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ase Analysis and It's Implications of Teacher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America

미국의 교원 질 관리체제에 관한 사례분석 및 시사점

  • Received : 2017.01.15
  • Accepted : 2017.03.26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American teach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provide it's implications. For this, the study analyzed the main traits of American teacher polic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s teacher cultivation system, Pennsylvania State's teacher certification, selection, and recruit system, the master teacher system of New Jersey and New York State. The main results are as the followings. First, American teacher policy is variously operated by state government and school district based on variety and autonomy. Second, for teacher cultivation in American teacher policy, the evaluation on the teacher cultivation program of teacher cultivation institute(mainly university) is strictly administrated. Third, for teacher certification, various tests for gaining teacher certificate are administered and standardized tests are used for the tests. Fourth, for teacher selection and recruit, there is no special test for selection and teacher recruit is done by contract. Fifth, for quality management using excellent teacher, America is administering master teacher that is similar with master teacher system in Korea. Finally, the innovation of teacher cultivation institute by introducing Every Student Succeeds Act(ESSA) is anticip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Korean teacher policy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교원 질 관리체제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 교원정책의 주요 특징,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의 교원양성체제, 펜실베이니아주의 교원자격, 선발 및 임용체제, 뉴저지주 및 뉴욕주의 수석교사제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교원정책은 다양성과 자율성을 기반으로 주정부 및 학교구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어 일률적으로 제시하기가 어렵다. 둘째, 미국의 교원정책에서 교원양성의 경우 교원양성기관(주로 대학)의 교원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엄격히 시행하고 있다. 셋째, 교원자격의 경우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한 다양한 시험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시험은 별도로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 표준화된 시험을 사용하고 있다. 넷째, 교원 선발 및 임용(채용)의 경우 선발을 위한 별도의 시험제도는 없으며, 임용(채용)은 계약직으로 이루어진다. 다섯째, 우수교원을 활용한 질 관리의 경우 미국은 수석교사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운영 중인 수석교사제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최근 "모든 학생의 성공법"의 도입으로 교원양성기관의 개혁이 예상된다. 이러한 주요결과를 토대로 한국 교원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