriculum (북한의 소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분석)

  • Kim, Jeong-ry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4
    • /
    • pp.582-590
    • /
    • 2020
  •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introduce the primary English curriculum of North Korea reformulated according to the New Educational Program. Sources for analysis are the 4th and 5th primary school English syllabus based on the New Educational Program, explanations of the New Educational Program appeared in People's Education and Kim, Jeong-Il's selected writings. The analytical sources are classified into characteristics,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rimary English education aims to reach to the basis of middle school English by learning English alphabets and basic English expressions. 4th graders learn basic oral English such as pronunciation, stress and intonation for the first semester and learn English alphabets and their sounds for the second semester. 5th graders learn familiar topics in English and repeatedly practice the important components of English such as pronunciation, vocabulary and grammar. The method is to maintain students' interests in English and encourage students to use classroom English. Also, structural practic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method. Evaluation is primarily process-oriented and must motivate students to excel in English rather than fail in English.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Mathematics Using Computers (교수-학습 자료 분류 체계화 연구 - 수학 교과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

  • 황혜정;신항균
    • School Mathematics
    • /
    • v.6 no.1
    • /
    • pp.91-118
    • /
    • 2004
  • Since 1998 year, many educational software and its contents have been developed by individuals and public institutes. However, it is not easy to re-use the contents effectively and consistently, because they should be changed and reorganized whenever a curriculum is changed.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each subject to establish new system in which the contents or their teaching-learning elements are not changed although new curriculum appears. In this respect, in last year(2003 year), while setting mathematics as a representative subject, KERIS executed a study on developing a system(or method) of classify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mathematics using computers, based on future-oriented curriculum including the current mathematics curriculum. Finally, for this study, the most essential and basic teaching-teaming 'units' were developed and the total number of units were 339. Also,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units', the 'elements' were developed for understanding more concrete contents included in each 'unit' and the total number of elements were 119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