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신념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7초

정보 교사의 신념 범주화를 위한 준거 분석 (Analysis of Criteria for Categorization of Informatics Teachers' Beliefs)

  • 정웅열;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221-22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문헌 고찰과 전문가 검증을 통해 정보 교사가 가지는 신념을 정의하고 신념 체계의 범주화를 위한 준거를 분석하였다. 신념은 대상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뜻하는 개념으로 개인의 지식 체계를 구성하고 개인의 행동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는 성향을 가진다. 따라서 정보 교육에 대한 정보 교사의 신념은 정보 교육의 목적과 성격, 교수 방법이나 학습 방법 등을 내면화하고 교육적 행위를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보 교육에 대한 정보 교사의 신념 형성요인 및 신념 형성 과정 분석을 위한 후속 연구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 PDF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nstrument)

  • 강문봉;김정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19-537
    • /
    • 2014
  • 본 연구는 수학 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 효능감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수학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문헌 연구를 통하여 추출하고, 효능감 측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학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수학 교수 효능기대, 수학 교수 결과기대, 교수학적 내용 지식, 학생에 대한 교사의 신념, 교사의 과거 수학학습 경험에 대한 신념,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기대라는 6가지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요인에 기반하여 30문항으로 구성된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MTEI)를 개발하였다.

  • PDF

물리 학습을 돕기 위한 단계적 상황 교수·학습 전략 및 적용 (Strategy and Application of Phased Context Teaching-Learning for Helping Physics Learning)

  • 송영욱;최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3호
    • /
    • pp.333-342
    • /
    • 2015
  • 이 연구는 단계적 상황 교수자료를 개발하고 대학 물리학 수업에 적용하여 물리 학습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방 소재 대학의 사범대학 자연계열 1학년 대학생 총 35명으로 했다. 단계적 상황 교수자료는 상황 이상화하기, 상황 확장하기, 상황 비교하기 단계로 개발하고, 일차원 운동, 이차원 운동, 뉴턴의 운동 법칙 등 6차시 물리 수업에 적용했다. 물리 학습에 대한 효과는 힘 개념 검사지(FCI)와 물리 학습에 대한 신념(MPEX)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했다. 연구결과 단계적 상황 교수자료는 대학생의 힘 개념 변화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물리 학습에 대한 신념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단계적 상황 교수 학습 전략으로 개발된 교수자료는 학생에게 과학개념을 다양한 상황에 적용하는 기회를 주어 물리 개념 변화를 돕는 데 효과가 있다. 끝으로 연구 결과들을 통해 단계적 상황 물리 수업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했다.

  • PDF

${\cdot}$ 중학생들의 수학적 신념 형성의 요인 분석 -수학 교실의 사회적 규범을 중심으로-

  • 권미연;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8권
    • /
    • pp.189-207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 ${\cdot}$ 중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알아보고, 그러한 신념을 형성하는 요인들을 수학 교실의 상호작용에서 찾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1, 2, 3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질문지로 조사하였으며 각급 학교의 수학 교실에서 벌어지는 교수-학습 과정을 비디오로 촬영하여 각 교실의 사회적 규범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학생들은 수학은 이미 만들어진 규칙과 용어들로 이루어졌고 그 규칙에 따라 주어진 문제를 풀어 답을 구하는 것이 수학적 활동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이러한 신념은 각급 교실에 형성된 사회수학적 규범과 일치했으며, 특히 개념설명과 새로운 전략 및 오류에 대한 반응과 관련된 사회수학적 규범이 학생들의 수학적 활동을 제한함으로써 그들의 신념을 결정하고 있었다.

  • PDF

예비 과학교사들의 상대주의 인식론과 과학 교수·학습관 사이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lativist Epistemology and their Pedagogical Beliefs)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1-233
    • /
    • 2002
  • 본 연구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기초를 이루는 존재론 및 인식론적 신념 등의 철학적 근거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이해력을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의 예비 과학교사들이 참가한 교사양성 프로그램은 구성주의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과 일관된 철학적 개념들을 명시적으로 논의 및 검토하였다. 본 교사양성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들이 지닌 존재론 및 인식론적 신념들이 과학교사로서의 역할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반성적으로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하였다. 4회의 심충 인터뷰를 통하여 얻어진 자료는 각 예비 교사들의 존재론, 인식론 및 교수론적 신념에 있어서의 변화를 추적하는데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이들 예비 교사들의 존재론 및 인식론적 신념들이 그들의 과학 교수${\cdot}$학습관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어떤 예비 교사들은 관념론과 상대주의자의 관점을 내면화하였지만 그들은 이러한 상대주의 인식론적 관점을 그들의 수업의 실제상황 속으로 통합하고 있지는 않았다. 또한 오류 가능성이 있고 잠정적인 과학 지식의 본성 측면에 있어서는,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 교사들이 지니고 있던 인식론적 신념이 그들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로서의 역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교사양성 프로그램 및 예비 교사들의 철학적 신념변화에 주는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유치원 원장의 교육신념 및 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실제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 The Beliefs and Practic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and Teachers)

  • 남미경;황해익
    • 아동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7-181
    • /
    • 2001
  • This study explored the beliefs and practice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DAP) in 83 principals and 83 teachers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Pusan and Ulsan. The research instruments was a teacher questionnaire by Kang(2000).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al and career variables were unrelated to the DAP beliefs of principal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DAP beliefs by career variables of teachers. Teachers' use of DAP varied as a function of children's age and of combined levels of beliefs of principals and teachers.

  • PDF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신념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Beliefs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and the Mathematics Learning)

  • 김진호;강은경;김상미;권성룡;박만구;조수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2권1호
    • /
    • pp.49-64
    • /
    • 2019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의 본질 및 수학 학습에 대한 수학적 신념 및 수학적 신념의 범주별 관련성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4개 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1, 2, 3, 4학년 초등예비교사 399명(여학생 283명, 남학생 116명)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에 사용된 문항은 2008년에 실시한 TEDS-M의 신념 관련 연구에 사용하였던 설문지를 국문으로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성별, 학년별, 교육대학교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의 본질에 대한 신념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 하였다. 먼저 일원분산분석을 통하여 신념이 각 그룹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다른지를 살펴보았으며, 그 후 Duncan의 사후 검증 및 Tukey의 HSD 사후 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의 수학의 본질에 대한 신념은 수학이 이미 만들어진 결과인 지식과 절차로 보는 것보다는 탐구의 과정이 수학적 본질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학학습에 대한 신념 측면에서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교사지시'에 대해서는 교수 행위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는 반면, 학생들의 주도적 학습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신념의 범주별 관련성에서 수학을 '탐구의 과정'으로 보는 신념과 수학의 학습이 '주도적 학습'이어야 한다는 신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고, 수학을 '규칙과 절차'로 보는 신념과 수학의 학습은 '교사 지시'여야 한다는 신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을 통해 알아본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효과 및 과제: 학생들의 변하지 않는 신념들 (Impacts and Task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Revealed by Preservice Teachers: Students' Intact Beliefs)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9-323
    • /
    • 2002
  • 본 정성적 연구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기초를 이루는 존재론 및 인식론적 관점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수준을 네 번의 심충인터뷰를 통하여 추적 조사한 것이다. 보다 큰 연구에 참가한 16명의 예비교사들 가운데 5명이 유의미한 존재론 및 인식론적 변화를 보이고, 11명은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교사양성 교육과정 동안, 철학적 신념에 있어서 변화를 보이지 않은 이들 11명의 교사들에게 초점을 두었다. 과학적 실재론적 신념을 일관되게 유지한 10명의 교사들은 하나의 합성사례로서 제시되었다(Young의 사례). 나머지 한 명은 예외적인 사례로서, 본 연구의 시작부터 관념론과 상대주의 인식론적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하여 또 하나의 사례분석의 대상이 되었다(Ben의 사례). 이들 사례들은 각 개인의 깊이 새겨진 존재론이나 인식론적 신념은 굉장히 변하기 어렵다는 기존 주장을 확증한다. 본 연구에서 예비교사들은 그들의 신념이 변하지 않은 이유들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그들의 이상적인 교수방법들의 현장 적용과정에서 경험하는 장애요소들과 교사양성 프로그램이 예비교사들의 교수론적 신념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이론적 교육과정과 예비교사들의 현장경험이 예비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성장과정에 주는 장점과 영향력들이 풍부한 증거자료와 함께 진술되었다. 교사 교육자들 및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수업실제에 주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현장에 기초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절실함과 노련하고 모범적인 현장교사들을 교사양성 및 교사 재교육에서 교사교육자들로서 권한을 부여해 주어야 함을 강조한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의 상호 관계성 조사 (I) -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Backgrounds in Science,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 - Based on a Quantitative Data Analysis -)

  • 박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42-561
    • /
    • 2000
  • 교사들의 전문적인 자질 향상과 교사 양성과정과 재교육 과정의 변화를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 과학 교수법의 관계를 양적, 질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수와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과목과 과학교육과목의 수와 성취도), 과학 교수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과학 교수 자기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의 기대감), 과학 교수법(비지시적, 지시적, 혼합형 교수법)의 활용을 각각 측정도구로 조사하였고 각각의 변인들간의 상관 관계를 Pearson 상관 계수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과목과 과학교육과목의 수는 과학교수 태도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사들이 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과목의 수와 과학교육과목의 성취도는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교사들이 고등학교와 교사양성 기간의 과학과목 성취도는 비지시적인 교수법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교사들이 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수와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 과목과 과학 교육 과목 성취도는 혼합형 교수법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교사들의 과학교수 태도와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과 과학교수 결과의 기대감과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교사들의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과 비지시적 교수법과 혼합형 교수법과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일곱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 태도와 비지시적 교수법과 혼합형 교수법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효과 있는 교수법의 개발 연구, 과학교수 효능의 신념과 과학교수 태도의 개발 연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상관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 PDF

학생중심성에 초점을 맞춘 교사 연수프로그램을 통한 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과 학습에 대한 신념 변화 연구 (Changes in Teachers' Belief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Inservice Program Experiences Focusing on Student-Centeredness)

  • 신명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3-62
    • /
    • 2004
  • 교사들이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새로운 신념을 형성하려면, 학생들에게 제공할 것과 유사한 교수학습 방법을 직접 경험할 필요가 있다. 지구과학 교사 20명을 포함한71명의 한국 중등 과학교사들이 미국 중부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실시된4주간의 여름 연수 프로그램에 참가하였고, 학생중심 수업에 대한 여러 가지 수업 및 활동을 경험하였다. 아울러 교사들은 각자 학생 역할과 교사 역할을 맡아서 모의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중심 수업을 실제로 체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들에게 제공된 이러한 교사 재교육프로그램에서의 경험이 교사들의 과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신념은 구체적으로 과학학습의 목적, 교사와 학생의 역할 그리고 수업에 대한 것으로 총 7문항으로 제시되었다. 즉 교사들의 교사중심적인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의 양상이 학생중심으로 옮겨갔다는 점이다. 물론 그 변화가 교사중심에서 완벽하게 학생중심으로 옮겨간 것을 의미하는 것이 라기보다 교사중심에서 탈피하거나 이에 반하는 쪽으로 변화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한편, 연수에서 경험한 협동학습이 참여 교사들의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신념변화를 초래한 주요 요인들 중의 하나였음을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