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 발문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7초

수학과 수업개선의 방향에 관한 소고 (Study on development of teaching mathematics)

  • 이은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15-134
    • /
    • 2003
  • 이 연구에서 나는 오늘날 수학과 수업에서 반성해야 할 점들이 무엇인지를 찾고 그 개선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이 개선안을 얻기 위해서 K도 30명 수학교사의 교수-학습 계획안을 분석하고 시범수업을 관찰하였다. 그 관찰을 통해 얻은 결론은 첫째, 수학교사는 수업에 열의를 가져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을 이해하여야 한다. 셋째, 학생을 이해하여야 한다. 넷째, 교과협의회를 통하여 더불어 노력해야 한다. 다섯째, 전문성을 지니고 자기수업을 누구에게나 공개할 수 있는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PDF

흑백게임을 활용한 수학영재들의 R&E 연구 소재 개발 (Developing a Material Topic and some Questions with Blackout Game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R&E)

  • 류창우;송영무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3호
    • /
    • pp.337-351
    • /
    • 2010
  • 게임은 일정한 크기의 체스판 모양의 사각판 위에서 일정한 규칙으로 칸의 색깔을 바꾸어 가면서 모든 칸의 색을 통일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게임이다. 이 게임의 규칙은 단순하지만 그 안에는 다양한 수학적 모델링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흑백게임을 소재로 S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R&E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중학교 수학영재학생들이 수학적 모델링을 만들어보고 탐구해가는 소재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이 게임을 수학영재교육용 수업이나 수학영재들의 연구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4가지 수학적 모델링(패턴 분석, 대응 관계, 동치류 분석, 선형대수학적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더불어 교사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모델링 유형별로 몇 가지 발문도 제안한다.

  • PDF

Flanders 언어상호작용 분석법에 기초한 초등수학과 수업 컨설팅 실천 사례 연구 (Case Studies for Consulting of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based on Flanders's Interaction Analysis Category System)

  • 김수미;김미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3호
    • /
    • pp.211-227
    • /
    • 2013
  • 이 연구는 수학수업을 운영함에 있어 발문과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의 정도를 진단하고, 예비교사들에게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여 그들의 수학수업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예비교사의 수업을 진단하고, 진단내용 및 진단에 기초한 처방을 제안하는 절차는 수업컨설팅 방식을 택하였으며, 차시별 수업 분석을 위해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분석법을 컴퓨터 프로그래밍화한 AF(Advanced Flander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수업 컨설팅을 실시한 결과, 예비교사들의 수업은 주로 비지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생들의 반응을 적절하게 이끌어 내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발언기회를 독점하였으며,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것에 매우 서투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들의 수업은 비지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중심의 수업으로 흘렀으나, 교사의 권위를 내세우지는 않았다. 컨설팅 효과 측면에서는 지시적 발언을 비지시적 발언으로 수정하는 것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교사의 발언 비중을 줄이거나 강의 대신 질문을 사용하는 것,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것 등은 1회의 컨설팅으로는 큰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수학교과역량과 수학교사의 담론적 역량 (A mathematics teacher's discursive competence on the basis of mathematical competencies)

  • 최상호;김동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377-39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과역량을 바탕으로 수학교사의 담론적 역량을 분석하여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20년 이상 교수법을 변화시킨 중학교 교사의 수업을 한 학기 동안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는 문제해결 역량에서 문제 이해를 위해 학생들이 수학적으로 중요한 요소에 초점을 맞추게 하고, 추론 역량에서 수학적 정당화의 필요성 이해를 위해 사고를 명확히 하는 교사의 담론적 역량이 있었다. 그리고 창의 융합 역량에서 동료의 풀이 방법 공유와 다른 풀이 방법 활용을 격려하기 위해 논의를 생성하는 교사의 담론적 역량이 있었고 의사소통 역량에서 다양한 수학적 표현의 필요성과 차이점 협의를 위해 수학적 관계를 탐구하는 교사의 담론적 역량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학 교수를 위해 필요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바탕으로 실행을 통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안함으로써 향후 교사교육과정 개발에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Analysis of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Student-Teacher Practice)

  • 강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80-59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들이 교육실습 중 겪는 어려움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범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56명의 중등 예비 과학 교사들은 교육실습 동안의 일화에 대해 기록하도록 요구받았다.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은 수업지도와 관련해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흥미 유발과 주의 집중, 적절한 발문 구성,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하는 것 등이 특히 어려웠던 것으로 응답했다. 실험 지도와 관련해 예비 과학교사들은 실험 수업 중 학생들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에 대해 노력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생활지도와 관련해 상담 시간이 부족했고 상담 내용이나 수준이 불만족스러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더욱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실습의 이행 뿐만 아니라 피드백을 통해 꾸준히 개선시켜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교사 전문성 계발 기준에 기초해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보다 체계화할 필요성이 있다.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수학적 지식 구성에 대한 연구 - 구성주의적 교수실험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Mathematical Knowledge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2호
    • /
    • pp.151-176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구성주의적 관점에 근거한 교수실험을 실시하고, 구성주의적 수업에서 예비교사들이 비율 개념에 대한 수학적 지식을 어떻게 구성하고 발전시켜 나가는가를 보고하고,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구성주의적 수업의 의의, 한계, 어려움 등을 조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 구성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수업에서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지식의 구성 가능성과 그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교사들은 학습할 개념에 대한 사전 사고 경험 제공, 학습할 개념의 심층적 이해 및 적극적 수업 참여, 학습한 개념에 대한 기억의 강화, 오개념 교정의 기회 제공,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 과정 경험 등을 구성주의적 수업의 의의로서 지적하였으며, 많은 시간의 소요, 모둠별 토론에서 즉각적 피드백의 미흡, 구성주의 수업 적응에의 어려움,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이 없는 학생들이 갖는 어려움, 전체 토론에서 발문의 중요성 등을 구성주의적 수업의 한계와 어려움으로 지적하였다.

  • PDF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Mathematics Classes)

  • 박만구;안희진;남미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91-314
    • /
    • 2005
  • 본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교사교육 및 효과적인 교직 적응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4년 8월부터 8개월 동안 서울시내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직 경력이 2년 이하인 교사 6명이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수학 수업의 관찰, 심층적인 면담, 좌담, 이메일 교환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각 자료는 프로토콜로 작성 하여 신임교사들이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겪는 어려움을 범주화 하였다. 수학교과 내용 지도상의 어려움으로 이론과 실제의 괴리, 설명, 발문, 수준별 수업, 교수 방법, 평가, 수학에 대한 이해 부족 등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나타났고 수업 외의 어려움으로는 사무분장, 시설 선비 사용, 학급 경영의 어려움 등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시사점은 초임교사의 학교에서의 효율적인 수업과 적응을 위하여 행정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인 지원체제 수립, 수학 자료실 운영 등 체계적인 자료 제공, 교육대학과 현직교육 간의 유기적인 연계 강화, 자율적인 교과연구회 및 연수 참여 등이 있어야 한다.

  • PDF

근거이론적 접근에 따른 수학학습 상담 발문 유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ategories of questions when holding counselling on learning math in regards to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es)

  • 고호경;김동원;이환철;최태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73-92
    • /
    • 2014
  • 본 연구는 초 중등 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서, 가치, 흥미 및 자기효능감 등의 정의적 영역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일환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먼저, 수학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의 수학학습 클리닉을 위한 상담 과정에서 상담교사에게 필요한 발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난 2년간 정례적으로 실시해오고 있는 수학클리닉의 상담 내용을 수집하여 상담을 위해 오가던 질문들을 모두 분석함으로써 상담과정에서 학생들을 진단하기 위해 필요한 발문들을 추출하였다. 자료 분석은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의 분석단계를 실시하였다. 도출한 패러다임(paradigm) 모형은 인과적 조건으로는 '수학학습 정서', 맥락적 조건으로 '수학학습능력 자신감', 중심현상은 '수학학습 태도', 중재적 조건은 '수학학습 개인적 성향', 작용/상호작용으로 '수학학습 자기관리', 그리고 마지막 결과로는 '수학학습 방법'으로 상담과정에서 나타나는 발문들을 범주와 하위범주들 간의 관계로 연결하였다. 이 과정에서 총 81개의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진술된 개념들은 다시 31개의 관련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는 클리닉 상담을 위한 진단지 제작 표준화 작업을 위한 근거 이론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수.과학 통합 교육 활동 적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교사의 교수-학습 전략과 유아의 수.과학 관련 개념-통합 교육 활동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한 3차 기초 연구 (Teacher'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Young Children's Concepts Related to Mathematics and Science through Analysis of Teacher-Children Interaction in Applied Process of Integrated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 김숙자;곽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1-157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수 과학 통합 교육 활동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 과학 통합교육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 수 과학 관련 개념 발달과 교사의 교수-학습 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청주시의 K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에 재원 중인 원아 4명을 대상으로 3주간 실시하여 얻어진 총 7회의 수업사례이다. 결과 분석은 수집된 7개의 수업사례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수 과학 관련 개념의 발달과 교사의 교수-학습 전략을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유아들은 물체의 무게와 모양 그리고 움직임 간의 관련성, 물체의 크기와 무게와의 관련성, 물체의 거리 측정에 대한 세 가지 측면에서의 개념 발달을 나타냈다. 유아들의 수 과학 개념 발달을 돕기 위한 교사의 교수-학습 전략은 발문 내용, 자료와 매체의 활용, 집단 구성의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과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의 가능성 탐구 (The Role of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exploring the Possibilities as an Emergent Curriculum)

  • 김대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43-351
    • /
    • 2021
  •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탐색하고, 적합한 유아교사의 역할을 제시하고,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써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교사의 역할은 지원자임을 명확히 하고 있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 탐구를 통한 발현적 교육과정 가능성을 살펴보았을 때 교사가 유아의 근접발달지대를 적극 활용하여 구성주의적 실천을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발현적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은 비계설정을 활용하는 연구자 교사, 교육과정 운영에서 융통성 있는 교사, 자율성을 갖고 유아에 대한 믿음을 가진 교사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결론으로 첫째, 교사는 개별 유아, 다수의 유아에게 최적의 놀이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는 적합한 비계설정을 할 수 있도록 관찰과 기록을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는 유아의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끊임없이 발달에 적합한 발문을 수행하여야 한다. 넷째, 교사는 발현적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운영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