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학습콘텐츠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28초

클라우드 기반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행아웃 학습시스템 도입사례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loud-based Education System: Introducing Hang-Out Education System)

  • 이성철;박주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31-36
    • /
    • 2015
  • 전자통신 및 스마트기기 사용의 확산과 더불어 스마트플랫폼 시대에 맞는 강의 및 새로운 서비스 구상이 필요하고, 다양한 콘텐츠 및 시스템 변화에 대비하여 교육 시스템을 설계, 구현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 사이버 대학들도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캠퍼스 구축 등 융복합 기술을 통한 새로운 정보통신 환경에 부합하는 교육시스템과 네트워크 기반 구축에 빠르게 대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의 사례연구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설계와 구현, 활용효과를 제시함으로서 효과적인 도입 방법 및 개선점 등을 시사하는 것이다. K대학의 행아웃 학습시스템 도입사례를 통해 교수와 학생간 자유로운 의견 교환 및 정보공유를 통해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가 향상되었고, 시간 및 운영비용 등의 절감을 통해 효율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실시간 영상강의의 새로운 모델을 발굴하고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플랫폼을 제시한다.

영화영어를 통한 영화리터러시 교육방안 (A Model for Teaching Film Literacy through Movie English)

  • 서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79-790
    • /
    • 2021
  • 영화리터러시는 영화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에 대한 이해와 영화 내용에 대한 이해, 그리고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과정을 통해 새롭게 창작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영화리터러시를 글쓰기, 과학, 사회, 지리 등 교과에 적용하거나 인문학적인 소양 기르기, 비판적 사고 능력함양 등에 활용되고 있으나, 영화에서 대사가 차지하고 있는 큰 비중을 고려해보면, 영화 속 영어 대사를 이용한 리터러시 교육이 의외로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화 영어는 실제적이고 진정성 있는 자료로 우리나라와 같은 EFL 환경에서는 영어 학습 교재로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영화를 이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영화 내용과 장르별로 달라지기 때문에, 교사가 수업을 구성하고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를 이용한 영어교실에 공통으로 적용해볼 수 있는 수업 활동을 분석, 문화, 창의 영역으로 나누어 총 6가지를 제안하였고, 이를 대학교 교양 영어 수업에서 4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설문 조사를 통해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가장 선호한 활동은 문화, 분석, 창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영어 수업을 벗어나는 창의적 활동이나 교수자가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추가 자료는 학습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지도해야 한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재난분야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비대면 교육의 개선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Survey of Improvement of Non Face to Face Education focused on Professor of Disaster Management Field in COVID-19)

  • 박진찬;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640-654
    • /
    • 2021
  •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국가재난상황에서 정상적인 교육운영이 어려웠다. 비대면 교육은 기존의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지만 동일한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기란 쉬운 일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분야 교수자가 비대면교육의 전반적인 운영과 진행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비대면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연구방법: 비대면 실시간 교육을 크게 수업이전(Pre-class), 수업 중(In-class), 수업 이후(Post-class) 로 분류하여 교수자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개선점을 파악 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조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이전에는 교수자를 위한 비대면 교육공간을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고 비대면 교육장비와 시스템에 대한 사전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또한 수업에 관한 공지를 충분히 함으로써 교육이 원활하게 운영 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실습교육을 위한 비대면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비대면 수업 중에는 교수자와 학습자 그리고 학습자간의 의사소통이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토론식 수업을 적극 활용하여 학습자의 교육 참여를 이끌고,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교육효과를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비대면 수업이후에는 영상기록물로 인한 사생활 보호에 관한 정책을 마련해 사전에 교수자의 사생활을 보호해야 하고 교육 자료에 대한 저작권침해 부분 역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고안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인터뷰 결과를 살펴보면 비대면 교육의 구성요소인 콘텐츠에서는 비대면 교육이 교육 설계부터 비대면 교육에 맞는 교육 인원, 내용, 커리큘럼에 대한 세밀한 계획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시스템에서는 교수자가 비대면 수업을 하기 전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교육을 통해서 교수가 프로그램의 기능을 충분히 익히고 숙지할 수 있는 시간을 줄 필요가 있고 비대면 교육 전 사전점검을 철저히 하고 만일의 문제에 대비하여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helpdesk를 운영을 할 필요가 있다.

국내 로봇활용 SW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2006년~2016년을 중심으로 (Domestic Research Trends on Software Education Using Robot: From 2006 to 2016)

  • 이정민;박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90-205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로봇활용 SW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로봇활용 SW교육 및 연구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최근 11년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로봇활용 SW교육 관련 논문 108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로봇활용 SW교육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연구방법은 개발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과반수이상의 연구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래밍 도구로는 스크래치, NXT-G 등을, 로봇 도구로는 마인드스톰 시리즈, 피코크리켓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봇활용 SW교수설계 시 PBL, CPS 등의 교수설계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로봇활용 SW교육은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로봇활용 SW교육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고, 향후 로봇활용 SW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유아 교사들의 창의성교육에 관한 개념을 인식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Perceiving Creativity Concept by Kindergarten Teachers)

  • 장인희;김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5-3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유아 교사들이 창의성 교육에 관한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과정에 관하여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면접대상자는 서울 소재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현직교사 4명이며,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통하여 면접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방법 중 木下(기노시다)의 수정근거이론(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을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유아교육 분야의 전문가 집단이라 할 수 있는 유아 교사들은 독특한 사고, 풍부한 표현력 등이 창의성교육의 핵심개념이라고 파악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개념은 주로 아이들과의 직접적인 만남이 이루어지는 학습, 누리과정 교수 등을 통해서 창의성 개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보다 앞서 수행된 초 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성 개념을 탐색한 선행연구와 비교해 볼 때, 유아 교사들은 창의성 교육에 관하여 상당히 일치된 핵심개념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비교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개념이 일관성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유아들에게 개념 및 교수방법 등이 양호하게 잘 전달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대학의 교원교육을 위한 최근의 노력 및 동향 분석 :중국의 교수학습지원시스템을 중심으로 (Analyzing Recent Trends and Efforts for Developing Teaching Competences in China's Higher Education)

  • 장지선;나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40-149
    • /
    • 2020
  • 중국은 최근 세계적인 변화의 요구에 발맞춰 2012년 10월 중앙정부의 주도 아래 중국 내 30개 대학의 교원교육발전센터(CFD)를 국가급 '교원교육발전시범센터'로 지정하면서, 본격적인 대학교육의 질적 제고 및 교원의 수업전문성 제고 정책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중국 대학의 CFD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미래의 발전 방향 등에 대해 제언을 하고자 중국의 허베이성(河北省)에 위치한 H대학의 교원교육발전센터(CFD)의 운영 사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적인 수준에서는 중국의 교육부 공표 데이터를 활용하여 그간의 중국 고등교육의 발전 현황을 양적인 입장에서 분석하였으며, H대학의 CFD 프로그램 참여 교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교수활동에 관한 인식과 CFD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한·중 양국 간의 고등교육 분야의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는 현실에서 중국 고등교육의 발전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은 향후 한중 고등교육의 교류를 촉진하고 발전시키시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국제 스포츠 행사를 위한 영어교육 방안 (English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ports Events)

  • 김지은;유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589-596
    • /
    • 2015
  • 본 연구는 (1)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영어 교육 준비 실태를 파악하고 (2) 영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영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국제 스포츠행사를 위한 효과적인 영어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제스포츠 행사 교육 관리 관계자와 전화 인터뷰를 하거나 자료를 제공받았고 그 결과, 조직위에서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관계자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며, 강릉시에서는 글로벌리더나 통역봉사단 등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으로 나누어 언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릉시 글로벌리더 양성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들과 최근 국제 스포츠 행사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26명을 대상으로 국제 스포츠 행사 영어 교육을 위한 설문을 한 결과, 국제 스포츠 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가르치는 영어교육 수업이나 이에 가장 적합한 수업 방법에 대한 요구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어 잘하는 사람들을 최대한 잘 활용하기 위해 DB구축을 체계적으로 잘하고, 이들이 선발된 이후에는 단기간 동안 본인이 맡은 봉사 직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영어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이에 적합한 교수법과 교수 내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다.

웹기반 사이버 강의의 영향 요인 분석 연구 (Influencing Factors in Implementing the Web-Based Cyber Education)

  • 이석열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35-242
    • /
    • 2005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사이버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먼저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그 특성을 고찰하고 사이버교육의 평가준거들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교육효과 관련 변인들을 선정하였다. 연구 모형은 체제론에 입각한 투입-과정-산출 모형을 적용하여 투입변인은 교수, 학생, 학습 환경이고, 과정변인은 교육내용, 상호작용, 강의참여이며, 산출변인은 교육효과성과 교육만족도로 하였다. 분석은 투입-과정-산출과정에서 관련 변인들이 어떤 관계가 있으며, 실제 사이버교육에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이버강의에 참여하고 있는 19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사이버교육에 참여한 시간이 많거나 성적이 높을수록 사이버교육 효과에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둘째, 사이버교육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처음에는 교수의 역할이 중요하다. 셋째, 사이버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교육의 교육내용과 학생들의 강의참여가 중요하다.

  • PDF

디지털 융합시대의 보건복지 인력 대상 직무교육 오픈 플랫폼 도입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the Introduction Plan of an Open Platform for Health and Welfare Human Resource Education of the Digital Convergence)

  • 최영순;노규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69-178
    • /
    • 2021
  • 우리는 곧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마주하게 될 것이다. 현재,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에서 운영 중인 보건복지 인력 대상 직무교육 본래 목적 달성과 교육 일관성 유지를 위한 변화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고에서는 보건·복지 직무교육 콘텐츠를 집적하여 효율적·효용성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대안을 찾기 위해 국내·외 문헌고찰을 했다. 이를 통해 오픈 플랫폼 구축 가능성을 점검하고 충분한 대안으로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오픈 플랫폼의 수요자는 보건복지 서비스 인력(종사자), 전문가(교수, 관련기관 공직자, 전문가 등), 대상 국민, 관련 시민사회단체 등이다. 또한, 제공자(suppliers)는 강사진(연구자, 교수, 관련기관 공직자, 전문가 등), 보건복지개발원을 포함 보건복지 관련 공공기관이 될 것이다. 보건복지 부문 직무교육 오픈 플랫폼 구축을 통해 대상자의 교육 접근성과 학습관리시스템 운영이 가능하겠다, 무엇보다도, 교육 전문가의 업무 중복과 예산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교직과목 수업에서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MTBL) 활용 사례 연구: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사례 (The Case study of using MTBL(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in a Teaching Profession Course: A Case Study on the Instruc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Class)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97-51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이라는 교직과목에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MTBL)을 활용한 수업사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과목에 MTBL를 활용한 팀별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16주간의 수업진행 후 본 사례연구에 대한 개방형 설문과 심층인터뷰를 실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사례연구에 MTBL 활용은 이론중심의 교직과목에 다양한 교육매체를 활용한 수업으로 '흥미, 재미', '능동적인 학습 참여' 등 학습자들의 호의적인 반응과 이와 다르게 MTBL의 활용은 '교직과목과 연계가 안됨', '융복합수업의 어려움' '수업 이외 개별 공부 시간이 요구됨' 등 교직과목에서의 MTBL 활용에 대한 부정적인 학습자들의 시각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교직과목에서 MTBL 활용은 부분적으로 본 사례연구 과목을 이해하는 도움이 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론중심의 교직과목에 MTBL의 활용은 현재까지 어려움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MTBL 수업은 하나의 새로운 교수-학습 접근 방안으로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직과정의 개발 및 운용을 위해 더 많은 사례연구과 수업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