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 행복감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5초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e of Happiness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 고정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55-165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와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 예비유아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 요인인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학교생활동안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을 증진하고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육 내용 및 과정에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여 교사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행정 업무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Office Stress on Happiness and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er Effectiveness)

  • 김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31-337
    • /
    • 2020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정업무스트레스와 행복감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J 지역 보육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Jamo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관련성과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행정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행복감은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행복감 간의 관계 분석에서 행정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상관이 나타났고,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은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행복감과 행정업무 스트레스의 상관에서는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는데 이는 행정업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은 감소하고,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행정업무 스트레스는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을 의미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서 행정업무 스트레스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고, 보육교사 처우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Happiness among Early Ehildhood Teachers: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ing Efficacy)

  • 이은숙;이경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21-238
    • /
    • 2015
  •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행복감에 대한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효능감의 직접적인 영향 및 정서지능과 행복감 간의 경로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영유아교사 246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은 연령, 학력, 경력, 소득, 결혼여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정서지능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며 가장 큰 인과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은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요인이며, 직무스트레스는 행복감을 감소시키는 요임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행복감 간의 경로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이는 정서지능은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게 하고 교사효능감은 높이게 하여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행복감의 가장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및 교수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teaching flow on Happiness)

  • 박승연;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99-30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교수몰입,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U시 보육교사 1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 요인은 행복감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의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공감 요인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수몰입 요인은 행복감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 요인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지며, 교수몰입 요인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교수몰입, 행복감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보육교사들의 행복감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심리적 소진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s)

  • 김수진;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23-1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심리적 소진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50명이다. 연구대상의 행복감과 심리적 소진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활용하여 분석했으며,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감 수준이 높고 심리적 소진의 수준이 낮을수록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심리적 소진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서 행복감이 심리적 소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의 질적으로 우수한 교사-유아상호작용을 위해 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심리적 소진을 경감시키는 것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Happin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 정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23-228
    • /
    • 2023
  • 본 연구는 교사가 인식한 교수 효능감,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에 중요한 변인임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위해 Pearson's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관해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수 효능감, 교사 행복감과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 효능감은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행복감이 더해질 때 그 영향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교사의 행복감이 모두 있을 때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질은 의미 있게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우리는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의미 있게 높일 수 있도록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교사 행복감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교사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on Happiness from Childcare Teacher : Interactional Medium Effect and Regulating Result of Job Stress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 김은숙;이미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47-157
    • /
    • 2019
  •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만 5세 유아 348명과 해당 유아의 담임교사인 보육교사 34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했다. 매개효과는 Sobel test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교수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하여 보육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 엄세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97-60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변수로 셀프리더십, 행복감, 직무만족도를 예측하고,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행복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직무만족도, 행복감의 인식 정도를 살펴본 결과, 셀프리더십, 직무만족도, 행복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직무만족도,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세 변인간의 정적 상관이 보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하며, 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교수효능감과 사회적지지,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교사들을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Happiness - By Teachers' Perspectives)

  • 허무열;신혜경;전미란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53-6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비인지적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효능감과 관련된 사회적지지,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구글 온라인 설문을 제작하였고 교사연수에 참여하고 있는 전국의 초·중·고 교사들 249명의 자료를 기술통계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22.0 과 Amos 21.0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의 사회적지지는 직무만족과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직무만족이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지만,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을 통해 행복감으로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을 통해 교사효능감으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 간 영향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공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이 행복감과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sil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Happiness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 김지윤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83-297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 및 회복탄력성이 행복감과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지역 예비유아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V.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 대학생활만족도는 대체적으로'보통'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행복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감의 6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대학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감의 6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예비유아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삶의 질과 연관된 변인인 행복감과 대학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임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과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양성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의 증진이 필요하며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효율적 교육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