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Rheumatic Arthritis Patients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 Park, Hye-Sook (Department of Nursing,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Kim, In-Sook (Department of Nursing,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박혜숙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 김인숙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suffering from rheumatic arthrit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0 rheumatic arthritis patients 1 university hospital, K rheumatic clinic in kwang-ju city for 20 days from March 2 to March 22, 1999, by means of questionnaire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knowledge scale developed by Kim, the self-efficacy scale developed by Long et al and the quality of life scale developed by Rho.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the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total mean score of knowledge was 15.01(SD${\pm}$3.08), In self-efficacy, the total mean score was 1030.40(SD${\pm}$233.42), In quality of life, the total mean score was 135.19(SD${\pm}$11.07). 2.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t=19.03, p=.00), occupation(F=2.34, p=.03), types of exercise (F=2.95, p=.0.3), and time of exercise(F=3.20, p.=02). 3.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igion(F=2.75, p=.04), in monthly salary(F=3.64, p=.01), in occupation(F=2.30, p=.03), in period of rheumatic arthritis(F=2.70, F=.03), in time of exercise(F=3.77, P=.01), and in effectiveness of exercise (F=4.56, p= .02). 4.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F=3.36, p=.01), monthly income(F=3.11, p=.02), types of housing(t=4.93, p=.02), arid time of exercise(F=3.03, p=.03). 5. There was no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knowledge and quality of life. 6.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r=462, p<.011). 7. The main factor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was self-efficacy(21.4%).

본 연구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지식,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1999년 3월 2일부터 3월 22일까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1개 대학병원과 K 류마티스 내과 개인 병원에 등록된 광주 광역시 주변 농천지역에 거주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100명을 임의표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로서, 김순봉(1998)이 개발한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와 Lorig 등1989) 이 개발한 도구를 근거로 김종임(1994)이 수정 보완한 자기 효능감 측정도구 및 노유자(1988)가 개발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일반석 특성과 지식,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는 t-test, ANOVA로, 지식,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Pea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는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지식 정도는 평균 15.01점, 자기효능감 정도 평균 1030.40점, 삶의 질 정도 총 평균 135.19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과 지식과의 관계에서는 성별(t=19.03, p=.00), 직업 (F=2.34, p=.03), 운동종류(F=2.95, p=.03), 운동시간(F=3.20, p=.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일반적 특성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월수입(F=3.64, p=.01), 직업(F=2.30, p=.03), 관절염 앓은 기간(F=2.70, p=.03), 운동시간(F=3.77, p=.01), 운동효과(F=4.56, 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일반적 특성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는 연령(F=3.36, p=01), 월수입(F=3.11, p=.02), 주거형태(t=4.93, p=.02). 운동시간(F=3.03, p=.0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지식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154, p>.05). 6. 대상자의 자가효능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62, p<.001). 7.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으로 삶의 질을 21.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