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학습콘텐츠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27초

유아교육기관 방과 후 특별활동에 대한 의미 탐색 (Exploring the Meaning of Extracurricular Specialized Ac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정인선;김보림;박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72-384
    • /
    • 2019
  • 본 연구는 이론적 견해와 현실의 불일치 속에서 점차 확대되어 가는 유아교육기관의 방과 후 특별활동에 대한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방과 후 특별활동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는 세 곳의 유아교육기관의 수업현장을 관찰하였으며 강사와의 면담을 실시하여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 결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방과 후 특별활동은 유아들에게 '새로움과 즐거움의 공존', '학습으로서의 의미', '다양한 교수 매체 경험'과 정규수업과 다른 현실 속에서 '피할 수 없는 한계'로 분석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질 높은 방과 후 특별활동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정규교육과정과 방과 후 특별활동 과정이 상호보완적 협의와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하며 나아가 바람직한 방과 후 특별활동 과정을 위하여 수업환경 개선 및 강사의 지속적인 연수와 교육이 요구되어진다.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요구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n Early Childhood Value Education)

  • 배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43-351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들의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경기도 공사립유치원 교사 81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들이 느끼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의 어려움은 '가치교육의 구체적 교수방법과 실행에 대한 정보 부족', '가치교육보다 우선시되는 다른 교육내용', '유아가치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것은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가치교육의 연계', '가치교육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가치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와 참여', '가치교육에 대한 기관의 교육철학의 확립'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요구하는 가치교육 자료는 실행사례집, 동영상, 부모교육 자료 등, 요구하는 교사연수의 방법은 온라인 영상연수, 직무연수, 전문적 학습공동체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바른 인성에 대한 논의와 유아가치교육을 분리되지 않는 맥락으로 연계하길 바라는 교사의 요구를 파악하였다는 점, 실천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학부모와 함께 만들어가는 가치교육에 대한 요구가 표출되었다는 점, 교사가 원하는 자료와 연수 유형을 밝혀 유아가치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이공계 졸업생의 좋은 대학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Analysis of Subjectivity on Good Universiti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s)

  • 홍성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45-457
    • /
    • 2022
  • 학생 중심을 표방하는 대학이 늘고 있으나, 학생들이 생각하는 좋은 대학이 어떠한 모습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 연구는 좋은 대학의 여러 특성 중 학생에 따라 어떤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간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연구방법인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이공계열 졸업생의 좋은 대학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로 학생들의 교육 경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Q 방법론의 연구절차에 따라서 선행 연구와 대학의 질 관리 기준에 기초하여 29개의 진술문을 개발하고, 사회진출에 성공한 이공계열 졸업생 16명에게 진술문을 Q 표본 배열표에 맞게 분류하도록 하였다. 진술문의 선호도에 따라 참여자들은 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학생 경험 중심형인 제1유형은 학생이 교내외 다양한 활동과 경험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지원하는 대학을 좋은 대학이라 인식했다. 대학 성과 중심형인 제2유형은 취업률, 연구성과, 입학 성적과 같은 지표를 보고 좋은 대학을 판단했다. 교육 활동 중심형인 제3유형은 대학을 하나의 공동체로 인식하며 교수와 학습의 질을 중요하게 여겼다. 이 연구는 학생의 입장에서 좋은 대학에 대한 상대적인 인식 차이를 분석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의 질 관리와 개선을 위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대학생의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 김희성;박인호;왕문혜;황의균;이민수;이길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79-18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교육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Korea Educational Longitudinal Survey) 2005'에서 수집된 11차(2018) 데이터를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의 종속 변수는 Tinto 모델을 기준으로 학업몰입, 사회적 몰입, 이를 통합한 대학몰입으로 구성하였다. 대학생의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수준 변인을 확인한 결과, 대학생활 변인인 학습 과정, 학업 태만, 대학풍토, 교수와의 교류, 친구와의 교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생의 개인배경 중 성별이 학업몰입과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학생활 변인을 추가한 모델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개인배경과 대학배경을 투입한 모델에서는 모두 여학생이 학업몰입과 대학몰입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배경 중 사회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공계열이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의약 계열의 사회적 몰입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플립러닝 적용 사례연구: 사회계열 교과목과 공학계열 교과목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Untact Online Classes: Focusing on Social and Engineering Subjects)

  • 성미영;박용한;정세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10-32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사회계열 교과목과 공학계열 교과목을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플립러닝 적용사례를 분석하였다. COVID-19라는 사상 초유의 상황으로 인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면대면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없게 되면서 기존의 플립러닝 수업이 전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진행된 사례를 사회계열 교과목과 공학계열 교과목으로 구분하여 분석해본 결과, 전면 비대면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온라인 수업으로만 진행하더라도 기존 플립러닝 수업과 유사한 효과성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집중이수제 등 대학의 학사제도 유연화와 연계하거나 융복합 교과목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운영한다면 플립러닝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측된다.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for e-Learning Utilization Using the Delphi Technique: Focusing on Scuba Diving Education

  • Sung-Soo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143-153
    • /
    • 2024
  • 이 연구는 델파이 분석을 활용하여 스쿠버다이빙 교육현장의 이러닝 활용실태와 개선방안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닝으로 스쿠버다이빙 교육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스쿠버다이빙 교육단체 소속 스쿠버다이빙센터 및 리조트의 경영대표, 교육팀장 등 운영에 관련된 전문가 25명을 대상으로 3차례에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러닝 활용실태와 개선방안 요인을 비교 분석한 결과 활용 기대효과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 학습활동의 시간적 유연성, 상품에 대한 접근성 용이가 중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문제점에서는 단순한 필수시험 합격, 단순한 설명의 피드백으로 전문성 결여, 학습자와 교수자 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미비가 중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에서는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연계한 소통, 필수시험은 오프라인으로 실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중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발전방향에서는 주기적인 프로그램 품질평가 실시, 다양한 다이빙 커뮤니티로의 연계, 담당 튜터 배정이 중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지식채널e>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Perceptions of the Knowledge of the Channel ⓔ as educational media for school teachers)

  • 박유신;나여훈;장은주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9호
    • /
    • pp.425-464
    • /
    • 2017
  • <지식채널e>는 한국교육방송공사의 미니 다큐멘터리로서, 교육 콘텐츠로 널리 활용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식채널e>의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실태를 조사하여, 성공적인 교육 콘텐츠의 특성을 분석하고, 교육용 미디어 콘텐츠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 중, 고등학교 교사 3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교 교육에서 <지식채널e>의 활용 빈도, 접근 방법, 학습 활동, 문제점 및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식채널e>가 학교 교육에 활용되는 빈도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순이었으며, 교사들은 교육을 위한 방송 콘텐츠를 선정할 때 교육과정 내용과의 적합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채널e>는 수업 동기 유발 자료로 주로 활용된다. 초등 교과별로 살펴보면, 사회, 도덕, 과학 등 내용 지식의 성격이 강하거나 다양한 관점의 접근이 필요한 주제에서 활용도가 높다. 그러나 수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자료를 찾기가 어렵고, <지식채널e>와 유사한 콘텐츠가 풍부해졌기 때문에 <지식채널e>에 대한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식채널e>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개선하고, <지식채널e>의 제작 방식을 소셜 미디어 환경에 맞게 전환해야 한다.

웹기반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Web-Based Ventilator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 최영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84-5291
    • /
    • 2012
  • 본 이 연구는 간호현장의 간호요구를 반영한 웹기반의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업무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교육프로그램은 ISD 모델 구축과정인 분석, 설계, 개발, 운영, 평가의 방법으로 개발되었다.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2011년 4월부터 7월까지이며,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였다. 분석단계에서 문헌고찰과 요구도분석, 내용분석, 학습자분석, 기술 및 환경분석 등이 실시되었다. 이 과정에서 인공호흡실무에 대한 교육요구가 높았고 대상자의 다수는 30세 이하로 3년 미만의 중환자실 경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설계단계에서는 내용전문가 집단이 제공한 콘텐츠 교육내용을 프로그램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정보설계, 상호작용설계, 동기설계가 시행되었다. 또한,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학습단원의 정보를 구분하여 구성하고, 각 주제 단원마다 그래픽, 음성, 동영상을 삽입하여 교육의 효과를 증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돕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포함하여 설계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이야기 전개도를 작성하고 관련문헌과 자료 검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통합 제작하였다. 운영 및 평가단계에서는 개발된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전문가와 대상자로부터 교육프로그램을 평가한 후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본 웹기반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구축단계에서 간호실무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되어 간호업무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Foreign Undergraduates on Online Lecture

  • Kim, Yoon-Hee;Lim, Eun-j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203-212
    • /
    • 2020
  •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경험한 비대면 온라인 학부 강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온라인 강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A 대학과 B 대학에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외국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한국 대학에서 진행될 온라인 강의의 설계 방향과 보완책, 그리고 나아갈 방향 등을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E 캠퍼스를 통한 비실시간 강의는 강의를 반복해서 학습할 수 있고 집에서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점을 장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Zoom을 활용한 실시간 강의는 교수-학습자간 소통이 가능함을 장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두 가지 유형의 강의 모두 과제가 많고 강의가 끝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집중하기 어려움을 단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앞으로의 고려할 점으로 강의 내용의 양과 과제의 양, 그리고 강의 영상의 음질과 상태임을 알수 있었다. 평가 방식으로는 오프라인 평가보다는 온라인 평가를 선호하였으며 절대 평가보다는 상대 평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각 대학의 온라인 강의의 설계 방향과 온라인 콘텐츠 개발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DACUM 기법을 활용한 간호대학생의 학교현장실습 직무분석 (Job Analysis for Nursing Student in Pre-Service Health Education Teacher Practicum using DACUM Method)

  • 서요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64-67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초등학교 현장실습에 관한 직무 및 과업을 DACUM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J도에 소재한 일 간호대학의 보건교사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초등학교 현장실습과정을 수행한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DACUM 워크숍을 실시하여 임무, 과업, 과업별 중요도, 난이도, 빈도 등의 직무내용을 분석하였고,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도구, 장래전망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직무분석 내용은 J시, I시, G시 등의 학교현장전문가 7인과 교육학전공 교수 2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DACUM 차트를 개발하였다. DACUM 차트는 6개 임무와 24개 과업으로 구성되었고,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이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로는 초등학교 학교현장실습의 임무 중 건강관리는 가장 중요도가 높은 과업으로 산출되었고, 교수학습능력과 문서작업능력이 실습을 위한 기본적인 기술로 제시되었다. 학교현장에서의 보건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에 대한 중요도는 증가되므로 보건교육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기관의 제도적 노력과 교육환경 개선 등의 뒷받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