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able Proposal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Engineering College - A Ca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공과대학 교양교육 개선 방안 탐구: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Lee, Hee-W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
  • Min, Hye-Ree (Seoul National University,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
  • Yi, Kyung-Woo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희원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
  • 민혜리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
  • 이경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Engineering Colleges in Korea have two educational objectives: 1) strengthening of speciality 2) cultivation of the engineering literacy such as the ability of working together,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and creative thinking. In order to achieving these objectives, Engineering Literacy education was originated. The improvable proposal of general education course of engineering college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American type that emphasizes on the general education independently of major. The other is Korean ABEEK's type that attach importance to engineering literacy. This study researches the ca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at applied ABEEK's engineering literacy on redesigning the curriculum. To redesign the curriculum, college of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reduced the optional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and had the students complete the engineering literacy. This device is effective, because it is able to keep the universal general education and make the most of major's characteristics.

한국의 공과대학의 교육 목표는 1) 전공교육의 강화, 2) 팀워크능력, 커뮤니케이션 스킬, 비판적 사고력 등을 포함하는 공과대학 소양의 함양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이 두 가지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도로 제안된 것이 공학소양교육이다. 현재 공과대학의 교양교육 개선안에는 전공에 구애받지 않는 보편적 교양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미국형과 일반 교양교육과 구분되는 공학소양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형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공학소양교육과정을 교육과정 개편에 적용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개편 내용과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 논문에 제시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양교육 개선안은 교양교육의 학점 중 학생들의 자유선택 과목의 비중을 줄이고, 공학소양교육으로 이수하게 하는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방안은 전공에 구애받지 않는 공통적 교양교육의 틀을 지키면서 전공과 단과대학의 특성을 반영하는 전공소양형 교양교육을 강조하는 현실적 방안으로 평가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군 외(2006). 한국공학교육의 현황과 과제. 공학교육연구, 9(2), 21-33
  2. 강소연, 최금진, 함승연(2005). 신인증기준 실시에 대한 제안. 공학교육연구, 8(2), 52-63
  3. 권영욱(2006). 공학인증제와 대학의 기초교양교육. 2006년도 춘계 대학교양교육협의회 심포지움 자료집. 75-83
  4. 김대영 외(2006). 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9(2), 34-51
  5. 김상길(2006). 공학교육인증제에서의 교양교육의 역할과 과제. 2006년도 춘계 대학교양교육협의회 심포지움 자료집. 42-71
  6. 김태훈(2005). 공과대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 전략과 자아조절 관련 변인과의 상관 연구. 공학교육연구, 8(2), 64-83
  7. 민경찬 외(2005). 기초학문 진흥 및 확산을 위한 대 학교양교육 강화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 책연구과제 2005-공모-03
  8. 박진원 외(2007).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한 공학교육 당사자들의 인식조사 결과 분석. 공학교육연구, 10(1), 20-33
  9. 이소이 외(2005). 공과대학의 공학윤리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 공학교육연구, 8(2), 35-51
  10. 이경우 외(2003). 공과대학 교양교육 체계 개선 방향 연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학교육연구센터 자료집
  11. 한국공학교육학회(2005). 공학소양 교과목 DB 구축사업
  12. http://www.gatech.edu/degrees/ 조지아 공과대학
  13. http://web.mit.edu/catalogue/degre.intro.shtml MIT 공과대학
  14. http://www.stanford.edu/dept/registrar/bulletin/ind ex.html 스탠포드 공과대학
  15. http://www.abeek.or.kr/center 한국공학교육인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