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cher'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Young Children's Concepts Related to Mathematics and Science through Analysis of Teacher-Children Interaction in Applied Process of Integrated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수.과학 통합 교육 활동 적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교사의 교수-학습 전략과 유아의 수.과학 관련 개념-통합 교육 활동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한 3차 기초 연구

  • Published : 2002.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young children's concepts related to mathematics and science in integrated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To achieve this purpose, actual class episodes were analyzed. The episodes were derived from 7 session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4 kindergartners in integrated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children's concepts related to mathematics and science in integrated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occurred three factors: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shape and mov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and size, and the concept of measurement. In teacher'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hree factors were revealed: teacher's questioning, use of teaching materials, and children grouping.

본 연구의 목적은 수 과학 통합 교육 활동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 과학 통합교육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 수 과학 관련 개념 발달과 교사의 교수-학습 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청주시의 K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에 재원 중인 원아 4명을 대상으로 3주간 실시하여 얻어진 총 7회의 수업사례이다. 결과 분석은 수집된 7개의 수업사례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수 과학 관련 개념의 발달과 교사의 교수-학습 전략을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유아들은 물체의 무게와 모양 그리고 움직임 간의 관련성, 물체의 크기와 무게와의 관련성, 물체의 거리 측정에 대한 세 가지 측면에서의 개념 발달을 나타냈다. 유아들의 수 과학 개념 발달을 돕기 위한 교사의 교수-학습 전략은 발문 내용, 자료와 매체의 활용, 집단 구성의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례(1992). 유치원 아동의 과학 행동에 미치는 교사의 언어형태와 학습 주제 선정방법의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권영례(1997). 수학 . 과학 통합 직접 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대학교 논문집, 23, 349-364
  3. 권영례, 박영충(1997). 수학 . 과학 통합활동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 연구, 2(1), 121-136
  4. 김규수(1998). 유아교육에서의 통합의 의미와 원리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3(2), 145-170
  5. 김숙자(2001). 수 .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과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8(1), 173-203
  6. 김숙자, 홍희주(2001). 수 . 과학 통합 교육 활동안에서 분석되는 교수-학습 방법과 유아 수 . 과학 탐구 능력과의 관계 교수논총. 17(1), 19-42
  7. 김애옥(1995). 교사의 언어형태가 유아의 과학적 행동 유형 및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마지순(2000). 수 . 과학 통합활동이 유아의 수학성취와 과학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9. 이경우, 조부경, 김정준(1999).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 과학 교육. 양서원: 서울
  10. 이미진(1996). 교사의 확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이 과학활동시 유아의 예측하기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최정열(2000). 물질의 변화에 대한 과학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과학적 사고과정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AIMS Educationla Foundation(1996). AIMS programs and product catalog. Fresno, CA: Auther
  13. Berlin, D. F.(1994). The integration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Highlights from the NSF/SSMA Wingspread conference plenary papers. Science and Mathematics, 94(1), 32-35
  14. Berlin, D. F., & White, A. L.(1994). The Berlin-White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model.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4(1), 2-4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4.tb12280.x
  15. Center for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1998). IMaST at a glance: Integrated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ric Document Service ED422 184
  16. Cwerniak, C. M., Weber, W. S., & Alexa Ahern, J.(1999). A literature review of science and mathematics integration. School Science & Mathematics, 99(8), 421-430
  17. Davison, D. M., Miller, K. W., & Metheny, D. L.(1995). What does Integration of science and mathematics really mea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5), 226-230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5.tb15771.x
  18. FoulksBoyd, B., Dickman, C. B., & Sickle, M. V.(1997). Weather activity sequences for conceptual development. In Rillero, P. & Allison, J.(1997). Creative childhood experiences in mathematics and science. pp. 67-97. Eric Document Service ED411 154
  19. Grundy, S.(1987). Curriculum: Product or Praxis?. New York: Falmer Press
  20. Huntley, M. A.(1998).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ramework for defining integrated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8(6), 320-327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8.tb17427.x
  21. Kamii, C., & DeVries, R.(1978). Physical knowledge in preschool education. 이 경우, 문미옥(역). 물리적 지식 활동. 서울: 창지사
  22. Lonning, R. A., & DeFranco, T. C.(1997). Integration of science and mathematics: A theoretical model.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7(4), 212-215
  23. McBride, J. W., & Silverman, F. L.(1991). Integrating elementary/midd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1(7), 285-292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1.tb12102.x
  24. NCTM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8).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Discussion draft. Reston, VA: Author
  25.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6. Pang, J. S., & Good, R.(2000). A review of the integration of science and mathematics: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2), 73-82
  27. Rillero, P.(1997). Activity series and activity centers: Path to learning. In Rillero, P. & Allison, J.(1997). Creative childhood experiences in mathematics and science. pp. 47-54. Eric Document Service ED411 154
  28. Schwab, J. J.(1969). The practical: A Language curriculum. School Review, 78, 1-23 https://doi.org/10.1086/442881
  29. Thomas, J.(1997). Making learning meaningful. In Rillero, P., & Allison, J.(Eds,), Creative childhood experiences in mathematics and science. 11-23. Eric Document Service ED411 154
  30. Tobin, K.(1990). Research on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 In pursuit of better questions and answers to improve learning. Science and Mathematics, 90(5), 403-418
  31. http://www.aimsedu.org/documents/history.html
  32. http://www.lhs.berkeley.edu/gems/aboutgem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