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양 교육과정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연구 -C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form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for the innov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 박종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285-290
    • /
    • 2022
  • 4차 산업혁명의 21세기는 산업화 시대에서 요구하던 것과는 다른 '역량'을 새로운 교육적 개념으로 요구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사회의 이러한 변화와 요구에 따라 교양 및 전공 교육에서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핵심역량 기반교육과 이를 통한 교육의 혁신을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대학들은 다양한 재정지원사업을 위해 교양교육을 전면적으로 개편하여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편에 대해 C 대학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각 대학들은 대학의 설립이념에 따라 다양한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교양교육 측면에서 핵심역량 강화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양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있다. C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을 위해 부족한 핵심역량 과목을 개발하여 제안하였고, 교양교육 특성화를 위해 다양한 마이크로디그리를 제안하였으며,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메타학습 관련 교양 교과목을 제시하였다.

융합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in General Education for Enriching Convergence Education)

  • 김대영;현민철;김정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21-228
    • /
    • 2019
  • 대학의 교양교육은 전공교육에 비해 본래의 교육적 의의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시급한 단계는 바로 현재 각 대학이 편성 운영 중인 교양교육에 대한 정확한 진단에서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교육을 평가할 수 있는 교양교육과정 평가도구의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이 이론적으로 교양교육과정 평가도구를 단편적으로 나열한 것에서 벗어나, 평가항목 간 상대적 중요도를 AHP 분석기법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평가도구의 배점을 결정하였다. AHP 분석 결과 교양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평가 중 편성의 영역이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났으며, 후순위로는 운영과 평가 영역으로 나타났다. 전체 22개 평가 지표 중 가장 높은 가중치로 결정된 지표는 "교과목 편성의 적절성"으로 나타났으며, 2순위로 "교양교육과정 목표의 적절성"이 선정되었다.

일본의 교양 정보교육과정 표준 분석을 통한 한국 대학의 교양 정보교육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s toward the Liberal Arts Informatics Curriculum of Universities in Korea through Standard Analysis of Japan's Liberal Arts Informatics Curriculum)

  • 김미정;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3-22
    • /
    • 2020
  • 본 연구는 일본 교양 정보교육과정 표준을 분석하여, 한국 대학의 교양 정보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J07-GE, J17-GE와 관련된 다양한 보고서들을 중심으로 두 표준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개정판인 J17-GE가 반영하는 정보학에 대한 지식의 범위와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CS에 관한 교육과정 표준들의 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팅 사고력 관점과 일본 정보학 정의에 기반한 J07-GE, J17-GE를 통해 정보의 원리와 지식은 보편적인 교양으로서 전체 대학생의 역량을 길러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는 지식체계 뿐 아니라 시수, 방법 등에 대한 논의가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 교양 정보교육의 내실화 및 교양 정보교육과정 표준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공과대학 교양교육 개선 방안 탐구: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able Proposal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Engineering College - A Ca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 이희원;민혜리;이경우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24-32
    • /
    • 2008
  • 한국의 공과대학의 교육 목표는 1) 전공교육의 강화, 2) 팀워크능력, 커뮤니케이션 스킬, 비판적 사고력 등을 포함하는 공과대학 소양의 함양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이 두 가지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도로 제안된 것이 공학소양교육이다. 현재 공과대학의 교양교육 개선안에는 전공에 구애받지 않는 보편적 교양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미국형과 일반 교양교육과 구분되는 공학소양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형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공학소양교육과정을 교육과정 개편에 적용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개편 내용과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 논문에 제시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양교육 개선안은 교양교육의 학점 중 학생들의 자유선택 과목의 비중을 줄이고, 공학소양교육으로 이수하게 하는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방안은 전공에 구애받지 않는 공통적 교양교육의 틀을 지키면서 전공과 단과대학의 특성을 반영하는 전공소양형 교양교육을 강조하는 현실적 방안으로 평가될 수 있다.

미국의 공과대학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about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Engineering College in the United states)

  • 김명랑;박혜영;장선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5-19
    • /
    • 2007
  • 공과대학은 다른 인문, 사회 계열과는 달리 교양교육과정이 전공과정과 뚜렷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어떤 형태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느냐에 따라 학생의 학습 성과(outcomes)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공과대학에서는 공학교육인증(ABEEK) 시행에 따라 그 기준에 부합하는 교양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법상의 문제에 많은 혼란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우수한 공과대학으로 꼽히고 있는 스탠포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 메사추세스공과대학(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로즈헐맨공과대학(Rose-hulman Institute of technology)과 프린스턴대학교(Princeton University)와 미시간대학교(Michigan University-Ann Arbor) 그리고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와 캔자스주립대학교(kansas state University)의 교양교육과정을 비교하여 한국 공과대학 교양교육과정 구성에 시사점을 찾기 위해 구현방식과 학문적 영역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전문교양 교과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Engineering Education)

  • 김희정;김성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621-1627
    • /
    • 2011
  • 공학교육인증기준 KEC2005에서는 프로그램의 교육목표와 학습성과를 달성하도록 전공은 물론 수학, 기초과학, 전산학, 전문교양과 관련된 충분한 교과목이 제공되는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전공 교과목 이수 뿐 아니라 전문교양 교과과정에 대한 성취도 중요시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공학기본소양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현재 공학교육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는 여러 대학들의 인증 프로그램 교과과정 중 전문교양 교과과정 구성의 실태분석을 통한 전문교양 교과영역의 전형적인 모형을 도출하였다.

대학교양 교육과정 개발의 융합적 접근 - 소매틱스(Somatics)에 기반한 체육교양강좌 사례연구 (An Integral Approach in Liberal Arts Curriculum of Higher Education - A Case Study on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Somatics)

  • 임수진;김수연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3호
    • /
    • pp.117-13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교육을 지향하는 체육교양강좌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 전반적인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체육교양강좌의 융합적 접근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융합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체육교양강좌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대학교양 융합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체육교양강좌에서 융합적 접근을 실천하는 서울 소재 서울소재E여자대학교의 체육교양강좌, "움직임을 통한 감정 코칭"을 2017년 3월부터 11월까지 수업관찰하고 심층면담(7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움직임을 통한 감정 코칭" 수업은 다학제간 교육과정, 인문학적 방법론, 이론과 실제의 통합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움직임을 통한 감정 코칭은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몸이해'를 위한 학제간 교육이다. 둘째, 긍정심리학과 신경생리학적으로 접근하여 '텍스트의 일상화'를 실천하는 융합교육이다. 셋째, '이론과 실습이 통합'된 체육교양강좌이다. 이러한 결과는 체육교양강좌를 통해 자신의 신체를 이해하고, 일상적이고 고정적인 움직임 및 반응의 패턴을 스스로 관찰함으로써 사고 및 행동의 전환을 촉발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타인을 이해하는 공감 능력을 함양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변화된 교육환경에 따른 환경공학교육의 방향설정 연구 (A Propos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Education on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s)

  • 전항배;전동걸;임현우;양효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65-372
    • /
    • 2012
  • 최근의 사회는 엔지니어에게 국제사회와 미래를 이해할 수 있고, 리더십을 갖춘 전문기술자가 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전문교양교육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켜 주어야 하며, 글로벌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강화돼야 한다. 7차 교육과정 이후 소홀해진 과학교육으로 인해 저하된 이공계기초 교양교육을 강화시켜 공과대학 학생들의 전공수학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엔지니어의 인성 및 기초교양 교육은 2009 교육과정을 통하여 초 중 고부터 대학으로 이어지는 연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으로 완성될 수 있다. 아울러 대학 및 학과특성화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주고, 사회가 요구하는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도록 해야 한다. 환경공학은 학제간 융복합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다전공제도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공계기초 과목의 이수기준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환경공학 맞춤형 교양교육컨텐츠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학 교양교육의 변화 - 하버드 교양교육 보고서를 중심으로 - (Change in General Education - Based on the Harvard Reports on General Education -)

  • 정철민;유재봉
    • 비교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189-210
    • /
    • 2016
  • 현대 사회의 급격한 변화는 대학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교양교육에 있어서도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도록 만들고 있다. 이 글은 오늘날 대학의 화두가 되고 있는 교양교육과 관련하여 변화의 방향이나 정당성 등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양교육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는 일련의 '하버드 교양교육 보고서'를 교양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검토한다. '하버드 교양교육 보고서'들은 교양교육의 이상으로서의 자유교육 아이디어를 단순하게 적용하기 보다는 현대의 시대적 사회적 맥락에서 재해석 내지 재검토 하고 있다. 이 점은 오늘날 교양교육이 직면한 위기, 즉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혹은 직업교육과의 관계를 재정립하거나 사회 변화상의 반영 방안 마련 등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