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람 평가 요인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4초

태권도 공연 관람자의 인지된 가치 척도 개발 및 적용 (The Consumer Perceived Value in Taekwondo Performance Spectator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 정승훈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6호
    • /
    • pp.417-43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공연 관람자의 인지된 가치 척도를 개발하고 더 나아가 개발된 가치 척도에 대해 다양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척도의 타당성, 신뢰성,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여 태권도 공연 관람자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척도개발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절차를 참고하여 8단계 방법인 (1) 선행연구 검토, (2) 예비 요인 및 문항 추출, (3) 문항의 정제 및 평가, (4) 예비조사, (5) 데이터 수집, (6) 문항의 타당성 확보, (7) 문항의 유효성 평가, (8) 문항의 적용가능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태권도 공연 관람자의 인지된 가치 척도는 문화적, 사회적, 쾌락적, 미적, 도덕적 및 실용적 가치 등 6가지 요인, 19문항으로 개발되었다. 한편, 개발된 가치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관람태도, 만족 및 미래 소비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 사회적, 미적, 도덕적 가치는 관람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쾌락적, 실용적 가치는 관람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사회적, 미적 가치는 미래 소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개발된 가치 척도의 모든 요인은 소비자행동(태도, 만족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 하였다.

애니메이션 속성이 관람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 : 네티즌 평점.리뷰 게시판을 중심으로 (Spectator Evaluation Process for Animation : Focusing on Netizen Grades and Review Bulletin Board)

  • 소요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3호
    • /
    • pp.115-131
    • /
    • 2008
  • 본 연구는 관객이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관람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관람 후 네티즌 평점 리뷰 게시판의 평점과 언급된 평가 내용들을 중심으로 하였고, 소비형태의 평가를 측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기초로 실용적 속성과 감성적 속성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실용적 속성에서는 스토리, 캐릭터, 연출, 배경미술, 배경음악 성우더빙, 특수효과 제작사 등이 평가변인들로 나타났고, 감성적 속성에서는 재미 감동, 만족, 매력, 환상, 긴장 등의 평가변인들이 나타났다. 특히 두 속성간의 변인들은 개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두 속성간의 관계가 관람 후 애니메이션 평가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론적으로, 애니메이션 관객은 구체적인 실용적 속성들에 대한 감성적 경험을 매개과정으로 작품 전체를 평가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PDF

박물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user-evaluation of museum smart phone applications in pre-visit setting)

  • 이보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1권1호
    • /
    • pp.215-21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루브르박물관, 미국자연사박물관, 대영박물관, 아시아문명박물관, 국립미술관, 빌바오 구겐하임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통해 정보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하고, 사용성과 기능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했다. 사용자 평가에 대한 종합결과와 정보서비스의 총점을 비교한 결과, 빌바오 구겐하임, 미국자연사박물관, 루브르박물관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사용성은 개인화적 특성, 비간섭적 특성, 동기부여, UX/UI, 연결완전성이 내재한 관람모형, 정보서비스 등 모든 요인과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하나의 중요한 시사점은 박물관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만족도는 하드웨어나 기술의 적용보다는 콘텐츠와 관람객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터랙션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이다.

  • PDF

관객유형에 따른 공연관람 구매의사 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ctors of Purchase Intention to Viewing Performance by Audience Type)

  • 권혁인;정순규;최용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39-150
    • /
    • 2015
  • 본 연구를 통해 관객이 공연관람을 하기 위하여 구매 의사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조명해보고자 한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표본에 대해 군집 분석을 사용하여 관객유형을 나눈 후 관객유형에 따라 공연관람을 하기 위한 요인이 구매 의사에 어떻게 다른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관객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연령층과 공연예술 관람 경험 유무와는 상관없이 표본을 구성하여 평가하였다. 관객유형에 따른 구매의사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관객유형이 조절변수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자가 제시한 관람동기와 공연작품 품질이 구매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관객유형이 각 영향요인에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공연예술 단체들이 마케팅 전략을 세울 때 관객유형을 파악하여 유형에 맞는 적절한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이바지하고자 한다.

무제의 효과: 미술품 제목의 유형이 관람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Untitled Effect: Effect of Type of Artwork Title on Audience Reaction)

  • 박주연;신형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00-61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미술품 제목의 유형, 특히 무제가 관람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네이밍은 그 대상의 속성을 표현하는 기능을 하는데 제품이나 콘텐츠 산출물의 평가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미술 작품에 있어서는 무제라는 네이밍이 적지 않게 이용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무제라는 제목이 관람자의 미술품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국내미술시장의 확대로 미술품에 대한 소비자 구매행동을 밝히기 위한 요구들이 이어짐에 따라 잠재적 소비자인 관람자의 작품에 대한 평가는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평가에 있어서 이름이 영향을 미치듯이 미술품에 있어서도 제목이 작품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관람자가 미술품을 평가하는 하나의 요인으로서 제목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에 기초하여 관람자들은 동일 작품에 대해서도 정보를 제공하는 제목과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제목에 대해 이해도, 주목도, 매력도, 그리고 호기심의 정도를 상이하게 가질 것이라는 가정을 설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이용된 305명의 설문 응답을 다항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작품의 제목이 무제일 때 설명적 또는 연상적 제목일 때에 비해 관람자는 작품에 대해 낮은 이해도와 주목도를 보였으며, 특히 작품의 장르가 추상화일 때에 관람자는 무제인 작품에 대해 더 높은 호기심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미술작품에 있어서 제목의 중요성에 대하여 언급했던 기존의 연구들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관람자가 미술품을 평가하는 데에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제목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미술작가는 작품에 대한 상이한 반응을 유발하는 제목을 정하는 것에 있어서 신중해야 함을 시사한다.

어린이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평가 요인 (Evaluation Factors of Children for Television Animation)

  • 소요환;김준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6호
    • /
    • pp.33-47
    • /
    • 2009
  • 본 연구는 7세에서 11세까지 연령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의 평가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초등학교 1학년에서 4학년까지의 어린이 12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했고, 인터뷰 내용을 근거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어린이들이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인들은 재미와 액션이었고, 다음으로 무해성, 순정성, 사실성, 이해력, 그리고 폭력성 순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샘플에서 남자 어린이들은 애니메이션의 재미와 액션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반면, 여자 어린이들은 무해성과 재미를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음악축제 방문자의 몰입과 확산태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mmersion and extend attitude of music festival visitors)

  • 이경률;주희엽;이승훈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9-130
    • /
    • 2013
  • 오늘날 음악축제는 시장규모가 점점 커져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장르의 축제가 계속적으로 생겨나고 있다. 이를 위해 시장형성이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방문자개발을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품질평가 모형을 중심으로 음악축제의 핵심속성으로 관람객의 관람가치, 축제 매력성의 2가지 요인을 추가적으로 도출하여 반영하였다. 둘?, 몰입 후 행동에 대한 태도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몰입도 뿐만 아니라 몰입과정의 태도에 대한 관련상품 구매의도를 변수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음악축제 경험자 205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결과를 통해 공연기획사가 성공적으로 공연을 기획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무용공연장 서비스 품질과 공연장 만족 및 재관람 의사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Dance Performance Halls and Satisfaction with Performance Halls as well as re-spectating)

  • 김선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50-158
    • /
    • 2011
  • 본 연구는 무용공연장 서비스 품질이 공연장 만족도 및 재관람 의사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경기도 박물관 내 공연장", 양평군에 소재한 "바탕골 소극장"을 대상으로 무용공연을 관람하기 위하여 방문한 관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400명의 표본을 추출 하였다. 응답자의 내용이 부실하고 누락되거나 자료로서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는 표본은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고, 최종적으로 자료 분석에 사용된 것은 367명이다. 조사도구는 자기평가기입법에 기초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통계 분석 기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은 유의수준 ${\alpha}$=.05에서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용공연장 서비스 품질은 공연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무용공연장 서비스 품질은 재관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공연장 만족도는 재관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관람객들은 공연장 서비스 품질이 높을수록 공연장에 대한 만족도와 재관람 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술관의 물리적 전시환경에 대한 관람 만족도와 관람행태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평면작품 위주의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Viewing Satisfaction and Viewing Behavior on the Exhibition Environment of Art Museum - Focusing on the exhibition spaces exhibit by flat works -)

  • 이규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1-21
    • /
    • 2012
  • In order to increase visitors' viewing satisfaction and viewing behavior in the art museum exhibit by flat work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evaluation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artworks and their intervals', 'the space of exhibition and the size of walls', and 'compositional change of exhibition spaces', which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evaluation factors, by focusing on artworks and exhibition space. Thus, to investigate how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of the major evaluation factors in art museums affect visitors' viewing satisfaction and viewing behavior, this study compared the related analytical indicators, and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n artworks (which has been selected as a collective assessment indicator of visitors' satisfaction) increased when the exhibition space of art museum is display by less artworks and they have big interval in the large wall. Second, visitors' viewing satisfaction and qualitative viewing behavior increased when the exhibition space of art museum are simple and they change to simpler step by step.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visitors' visio-perceptual experiences and viewing behavior, and that visitors' viewing satisfaction and viewing behavior can be predicted partially in the certain exhibition environment from this correlation.

  • PDF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장애인 메가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대학생의 관람 의도 모형 분석 (Analysis of Model of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to Watch Mega Sports Events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김경진;김재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33-439
    • /
    • 2022
  • 이 연구는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장애인 메가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대학생의 관람 의도에 대해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증과 변인들 간의 인과적 영향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하위 변인들의 문항들을 바탕으로 전문가 회의, 타당도, 신뢰도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Cronbach's a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8.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EM) 및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장애인 메가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대학생의 관람 의도 연구모형의 검증 결과 CFI, NFI, IFI의 평가지수가 수용의 기준을 충족하여 이 연구모형의 적합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메가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대학생의 관람 의도 연구모형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행동신념과 규범신념은 관람 의도에 정(+)의 유이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학생의 통제신념 관람 의도에는 부(-)의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