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원평가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3초

직업계고등학교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교과 담당 교사의 인식조사 (A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Subject Teachers on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우원재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65-85
    • /
    • 2019
  •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선결조건, 외적환경개선, 운영방식, 직업계고 특성, 성공적 실행 및 정착에 대하여 직업계고 교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조사 후 담당교과(보통교과, 전문교과)별 교원들의 인식차이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검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선결 조건인 선택형교육과정도입, 교원들의 참여의지, 학교장의 지도성, 학생들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제고, 과목이수요건, 학년진급요건, 졸업요건 확정, 고교내신 절대평가, 교사별 학생평가, 수능 영향력 축소, 교원 부전공 연수실시 등은 전문교과 담당교원들이 보통교과 담당교원들보다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외적환경개선, 운영방식, 직업계고 특성, 성공적 실행 및 정착 관련 변인들은 전문교과 및 보통교과 담당교원들 간의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교원 질 관리체제에 관한 사례분석 및 시사점 (The Case Analysis and It's Implications of Teacher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America)

  • 주동범;정일환;정현숙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23-14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교원 질 관리체제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 교원정책의 주요 특징,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의 교원양성체제, 펜실베이니아주의 교원자격, 선발 및 임용체제, 뉴저지주 및 뉴욕주의 수석교사제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교원정책은 다양성과 자율성을 기반으로 주정부 및 학교구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어 일률적으로 제시하기가 어렵다. 둘째, 미국의 교원정책에서 교원양성의 경우 교원양성기관(주로 대학)의 교원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엄격히 시행하고 있다. 셋째, 교원자격의 경우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한 다양한 시험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시험은 별도로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 표준화된 시험을 사용하고 있다. 넷째, 교원 선발 및 임용(채용)의 경우 선발을 위한 별도의 시험제도는 없으며, 임용(채용)은 계약직으로 이루어진다. 다섯째, 우수교원을 활용한 질 관리의 경우 미국은 수석교사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운영 중인 수석교사제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최근 "모든 학생의 성공법"의 도입으로 교원양성기관의 개혁이 예상된다. 이러한 주요결과를 토대로 한국 교원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정보활용교육 주요 토픽과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Librarian Teacher Evaluation Index in Teachers'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 이민수;김혜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455-477
    • /
    • 2022
  •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의 주요 토픽과 사서교사 역량 강화를 위해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사서교사가 적절한 요소를 통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22년 5월까지 문헌정보학 분야 4대 학술지에서 출판된 정보활용교육 관련 논문들을 수집하여 LDA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토픽모델링 결과 20개의 토픽 중 정보활용교육(T10)이 12.0%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서관 활용수업(T2) 10.4%, 이용자 서비스(T3) 8.8%가 그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서토론(T7) 3.3%, 독서교육(T19) 2.9%, 인력 관리(T13) 2.1%, 사서교사 직무 만족도(T17) 2.1% 등은 정보활용교육 토픽모델링에서 저조한 토픽들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의 수업모형개발(T1)과 교육과정 개발(T20)은 사서교사가 협업수업과 정보활용교육을 진행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현행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에는 고유한 평가지표로 반영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 '교육 및 수업 지원' 요소에 '수업모형 및 교육과정 개발'을 추가 평가지표로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Pre-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the Track and Field Practical Skill Test of Examination System for Appointing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Yu, Young-Seo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27-135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 육상실기평가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간 내면의 감정, 의견, 인식 등을 탐색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3가지 유형이 탐색되었고, 각 유형은 전문시설지원요구형과 전문기술지도요구형 그리고 평가방법개선요구형으로 명명되었다. 결론으로,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 육상실기평가를 준비하는데 있어 예비체육교사들은 전문시설의 지원과 전문기술을 지도받을 수 있는 기회의 제공 그리고 평가 방법과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사전 안내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3주기 및 4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후 전국 대학 유아교육과 효율성 분석 (An Analysis of Change in Efficiency of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 송운경;송연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17-52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대학 유아교육과의 효율성 변화를 분석하여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유아교육과와 비효율적인 유아교육과의 특성 및 효율성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들을 확인하여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전국 대학 유아교육과 149개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료포락분석을 실시, 교원양성기관 평가 완료 이전의 효율성 연구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불변규모수익기술과 가변규모수익기술을 가정한 산출지향 모형을 추정하여 CCR과 BCC모형으로 상대적 운영효율성 추정하였고, 투입요소로는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학생 1인당 장학금,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학생 1인당 장서 수, 학생 1인당 교육비를 산출요소로는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 취업률을 사용하였다. 토빗모형을 통해 투입, 산출요소 및 외생변수(설립유형, 학교종류, 입학정원규모, 소재지) 중 효율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국 대학 유아교육과는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3주기 및 4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완료 전과 규모효율성과 운영효율성에 차이가 없었다. CCR에서 강효율 유아교육과는 학생 1인당 장학금, 장서 수, 교육비가 유의하게 낮음에도 불구, 유의하게 높은 전임교수 1인당 연구실적과 취업률을 보이나, BCC 아래 학생1인당 장서 수, 취업률 이외에는 통계적 유의성을 상실하며, 토빗모형 계수도 실제적인 영향을 논하기에는 미미하다. 전문대학과 입학정원규모 60명 이상, 광역권 유아교육과의 운영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의 질적 향상을 통한 효율성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평가정책에 시사점을 준다.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특허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개선 방안 탐색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 effectiveness and Exploration of improvement for Specialized high-school Teacher in Invention and Patent field)

  • 임윤진;최유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3-39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 특허분야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5년도 충남대학교 발명교사교육센터가 주관한 특성화고 교사 대상 발명 특허분야 교원직무연수 참여자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수가 종료된 시점에 직접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량(100%)을 회수하였고, 39명중 불성실한 응답자 2명을 제외한 37명을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교원연수프로그램 개발은 문헌연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이루어졌고, 적용에 따른 만족도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교육요구도와 교육만족도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교원 직무연수 개선 방안 연구진에 의해 구안된 교원 연수 평가 모형에 의해 모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교원을 위한 발명 특허 교원직무연수의 교육요구도는 높았다. 둘째, 개발된 교원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수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교육효과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의 엄격한 개선을 위하여 현상유지, 대안탐색, 전략수정, 기대 확장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사서교사의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The Relation of the Awareness of Teacher Librarians about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and Their Job Satisfaction)

  • 이승길;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59-18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전국의 초중고 사서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참여 인원은 총 371명이다. 연구 결과 사서교사의 등급은 S등급 4.1%, A등급 27.5%, B등급 62.5%, 성과급 제외 5.9%의 비율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의 성과급 등급이 높을수록 성과급제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평가 기준의 적절성, 평가 절차 및 결과의 공정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서교사의 성과급 등급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요소인 업무 관계, 인사 및 승진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원 성과급제에서 사서교사 평가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주관성 연구 (The Subjective Study of the High School Teachers on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for Teachers)

  • 유영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65-274
    • /
    • 2019
  • 본 연구는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주관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주관적 인식을 탐색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유형이 탐색되었다. 제1유형은, '성과급제 부정형'으로 연구 참여 교사 24명 중 20명, 약 83%가 포함되었다.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해 정부의 일방적 정책 시행에 대한 불만, 불필요한 스트레스 야기 그리고 교원 간 갈등 및 경쟁 등을 유발하고 교사들의 동기유발이나 직무만족도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제2유형은 '성과급제 중립형'으로 성과급제 대해 공정한 업무 평가와 교육공동체의 협력적 분위기 강화, 직무만족도 증대 등에 긍정적 인식을 나타냈으나, 교직에 대한 자긍심 증대나 교육적 행동 유발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을 나타냈다. 제3유형은 '성과급제 수용형'으로 성과급제는 기피업무에 대한 보상이면서 교원의 동기유발 및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참여적 업무수행과 창의적 업무 수행 등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나타냈다. 끝으로, 모든 유형에서 성과급제의 평가 척도의 타당도에 부정적 반응을 나타냈다.

교대 수학심화과정에서 본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문제점 (The Issue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 이의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59-680
    • /
    • 2010
  • 평가는 수학 교실에서 의미 있게 활용된다. 최근 대부분의 수학교실에는 교수 학습이 결합된 수행평가가 도입되고, 또 평가는 많은 사람들(학생, 교사, 학부모, 행정가)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수학교실의 수행평가에도 불구하고 일부 교대생은 임용시험에 대한 불안 때문에 학원을 찾고, 또 일부 강좌에는 그러한 학생들의 불안을 외면할 수 없게 되었다. 왜냐하면 학생의 불안을 외면한 수행평가는 자칫 공허해지고, 또 그들의 수학적 힘을 효율적으로 증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고는 초등교원 임용시험(2010)을 수학 심화과정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1) 초등교원 임용시험 기간은 단축되어야 한다. (2) '어법 원고지 사용법'은 수학적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3) 교대생 시험불안은 임용시험보다는 합격자 수감축에서 비롯된다. (4) 영어 교과의 비중은 재고되어야 한다.

  • PDF

박근혜정부의 교원정책 평가 (Evaluating Teacher Policy of Park Geun-hye Government)

  • 신현석;윤지희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101-133
    • /
    • 2017
  • 본 연구는 박근혜정부 임기동안 이루어진 교원정책의 궤적을 추적하여 정책 형성에서부터 종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도출된 성과와 문제점을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박근혜정부 교원정책 추진의 실제를 알아보고, 정책과정 전반을 살펴볼 수 있는 CIPP 모형에 기반하여 각 평가준거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황평가의 환경적합성이 충족되었다. 박근혜정부의 교원정책은 환경의 변화와 정책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도입되었기 때문이다. 환경적합성을 갖출 때, 정책은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기에 향후 정책추진 시에도 이를 고려해야 한다. 투입평가의 정책목표의 타당성과 실현가능성은 충족되지 않았다. 정책방안의 목표에 결함이 있거나, 방안의 목표가 정책목표와 연계되지 않았으며, 정책집행에 필요한 예산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향후 정책 설계 시에는 정책목표와 정책방안 목표가 타당한지를 검토하고, 정책추진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여 정책의 실현가능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과정평가의 절차적 합리성과 수단의 적합성도 충족되지 않았다. 일부 정책방안의 집행과정에서 이해집단과의 논의가 생략되거나 정책방안 자체에 오류가 있어 해당 방안의 실행이 어떻게 정책의 목표 달성과 연계되는지가 불명확했기 때문이다. 향후 정책집행 과정에서는 이해관계자와의 소통과 협업 등의 절차를 중시하고, 방안에 문제가 있을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수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산출평가의 효과성과 만족도도 낮았다. 정책목표의 타당성과 수단의 적합성 그리고 절차적 합리성이 충족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향후에는 정책실패를 미연에 방지하게 위해 정책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집행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을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