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교육

검색결과 7,123건 처리시간 0.029초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 과학 교육 과목이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reparatory Science Methods Courses on Korean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 Park, Sung-Hye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7권2호
    • /
    • pp.33-44
    • /
    • 1998
  •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을 조사하고 이해하는 것은 과학 교수를 향상시키는데 가장 유력한 요소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교사 양성 과정중 과학 교육 과목이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 즉, 자신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대학교와 인천교육대학교에 재학중인 예비교사들이 한 학기동안의 과학 교육 과목을 마치고 나서 그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이 어느 정도 변화했는지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예비 교사들이 학습한 과학 교육 과목은 그들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에 대한기대감을 모두 향상시켰다. 그러나 앞으로는 과학 교육 과목의 어떤 요소들이 그들의 신념을 변화시키는지 구체적으로 알기 위해 질적 연구와 함께 더욱 긴 기간 동안의 연구가 행해져야하며, 변화된 그들의 신념이 실제 초등학교 교사가 될 때까지 지속되는지를 조사하고, 지속될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창의적 s/w 인재 육성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방향 (The Direction of Teachers Education Program for Cultivating Creative Software Human Resource)

  • 최정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221-22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창의적인 S/W 인재 육성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대 사회는 S/W가 기반이 되는 사회로, S/W는 실생활 뿐 아니라 다양한 학문 분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는 창의적인 S/W 인재 육성 교육이라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는 학습자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한다. 따라서 창의적 S/W 인재 육성을 담당하는 교사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특성, 학습 맥락, 현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고려한 교육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하며, 교사의 역할이 과거의 지식 전달자의 역할에서 학습의 조력자, 촉진자, 안내가 역할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되도록 해야 한다.

  • PDF

두 초임 수학교사의 수업의 질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quality of instruction of two beginning mathematics teachers: Toward the above criteria)

  • 박미미;김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1호
    • /
    • pp.179-198
    • /
    • 2022
  • 수학 수업의 질은 교사들마다 그리고 교사들의 수업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일정 수준 이상의 질을 가지는 수학 수업을 운영하는 역량은 경력교사 뿐만 아니라 초임교사들에게도 요구된다.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이 질적으로 큰 상이함 없이 일정 수준 이상의 질을 보여주는 지를 확인하는 것은 교사교육의 현황을 가늠해보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의 질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를 위한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교육 및 근무 환경 등에서 유사점이 많은 두 초임 수학교사의 수업을 edTPA의 수업 실행 규준 중 학습 환경, 학습 참여, 학습 심화, 표상 도구 규준의 네 가지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은 모든 규준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점수가 나타났으나, 다른 한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은 학습 환경 규준을 제외한 나머지 규준에서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대전시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 류봉선;심재영
    • 영재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123-141
    • /
    • 2006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영재교육을 실제로 운영하는 지도교사들의 교사들의 전문성 및 교육환경과 영재의 선발과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그리고 대전시 영재교육시스템에 대한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영재교육에 대한 교육적인 시사점을 얻고, 영재교육 운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 중등학교 영재학급 담당교사 및 영재교육원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내용은 기초자료 10문항, 전문성 8문항,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내용 25문항이며 만족도 및 기타에 대한 내용 7문항 등 50문항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연수기회 확대와 고정된 영재학급 운영장소가 요구되며, 담당 영재학급 교사들의 과중한 업무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교회학교 유치부 교사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Church School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 김성혜;강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77-97
    • /
    • 2012
  • 본 연구는 교회학교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유치부 교사 278명이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방법으로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필요성 및 교육내용의 3개 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유치부 교사들에게 배부한 후 회수하였다. 회수 된 설문지는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구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X2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내용에 관한 문항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은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관심과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의 배경변인중 학력, 교육경력, 전공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로는 부모교육과 유아발달이해, 문제행동 영유아지도법, 영유아와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의사소통법, 영유아 기질 이해 및 기질에 따른 교육방법, 교사를 위한 영성훈련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수학교사의 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Korean Mathematics Teachers' Views on Education and Teacher Efficacy)

  • 김동원;이경화;박미미;박진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4호
    • /
    • pp.745-761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의 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효능감을 교직경력과 학교급에 따라 확인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교육관과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572명의 초등교사 및 중등 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의 목적, 학생과 학습 및 교사에 대한 관점을 주요하게 고려하여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그들의 교사효능감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교육관만을 강하 게 지지하고 있지는 않았다. 그리고 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수학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은 높은 편이었으며, 교직경력과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교육관과 교사효능감은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수학교육과 수학교사의 수업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테크놀로지 통합을 위한 예비 중등수학교사교육: 현황과 과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echnology Integrated Curriculum: The Present and Tasks)

  • 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7-156
    • /
    • 2017
  •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활용 지원체계의 확대, 교사의 지식과 신념,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틀의 문헌연구를 기초로 국내 수학교육과의 관련 교육의 현황과 현안, 발전 방향을 탐색하였다. 강좌개설 및 운영 자료는 설문조사와 강의계획서로 수집한 결과 강의는 수업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전체 학과의 1/3에 수학교육관련 ICT 강의가 개설되지 않았다. 테크놀로지 통합 예비 중등수학교사교육을 위하여 국가적으로 교육과정의 방향과 세부내용의 부조화, 소프트웨어와 교과서 등 지원 부족 문제 해결을 통한 교육현장 개선과 교사교육의 포괄적, 세부적 방향설정이 중요하며 무엇보다도 테크놀로지 활용 관련 비전의 공유가 필요하다.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국제이해교육 과목의 e-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Teaching Portfolio i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 이은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5-6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이해교육 과목에 대해 효과적인 교사교육 방법론의 하나로 등장하고 있는 e-티칭 포트폴리오를 적용하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이해교육 과목에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국제이해교육 교사교육에 대한 e-티칭 포트폴리오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이해교육 과목의 e-티칭 포트폴리오를 설계 및 개발하여 수업에서 적용한 후, 적용에 대한 수강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e-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적용에 대해 자료 축적 및 관리, 자기성찰의 기회, 생소함에서 오는 저항과 부담, 티칭 역량 향상 및 증빙을 통한 미래 준비, 소통을 통한 전문성 신장 기회 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의 방법으로서 e-티칭 포트폴리오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 PDF

예비 초등교사의 한국수학사 활용에 대한 인식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Using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 최은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491-511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 교사교육에서 한국수학사의 교육적 적용을 탐색하는 일련의 연구로서, 그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의 한국수학사 활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과 조선산학 프로그램이 한국수학사 활용에 대한 교사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선산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88명을 포함한 총 174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국수학사 활용의 실태, 효과, 개선방안과 관련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한국수학사의 활용을 수학사의 활용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교육에 한국수학사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문화적 측면의 활용효과와 활용방식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며, 정의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은 후순위로 조사되었다. 한편 교사교육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문항은 전체 54개 문항 중 25개 문항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교사교육 참여경험이 인지적 측면의 활용효과와 활용방식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교육이 한국 수학사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한국수학사를 활용한 수학수업의 활성화에 주요 변수임을 의미한다.

예비교사를 위한 챗봇 제작 AI-STEAM 교육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AI-STEAM Education through Making Chatbot for Preservice Teachers)

  • 김지윤;김귀훈;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35-13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예비교사를 위한 AI-STEAM 교육 사례로서 봇빌더를 활용한 챗봇 제작 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챗봇 제작 AI-STEAM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최근 관련 정책이 발표되는 등 인공지능 교육이 학교에서 실시되기 위한 기반이 마련되었다. 인공지능 교육이 학교 현장에 제대로 안착되기 위해서는 현직 교사들에 대한 보수교육 뿐 아니라 교육 및 사범대학의 교원양성과정에서도 인공지능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들의 인공지능 교사교육 요구를 바탕으로 AI-STEAM을 제안하고 다양한 전공의 예비교사를 위한 챗봇 제작 AI-STEAM 교양교육 및 학생 작품 사례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