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의 수학수업 전문성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4초

수학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사례방법 (Case-Method for Mathematic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4호
    • /
    • pp.617-631
    • /
    • 2002
  • In this study, we introduced the concept of ‘case-method’ which is the method to discuss about actual education with a concrete case. And we suggested that case-method need to be applied a program for mathematic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o assist this suggestion, we attempted to examine recent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that is written by case-study and topics that is included 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al program. After these examination, we pointed out that case-method with a educational case have not applied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korea. According to the suggestion in this study, we showed a concrete example of case-method. In this example, we set up three perspectives(on general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on contents of given case, on application given case to own class) to analysis given case and revealed several disscussion topics each perspective. Finally, we referred to the following research of this paper.

  • PDF

미국 수학교사의 교수 질 평가도구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수학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의 일반화가능도 이론 활용성 탐색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Generalizability Theory to Mathematics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Instructional Quality Assessment of Mathematics Teachers in the U.S.)

  • 김성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431-455
    • /
    • 2014
  • 이 연구는 미국 수학교사의 교수 질 평가도구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의 수업관찰 평가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자료는 2007년부터 미국국립과학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고 있는 중등수학 교수와 제도적 구성 프로젝트에서 수집한 수학 수업관찰 평가 종단 자료 중 3차년도와 4차년도의 96명의 수학교사 수업관찰 평가점수를 활용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대규모로 야심차고 공평한 교수 실제를 위한 수학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탐구하고 있다(MIST, 2007). 이 연구에서는 GENOV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그리고 mGENOV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수 질 평가도구를 사용한 수학 수업관찰 평가에서 발생하는 오차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 적정 수준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최적의 측정 조건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적 틀은 평가의 측정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의 수업 전문성을 평가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최적의 측정 조건을 탐구하는데 적용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수업의 운영 상태에 관한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conditions of operating mathematics instruction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 최승현;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123-138
    • /
    • 2017
  • 우리나라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 문서는 그간 오랫동안 권위적이면서도 추상적인 내용을 담아왔으며, 교육과정 문서 내용은 학교 및 교사에 의해 구체적으로 효율적으로 실천, 운영되지 못하여 왔는데, 이는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 초점을 두어 학습자 개인적 요구, 교사의 적절한 역할, 지역 특성화 등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한 교육과정의 운영이 조정되기를 기대하면서 교사에 의해 전개되는 수업의 실제 상황을 탐색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수업이 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지를 가늠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더욱이, (예전의)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들의 설문 및 면담 의견의 실험 결과를 회고하며,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이 교사 수준(단위)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계획을 지원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교사들은 학습자의 성취 정도와 관심과 태도에 기초한 수준별 교육과정의 진정한 의미와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다음, 교사들은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의 구분을 혼란스러워하는데, 비록 일부 교사들이 교과서는 교육과정 문서에 기초한 것임을 알고 있더라도, 이 사실에 대해 별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라면 기본적으로 교과서와 교육과정 문서의 차이점을 올바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 교사들은 교사 교육을 통해 수학 교사로서 전문성이 강화, 향상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수준에서 교사들의 행정적 책임과 의무를 줄여야 할 것이며, 교사들이 협력적으로 그들의 작업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도록 교과 운영실을 제공하고 아울러 수학 수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업 도구가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산파법의 이해와 적용을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 연수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of Teachers for the Understanding and Applying of Socratic Method)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941-95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13년 중등학교 1급 정교사 자격 연수에 참가한 수학 교사 68명을 대상으로 산파법의 이해와 적용을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 연수 과정을 실행하였다. 총 3차시로 구성된 연수 강의에서 산파법의 개요와 특징, 산파법 수업 실행 사례 분석, 산파법 실행 실습, 산파법 대본 사례 검토, 선행 연구에서 드러난 산파법의 교육적 적용 방안을 다루었다. 연수 실행 전 후로 실시된 설문 조사의 기록 과정을 통해, 교사들이 자신의 지식에 대한 반성적 검토의 기회를 갖고 산파법 구사를 위해 더 공부해야 할 부분이나 극복해야 할 과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조사기록지의 기록물 자료를 바탕으로 산파법의 교육적 적용과 관련된 현직 교사들의 지식 및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서 함의된 교사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수학적 주목하기에 관한 예비 중등교사들 간의 차이 발생 요인 분석 및 실천적 지식 함양 방안 (A study on Analyzing the Difference Factors Occurred in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on the Mathematical Noticing)

  • 황혜정;유지원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27-150
    • /
    • 2021
  • 수학적 주목하기란 교사가 수학 수업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 중 의미 있는 현상을 알아차리고 이를 적절히 해석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최근 수학교육 분야에서 교사 전문성의 한 요소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 중등수학교사들의 수학적 주목하기를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차이 발생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예비 중등교사의 수학적 주목하기를 확인할 수 있는 수업비평문을 마련하였으며, 예비 중등수학교사 18명을 대상으로 각자 모의 수업을 실연하고 이를 녹화한 동영상을 보면서 수업비평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업비평문에 나타난 예비교사의 수학적 주목하기를 주체, 주제, 견지의 세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주제 차원과 견지 차원에서 예비교사들 간에 수학적 주목하기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 간에 수학적 주목하기의 차이가 발생한 요인을 살펴본 결과, 이는 교사가 보유한 수학 내용 지식, 교수학적 내용 지식, 교육과정 지식, 신념, 경험, 목표, 실천적 지식으로 나타났다.

초등 교사의 수학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사례기반 교수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ase-Based Pedagogy for Professional Growth in Mathema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방정숙;김상화;최지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1호
    • /
    • pp.61-8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ase-based pedagogy in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investigate how they participate in the course employing case-based pedagogy. The 13 cases were developed and employed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s such, the cases covered all content areas across grades, and included detailed description of mathematics instruction, questions for discussion, theoretical review related to each case, focus analysis and additional analysis, etc. This paper describes in what ways the participant teachers discussed cases, how case-based pedagogy had an influence on the teachers' own instruction during the practicum period, and how they assessed case-based pedagogy. This paper provides issues and suggestion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on the basis of empirical background.

  • PDF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범주화 - 세 명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4호
    • /
    • pp.489-514
    • /
    • 2008
  • 그동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수학습연구센터(KICE-TLC)에서는 내용 교수 지식(PCK)에 관한 연구를 교과별 여건과 진도에 따라 자율적으로 진행해 왔으나, 2007년부터는 PCK 및 수업 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참여 교과별로 구체적인 PCK의 구성 영역이나 접근 방법은 차별화하면서도 모든 교과가 공유할 수 있는 연구틀을 정립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탐색하여 수학과 PCK 분석틀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PCK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 명의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중학교 1학년에서 다뤄지는 함수 관련 내용에 대한 수업 관찰 및 면담, 수업 노트 작성 등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학과 PCK를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PCK 연구 과정과 결과는 수학 교사 개개인의 수업 전문성 신장에 실제적 도움을 주고, PCK에 기초한 수업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게 될 차기 년도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에 기초한 반성적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lective teaching evaluation based on teacher knowledge in school mathematic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23-1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수업 과정 내지 단계에서 교사의 반성 역할의 의미가 무엇인지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반성을 통한 교사 지식의 확장 과정을 탐색하여 이를 도식화하여 나타내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도식화된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교사가 자신의 수업 반성을 통해 수업 개선은 물론 교사 지식의 확장을 이끄는 수업 평가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평가틀은 반성에 초점을 둔 수업 평가틀로서, 교사 자신의 수업 평가를 통하여 교수 개선 및 교사 지식의 확장을 통한 전문성 신장을 이루고자 함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평가틀에 기초하여 교사 자신이 활용 가능한 자기 평가지의 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만, 교사 지식의 범위가 방대하므로 여기서는 교과 내용 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을 중심으로 해당 연구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교과 내용 지식이야말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요 요소로서 교수 활동 결정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 PDF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한 5가지 관행의 적용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직면하는 어려움 (Challenges faced by elementary teachers in implementing the five practices for effective mathematical discussions)

  • 방정숙;김소현;안효주;정지수;곽기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1호
    • /
    • pp.95-115
    • /
    • 2023
  • 많은 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논의를 하고 싶어 하지만 정작 성공적으로 수행하기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에 대해서 학습하고 이를 수업에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15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실제적으로 어떤 어려움에 직면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본 연구 대상 교사들이 3~4명씩 교사 공동체를 구성하여 5가지 관행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실행·반성하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준과 수업 환경에 적합한 과제를 선정하는 데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모든 학생들의 해결 방법을 점검하는 것, 그리고 학생들의 해결 방법을 핵심적인 수학적 아이디어와 연결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도안 작성하기, 다양한 교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 학생의 발표를 시각적으로 공유하기 등과 같이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강조되지 않았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어려움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논의를 이끌어 가고 싶은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교사교육자에게 구체적인 사례를 통한 논의의 장을 확장하기를 기대한다.

수업 상황에 관한 교사 지식의 평가 요소 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Teaching Context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97-413
    • /
    • 2010
  • 교사가 자기평가를 통해 많은 평가 요소를 일일이 측정하기는 쉽지 않으며, 또한 평가기준 요소가 방대하거나 해당 내용이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것이라면 그 기준의 달성 여부를 판가름하기란 쉽지 않을 것 같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 전분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 및 의미가 높은 수업평가를 위한 요소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수업 상황에 관한 교사 지식의 부문에 초점을 두어 수학 수업평가 요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의 기대는 합리적이고 효과성을 거둘 수 있는 평가기준이 마련되어 이를 토대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이 보다 적극적으로 고무됨으로서 교실 수업이 개선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