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염질환자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1초

도시와 농촌의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비교 (Comparable Influencing Factors for Quality of Health-Life in Osteoarthritis Patients in Urban and Rural Areas)

  • 송혜영;박민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11-323
    • /
    • 2017
  • 본 연구는 2014년도에 질병관리본부가 직접 자료 수집한,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차 년도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와 농촌의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50세 이상 골관절염 환자 599명이다. 연구결과, 도시 골관절염 환자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료보장형태, 무릎관절통, 무릎강직, 엉덩관절통, 요통, 활동제한, 주관적 건강상태로 나타났다. 반면 농촌 골관절염 환자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릎관절통, 활동제한, 음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와 농촌의 골관절염 환자에게 공통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중재전략과 차별화 할 중재 전략을 구분하여 골관절염 환자에 대한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 및 건강관련 삶의 질 증진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일 도서지역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 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및 일상생활동작 장애 (Quality of Life, Perceived Health Status, Pain, and Difficulty of Activity of Daily Living of Degenerative Arthritis Patient in Island Residents)

  • 이명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3호
    • /
    • pp.291-302
    • /
    • 2009
  • 본 연구는 도서지역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삶의 질, 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및 일상생활동작 장애 정도와 각 변수 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2008년 6월 23일부터 2008년 10월 8일까지 층화비율 표집에 의해 전라남도 신안군 14개면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관절염 환자 601명을 자료 수집을 하여, 서술적 통계, 평균과 표준편차, $x^2$-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삶의 질 평균은 115.87${\pm}$17.76, 지각된 건강상태는 4.40${\pm}$1.63, 통증은 6.31${\pm}$1.87, 일상생활동작 장애는 77.62${\pm}$12.13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연령, 동거형태, 경제수준에서, 지각된 건강상태는 성별, 연령, 경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통증은 성별, 연령, 일 노동시간에서, 일상생활동작 장애는 성별, 연령,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병관련 특성에서는 삶의 질과 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일상생활동작 장애 모두 유병기간과 진통제 복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들의 삶의 질, 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일상생활동작 장애간의 상관관계는 삶의 질은 지각된 건강상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 상관관계를, 통증과 일상생활동작 장애와는 음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도서지역 관절염 환자는 경제수준이 낮은 독거노인과 오래된 유병기간, 현재 진통제를 복용중인 대상자에서 삶의 질과 지각된 건강상태는 낮고 통증과 일상생활동작 장애는 높았다. 따라서 도서지역 관절염환자들의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지각된 건강상태가 나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통증과 일상생활동작 장애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간호중재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봉독약침 치료반응과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유전자 다형성 연구 (Response to Bee Venom Acupuncture and Polymorphism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Gene in Korea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이상훈;최도영;이윤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211-225
    • /
    • 2004
  • 목적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골 파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 유전자의 단일 염기 다형성을 분석하고, 나아가 봉독약침 치료에 대한 반응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미국류마티스학회의 류마티스 관절염 기준에 해당하는 122명의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와 건강한 92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pyrosequencing 방법을 이용하여 MMP-1 유전자의 -519 위치의 다형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군을 다시 유전자 유형에 따라 동통 관절수, 종창 관절수, 조기 강직, 통증 강도, 삶의 질 평가도구인 HAQ, 환자 및 의사의 전반적 질병상태 평가, ESR, CRP 등의 항목을 치료 전후 평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1. 류마티스 환자군과 건강한 대조군간에 MMP-1 유전자의 단일 염기 다형성의 유전자형의 분포와 대립유전자 발현 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MMP-1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질병 감수성과 관련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2. 각 유전자형 그룹간 치료전 질병의 중증도 평가에서 임상 평가와 혈액의 급성 염증 반응물질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급성 염증 반응의 지표인 ESR과 CRP level의 봉독약침 치료 전후 변화는 MMP-1의 유전자 다형성과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4. 각 유전자형 그룹간의 치료 전후 질병 호전도 비교에서, AA 유전자형이 종창 관절수 평가에서 더나은 호전을 보였으며, 다른 모든 평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향후 관련 유전자와의 연관성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지역사회기반의 자기관리지지중재가 골관절염 의료급여수급자의 환자활력, 관절유연성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단기효과 (Short-Term Effects of an Self-Management Support Intervention on Patient Activation, Joint Flexibilti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Medical Aid Beneficiaries with Osteoarthritis)

  • 안양희;허재복;최은희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595-609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기반의 자기관리지지중재가 골관절염 의료급여수급자의 환자활력, 관절유연성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단기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었다. 연구 설계는 자기관리지지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무작위 대조군 전후설계를 활용하였으며, 이 연구는 자기주도적 관절염질병관리 역량강화연구의 일부이다. 연구대상은 일 지역 고위험군 의료급여수급자 중에서 60명의 골관절염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n=30)과 대조군(n=30)에 무작위 할당하였다. 8회기로 구성된 자기관리지지중재는 대상자 중심의 케어를 전략으로 인지 정서 행위기술을 활용하였으며, 교육 훈련된 의료급여관리사에 의하여 제공되었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 관절각도기 및 줄자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기술적 통계와 ${\chi}^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COVA를 활용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자기관리를 위한 환자활력, 관절유연성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향후에는 자기관리지지중재에 대한 장기(9 and 12-month follow up) 효과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노인에서 관절염과 동반 만성질환에 의한 건강관련 삶의 질 감소 효과 (Effect of Arthritis and Comorbid Chronic Condition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 노지영;김순영;권인선;남해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751-3758
    • /
    • 2014
  • 본 연구는 제3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관절염과 동반 만성질환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이하 HRQoL) 감소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7개 단일질환군(관절염, 추간판탈출증, 골다공증, 천식, 위십이지장궤양, 뇌졸중, 백내장) 1,357명, 관절염에 더하여 상기 만성질환중 하나를 추가 보유한 복합만성질환군 886명, 무질환군 465명 등 총 2,708명이었다. HRQoL 지표인 EQ-5D index를 집단 간에 비교하기 위해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고 관절염과 동반 만성질환의 교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남녀로 나누어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성에서 연령보정 EQ-5D index 평균치가 관절염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질환군은 단일질환군 중에는 뇌졸중군이 유일하였으며, 복합만성질환군 중에는 뇌졸중을 동반한 관절염군과 백내장 동반 관절염군이었다. 여성에서 연령보정 EQ-5D index 평균치가 관절염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질환군은 단일질환군 중에는 천식, 뇌졸중, 백내장 등이었으며, 복합 만성질환군 중에는 골다공증 동반 관절염군, 위십이지장궤양 동반 관절염군, 뇌졸중 동반 관절염군, 백내장 동반 관절염군 등이었다.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성에서는 교호작용이 관찰되지 않았고, 여성에서는 관절염환자가 뇌졸중을 동반한 경우만 교호작용이 관찰되었는데 감산관계 양상을 보였다. 관절염환자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동반 만성질환의 이러한 효과를 고려하여할 것이다.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 평가 설문도구의 내적 신뢰도, 상관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Internal Reliability and Correlation among Assessment Instruments of Knee OA)

  • 류성룡;안경애;서병관;강중원;이상훈;이재동;최도영;김건식;이두익;이윤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271-280
    • /
    • 2005
  • 2005년 1월 1일부터 3월 1일 까지 신문과 방송 그리고 경희의료원 홈페이지를 통해 모집된 퇴행성 슬관절염 핀자에 VAS, LFI, WOMAC, KHAQ 의 설문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LFI, WOMAC Pain Subscale, WOMAC Function Subscale, WOMAC Total Score, KHAQ 모두 Cronbach`s alpha가 0.70이상 (p=.000)으로 내적 신뢰도가 높았다. WOMAC Stiffness Subscle 만이 Cronbach`s alpha가 0.6679(p=.000)이나 이는 문항수가 작기 때문이다. 2. LFI, WOMAC 각 항목, WOMAC Total Score, KHAQ는 모두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가 0.612(p=.000)이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이중 LFI와 WOMAC Pain Subscale의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았다. 이는 통증이 관전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며, 관절염 증상의 악화는 곧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3. 관절염에 의한 통증, 강직, 관절기능의 제한은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관절염의 치료는 통증조절 등의 대증요법이외에 환자의 삶의 질에 초점을 두어야 하고 이를 위해 적절한 설문도구를 활용이 필요하다.

  • PDF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Rheumatic Arthritis Patients)

  • 박혜숙;김인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275-292
    • /
    • 2000
  • 본 연구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지식,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1999년 3월 2일부터 3월 22일까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1개 대학병원과 K 류마티스 내과 개인 병원에 등록된 광주 광역시 주변 농천지역에 거주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100명을 임의표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로서, 김순봉(1998)이 개발한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와 Lorig 등1989) 이 개발한 도구를 근거로 김종임(1994)이 수정 보완한 자기 효능감 측정도구 및 노유자(1988)가 개발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일반석 특성과 지식,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는 t-test, ANOVA로, 지식,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Pea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는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지식 정도는 평균 15.01점, 자기효능감 정도 평균 1030.40점, 삶의 질 정도 총 평균 135.19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과 지식과의 관계에서는 성별(t=19.03, p=.00), 직업 (F=2.34, p=.03), 운동종류(F=2.95, p=.03), 운동시간(F=3.20, p=.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일반적 특성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월수입(F=3.64, p=.01), 직업(F=2.30, p=.03), 관절염 앓은 기간(F=2.70, p=.03), 운동시간(F=3.77, p=.01), 운동효과(F=4.56, 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일반적 특성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는 연령(F=3.36, p=01), 월수입(F=3.11, p=.02), 주거형태(t=4.93, p=.02). 운동시간(F=3.03, p=.0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지식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154, p>.05). 6. 대상자의 자가효능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62, p<.001). 7.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으로 삶의 질을 21.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노년여성 관절염질환자의 바지 착용실태 및 선호도 (A Study on the wearing practices and Preference for the Aged Female Arthritis Patients' Pants)

  • 한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1호
    • /
    • pp.141-15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ist in the investigation into the pants wearing practices and preference with arthritis patient of aged female and the gathering of basic data to help to their clothing lifestyle. For this study, personal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124 arthritis patients of aged female over 65 year old and data analysis were done with SP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at on pants wearing practices with the subjects of aged female arthritis patient showed that many persons experience inconvenience for both knees and the wearing of knee protectors which use a purpose of a reducing pain such as they feel inconvenience of knee showed a high rate of 79.8% during winter. They purchased the pants with much space in the knee part or span trousers in consideration of knee protector wearing. When they purchase the pants, they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convenience or activities during their wearing period, prices, and the pants which were wide at the thigh, narrow at the pants hole, hanging down to the anklebones, and setting over the waistline as for the pants' waist position. The arthritis patients who felt uncomfortable at knees paid attention to the excellent materials at keeping warmth and with good flexibility.

골관절염 중년여성의 성기능, 성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xual function and Sexual distress on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with Osteoarthritis.)

  • 권영애;박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09-218
    • /
    • 2020
  • 본 연구는 골관절염 질환을 있는 중년여성 환자의 성기능, 성스트레스, 삶의 질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2019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만40~65세 골관절염 질환이 있는 중년여성 121명을 대상으로 성기능, 성스트레스, 삶의 질의 관계를 설문조사하여 파악하였다. 성기능은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성스트레스는 Female Sexual distress Scale (FSDS), 삶의 질은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i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LO)-BREF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5.0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골관절염 질환이 있는 중년여성의 성기능과 성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24, p=.010), 성기능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32, p<.001). 성스트레스는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32, p<.001). 삶의 질 영향요인에서 여성의 성기능, 성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16.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골관절염 질환을 가진 중년여성의 성기능과 성스트레스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하여 성기능 장애와 성스트레스를 줄이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복합운동이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환자의 통증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lex Exercise Program on Pain and Muscle Activ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 이선주;최원호;임재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84-1689
    • /
    • 2012
  • 본 연구는 퇴행성 슬관절염을 가진 노인 환자에게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통증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B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퇴행성 슬관절염 진단을 받은 노인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운동군(n=12)과 통제군(n=11)으로 나누어 두 집단 모두 온열 및 전기치료를 포함한 물리치료를 40분간, 주 3회, 10주간 실시하였고, 운동군에는 추가로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주 3회, 40분간, 10주간 적용하였으며, 훈련 전과 후의 VAS와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10주)후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운동군과 통제군 모두에서 실험전보다 실험 후에 통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하지만,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둘째, 운동군에서 실험전보다 실험 후에 근활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운동군과 통제군 사이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퇴행성 슬관절염을 가진 노인 환자에게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통증과 근활성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게 복합운동뿐만 아니라 유산소운동, 저항성 운동프로그램 등을 접목시켜 노인환자들이 손쉽게 할 수 있는 흥미로운 프로그램을 만들어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