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관심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31초

실습교사의 교수매체에 대한 관심도 분석 (Analysis on Stage of Concern of Practical Training Teachers About the Instructional media during the Child Care Practice)

  • 강문숙;박철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31-250
    • /
    • 2010
  • 본 연구는 실습교사의 교수매체에 대한 관심도를 분석하는 연구로써 교수매체에 대한 관심이 보육실습이라는 과정 속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B대학 보육관련학과 실습을 실시하는 실습교사 16명을 대상으로 보육실습 전 1차 설문 후, 교수매체 관련 지식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실습을 다녀온 후 2차 관심도 조사를 하였다. 연구에서 질적인 부분을 찾아보고자 관심도 전후검사를 마친 실습교사 중 4명을 대상으로 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실습을 거치면서 교수매체에 대한 각 개인의 관심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교수매체에 대한 관심 변화가 있었던 경우와 크게 변화하지 않았던 사례도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첫째, 실습교사들이 대학에서 보육실습 전 오리엔테이션이나 보육실습생의 자각, 보육과정, 교수매체관련 지식에 대한 사전교육에 따라서 교수매체에 대한 관심도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수매체에 대한 각 개인의 관심도는 실행이 진행됨에 따라 관심도 점차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예비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Analysi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age of Concerns about Softwa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 정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31-440
    • /
    • 2017
  • 본 2018년 소프트웨어 교육 필수화를 앞두고 최근 초 중등교육현장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및 지원방안 마련에 한창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유아교육에의 도입가능성을 전제로 예비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 예비유아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에 따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원점수 평균을 도출한 후 간이 채점표를 적용하여 상대적 강도로 전환하고 이를 관심도 프로파일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관심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0단계(지각)가 95%로 가장 높고, 정보적, 개인적, 운영적 관심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비사용자 패턴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형적 비사용자 패턴에 비해 개인적, 정보적 관심도가 다소 높고 6단계(재초점)로의 '꼬리 올리기'현상이 나타남으로써 어느 정도 비판적 비사용자에 가까운 패턴 양상을 띠기도 하였다. 필요성 인식, 향후 실행계획 유무, 테크놀로지 효능감 수준에 따라 운영을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관심도 차이를 나타내었고 교육 및 연수경험에 따른 차이에서는 6단계(재초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의 도입을 앞두고 새로운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개방적인 인식전환이 요구되는 가운데, 코딩교육 등으로 대변되는 사교육 기반의 유아소프트웨어 교육이 아닌, 유아의 발달수준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누리과정과 연계된 교육활동으로서의 가치를 확인시켜줄 수 있는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도 분석 (The Analysis on interest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 이종원;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65-173
    • /
    • 2017
  • 본 연구는 CBAM 모형에 근거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행을 앞두고 체육교사의 관심도를 측정하고 교사배경 변인별로 관심도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지역 중·고등학교 체육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2015 개정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게 나온 걸로 보아 중·고등학교 체육교사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결과에 대해 관심이 매우 높으나, 그 방법에 대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연수와 활용방안에 대해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전체학급수별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학급수별 맞춤형 2015 개정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달해야 한다. 일방적인 집합형태의 전달연수에서 벗어나 학급 수에 따른 연수와 자료의 전달방법이 달라야 할 것이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체육교사의 관심도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예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초등예비교사의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 비율 수업을 중심으로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Curricular Noticing: Focusing on the Lesson Planning for Rate)

  • 조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83-102
    • /
    • 2021
  •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은 교사가 교육과정 자료에 내재된 내용과 교수학적 기회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어떤 측면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것에 관해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 교육과정의 실행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에,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의 과정 중 관심을 기울이고 해석하는 과정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가 비율 수업을 설계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자료를 활용할 때 관심을 기울이는 대상을 찾고, 그것에 관해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른 논의를 통해 초등예비교사의 수업 설계 역량 신장을 위해 예비교사교육에서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을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지상(紙上) 블로그 - 학교도서관, 책 읽기에 교과교사와의 협동수업을 더하다

  • 소병문
    • 도서관문화
    • /
    • 제53권3호
    • /
    • pp.24-27
    • /
    • 2012
  • 채 10년도 안되는 기간동안 학교도서관은 천국과 지옥을 오가고 있다. 2002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과학기술부) 주도로 시작된 '학교도서관활성화사업'을 통해 낡은 학교도서관 시설은 현대식으로 바뀌었으며, 교원으로서 사서교사는 1998년부터 지속적으로 현장에 배치되었고, 2007년 "학교도서관진흥법"이 제정되면서 나름 학교도서관에 대한 구체적인 법적 관심을 받았다. 먼지 쌓이는 교실 한 칸도 되지 않던 창고같던 학교도서관은 늘어난 장서와 PC를 포함한 다양한 IT 기기,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교구 등을 갖추면서 나름 도서관답게 바뀌기 시작했던 시기이다. 학교도서관 운영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가질 수 있는, 많지는 않더라도 교사라는 지위로 사서교사가 전국의 초 중등학교에 지속적으로 배치되던 시기이기도 하다. 도서관 관련 법에서 늘 구석에 있던 학교도서관은 "학교도서관진흥법" 및 시행령이라는 단독법안으로 제정되어 법리 상 관심을 받던 시기였다. 여기에 더해 책 읽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책읽기 프로그램 등이 운영되고 나름 학교도서관이 활성화되는 것 같았다. 하지만 화려하게 바뀐 학교도서관은 자격이 있는 인적자원 배치와 지속적인 장서의 공급 등을 통해 유지되기보다는 운영시간 연장 등 시설 자체의 운영에 초점이 맞춰지는 시기로 바뀌었다. 98.6%에 이르는 학교도서관 설치 대비 46% 밖에 되지 않는 인적자원의 배치 현황, 그나마 학교도서관에 배치된 인적자원의 14.7%만이 정규직 사서교사, 사서(직원)이라는 현실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인적자원 배치에 대한 기대를 더 이상 할 수 없는 어려운 시기로 바뀌었음을 보여준다. 단독법안으로 학교도서관의 진흥과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던 "학교도서관진흥법"은 학교도서관 관련 시설, 인적자원, 운영에 대한 분명하고 명확하지 않은 법조항 때문에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어 오히려 학교도서관의 발전을 저해한다는 일부의 비판도 받았다.

  • PDF

초등 및 유치원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Gifted Children and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 박미영;이지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155-173
    • /
    • 2001
  • 본 연구는 영재교육에 대한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영재아 및 영재교육에 관련된 문헌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를 서울 및 경기 지역의 115명의 유치원 교사와 116명의 초등학교 교사에게 배포하여 그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교사집단과 초등학교 교사집단 모두 영재아에 대하여 보통수준 이상의 인식을 나타내었으나, 영재성과 형제 순위와의 관련성,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 영재아의 신체 성장 발육, 영재아의 유머 감각, 영재아 가정의 경제적 배경, 영재아의 친구관계 등에 대하여는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는 경향이 나타났다. 영재교육에 대하여서도 역시 대체로 보통 수준의 인식과 관심을 나타내었으나, 특히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관심정도가 유치원 교사들보다 높았다.

  • PDF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 진로교육 관심단계와 실행수준 및 실태: CBAM 모형에 기초하여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about Career Education: Based on CBAM(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

  • 최민지;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65
    • /
    • 2011
  • 본 연구는 관심에 기초한 도입 모형(CBAM: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을 활용하여 가정과수업에서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단계와 실행수준 및 실태를 파악하여 진로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실행을 위한 지원체제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제주지역을 제외한 전국 중학교 가정과교사이며, 체계적 무선 표집에 의한 우편 설문과 편의 표집에 의한 이메일 설문을 통해 총 118부를 수집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2.0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독립적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가정과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은 개인적이고 정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에 반해 실행수준은 다소 높은 수준인 정교화 수준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이 낮은 반면 자신의 실행수준은 다소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교사들은 가정과수업에서 진로교육을 실행하는데 자료, 시간, 전문 지식 부족 등 총체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관련 자료 개발과 보급 및 연수 기회 제공과 같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 PDF

제7차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구과학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Level of Usage and Concern Over the 7th Science Curriculum)

  • 이용섭;안현희;김상달;김종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78-392
    • /
    • 2003
  • 본 연구는 제7차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구과학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에 대한 조사연구로서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에 대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사들은 단계 0의 지각적 관심이 상대적 강도 98%로 가장 높은 정점을 이루고 있어 대부분의 선행연구의 결과와 같이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대해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활용도에 대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사들의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영역별 활용도를 분석한 결과는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거의 활용하지 않는 수준(I수준)이 1.69%, 지구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를 갖고 활용하려는 준비가 되어 있는 수준(II수준)이 17.80%, 지구과학 교육과정을 반성적 사고없이 교사중심적으로 활용하는 수준(III수준)이 43.97%이었으며, 교육과정을 완전히 이해하고 수용하여 안정적으로 활용하는 교사수준(IV수준)이 31.86%, 장기적 결과를 생각하며 동료들과 협력하여 더 나은 방안을 탐색하는 수준(V수준)이 4.69%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활용수준은 기계적 활용수준(3단계)으로 나타났고 수업목표 영역(평균 3.28)과 내용 영역(평균 3.28)의 활용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성격 및 이념 영역(평균 3.24), 수업자료 영역(3.18), 평가 영역(3.18), 수업방법 영역(평균 3.12)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지구과학 교사들의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는 0${\sim}$4년, 15${\sim}$19년, 20년 이상, 5${\sim}$9년 경력의 교사 집단 순이며 10${\sim}$14년 경력의 교사 집단이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천적 추론 수업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Home Economics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about the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 박미옥;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33-144
    • /
    • 2012
  • 본 논문의 목적은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이어 2009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교수 학습 방법으로 제시된 실천적 추론 수업에 대한 가정과 교사들의 관심 정도, 실행 수준을 진단하고, 실천적 추론 수업 과정 요소의 요구도를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전국의 중 고등학교에서 근무하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가정영역을 수업한 가정과 교사이다. 연구대상의 표집방법은 편의표집과 체계적 무선표집을 동시에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우편, 연수장소 방문, 온라인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 총 350부를 SPSS WIN 1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사의 실천적 추론 수업의 관심 단계 조사 결과, 단계 0의 지각적 관심(97.05%)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단계1의 정보적 관심(87.06%), 단계 2의 개인적 관심(86.23%), 단계 3의 운영적 관심(79.85%), 단계 6의 강화적 관심(63.22%), 단계 4의 결과적 관심(61.26%), 그리고 단계 5의 협동적 관심(60.12%)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교사의 실천적 추론 수업에 대한 실행 수준은 준비 수준 2(30.3%)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탐색 수준 1(18.30%)과 정교화 수준 5(18.30%), 기계적 수준 3(16.0%), 일상적 수준 4(10.09%), 사용하지 않는 수준 0(4.0%), 통합 수준 6(1.70%), 그리고 갱신 수준 7(0.60%) 순이었다. 셋째, 가정과 교사의 실천적 추론 과정 요소에 대한 요구도는 '(O)행동계획을 세우게 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A)선택과 결과를 분석하게 한다(1.75)', '(N)행동의 결과를 평가하게 한다(1.57)', '(E)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평가한다(1.44)', '(R)문제를 인식한다(1.39)', 그리고 '(S)최선의 선택을 하게한다(1.36)'의 순이었다.

  • PDF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과 미국 초임 과학 중등교사 비교 연구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Beginning Teachers: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U.S. Beginning Science teachers)

  • 김경진;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3-268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에서의 초임 과학 교사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참여교사는 한국 수도권 지역과 미국 중서부지역에서의 초임 과학 중등교사 각각 네 명이다. 자료는 수업관찰 및 녹화,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업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수업관련 자료와 학생 활동 자료도 같이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통적으로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추구하는 교사상과 평가, 시험대비와 같은 학교 맥락이었다. 또한 한국 초임 교사들에게는 과학교과서와 행정적인 업무와 같은 맥락적인 요인이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 반면, 미국 초임교사들은 교생실습에서의 멘터 교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둘째, 참여교사들이 공통적으로 느낀 어려움이나 관심은 수업 관리와 교과 내용지식을 넓히는 것이었다. 셋째, 모든 참여교사들은 전문성 발달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었으며, 추구하는 교사상이 현재와 미래의 교수실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넷째, 미국 참여교사들은 교생실습 때의 멘터 교사에 크게 영향을 받는 반면, 한국 참여교사들은 멘터 교사보다는 다른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