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광자원적 요소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5초

지자체의 관광자원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지자체의 관광자원 브랜드를 대상으로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 of Brand Equity on Brand Loyalty : Focusing on the Brand of Tourism Resources in Cities and Counties Level)

  • 이민재;이연주;서원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99-509
    • /
    • 2012
  • 본 연구는 지자체가 보유한 관광자원 브랜드의 개념을 정립하고, 방문객의 관광자원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재방문과 타인 추천의사 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관광자원 브랜드 구축 필요성과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지자체 관광자원 브랜드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관광자원 브랜드 자산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방문객 수를 기준으로 1천만 명 이상인 4개 지역과 2백만 명 이하인 4개 지역의 대표 관광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된 410부를 회귀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지역의 관광자원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는 브랜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의 관광자원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선호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의 관광자원 브랜드 인지도는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만족의 영향하에서 브랜드 자산(인지도, 이미지, 선호도)은 브랜드 충성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결과들과 이를 바탕으로 한 관광자원 브랜드 구축 필요성 및 전략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GIS를 이용한 문화ㆍ관광자원의 가시권 분석

  • 김용석;정창식;윤경철;박운용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9-433
    • /
    • 2004
  • 기존 가시권 분석에 있어서는 주거지 개발, 도로, 송전선 설치 등에 따른 시각적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많이 이뤄졌다. 이들은 개발에 따른 시각적 영향을 분석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시킴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관이 안공요소의 침입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를 고려하여 각 경관의 수용능력에 따른 개발을 유도함으로써 시각적 환경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도심지의 개발로 인하여 중요 문화ㆍ관광자원의 훼손으로 오랫동안 잘 보존되어야할 관광자원에 대한 시각적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문화ㆍ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경주시 지역에 대하여 가시권역을 시각화하고 분석하여 보았다. 우선 경주시 지역에 대한 1:25,000 수치지형도 9장을 중첩하여 Arc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등고선만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등고선도를 가지고 DEM을 생성한 후 Arc/GIS의 Workstation Arc/Info를 이용하여 가시권역을 나타내어 보았다. 이렇게 나타난 가시권역과 문화ㆍ관광지역과의 중첩을 통하여 가시지역의 범위를 분석하여 본 결과 관측점에서의 가시범위가 약 70%정도로 나타났다.

  • PDF

관광산업 인적자원개발의 전략과 유형검토: 지역인적자원개발사업을 중심으로 (Strategy and Type Analysi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Tourism Industry: Focused on Reg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grams)

  • 임명재;이영구;이재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442-2449
    • /
    • 2015
  • 본 논문은 지식기반사회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인적자원개발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인적자원개발의 전략과 유형에 따른 효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특히, 대표적인 서비스산업으로 인적자원의 활용이 핵심을 이루는 관광산업을 중심으로 세부적인 전략을 검토하여, 관련 분야의 활성화와 인적자원개발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적자원개발영역별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결과 개발영역에 따른 차별화된 효과를 검토할 수 있었다. 특히, 관광개발사업의 경우에는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취업자를 배출하였으며, 지역특성화 지원 영역에서는 다른 영역에 비해 많은 수료자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관광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투입 및 산출요소에 대한 통계적 접근을 수행하여 개발 영역에 따른 차별화된 유형과 전략을 검토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에는 각 영역이 갖는 특성과 목적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인적자원개발 전략의 수립 사업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력요소 중, 소프트파워로서의 문화경쟁력 비교분석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cultural power as a soft power among national power)

  • 최창현;박정배;김종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55-6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문화력이 국력요소인 소프트파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경험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문화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국력요소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자원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이의 활용을 통해 자원이 필요할 때 필요한 질과 양만큼 개발 생산하여 확보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그런 자원들을 개발 생산, 확보하는 제반주체들의 활동이 원활히 발휘되도록 돕는 제반지원능력, 즉 복합지원역량으로 나타나야 한다. 문화력의 지표는 국민호감도, 문화호감도, 문화산업 경쟁력 지수, 체육경쟁력 지수, 관광 경쟁력 지수 등을 포함한다. 각 국가들의 문화력을 분석한 결과, 각 국가들의 문화산업 경쟁력과 여행 및 관광 경쟁력의 요소들이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파워로서의 문화력' 부문에서 한국 중국 미국 간 문화산업과 여행 및 관광 경쟁력 측면에서 요소 지표를 분석하여보고 문화차이 등 자원의 발휘를 고찰하였다.

에듀테인먼트 관광자원으로서의 동굴 (A Study on the Cave as Edutainment Tourism Resource)

  • 유영준
    • 동굴
    • /
    • 제93호
    • /
    • pp.69-78
    • /
    • 2009
  • 많은 학자들은 현대 사회의 관광 형태를 단순히 '보는 관광'을 지나 '체험관광'의 시대로 변화했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기존 관광상품에 체험적 요소를 가미하려는 시도가 동굴관광에도 도입되고 있다. 정선의 화암굴과 같이 하나의 주제에 맞춰 다양한 전시관을 준비함으로써 체험관광자를 유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굴의 에듀테인먼트 관광자원으로서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굴의 특성과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정립한 후 동굴의 역할과 에듀테인먼트 동굴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에듀테인먼트 관광자원으로서의 동굴 (A Study on the Cave as Edutainment tourism Resource)

  • 유영준
    • 동굴
    • /
    • 제86호
    • /
    • pp.16-24
    • /
    • 2008
  • 많은 학자들은 현대 사회의 관광 형태를 단순히 '보는 관광'을 지나 '체험관광'의 시대로 변화했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기존 관광상품에 체험적 요소를 가미하려는 시도가 동굴관광에도 도입되고 있다. 정선의 화암굴과 같이 하나의 주제에 맞춰 다양한 전시관을 준비함으로써 체험관광자를 유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굴의 에듀테인먼트 관광자원으로서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굴의 특성과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정립한 후 동굴의 역할과 에듀테인먼트 동굴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체험요소(4Es) 이론을 적용한 농촌마을의 테마전시관 계획 연구 (Planning of Exhibit Halls in Rural Tourism Villages Applying Experience Factor(4Es) Theory)

  • 이정원;김은자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4호
    • /
    • pp.1067-1094
    • /
    • 2012
  • 농촌테마전시관은 농촌지역개발사업의 활성화로 새롭게 조성되고 있는 체험관광 시설 중 하나로 지역의 어메니티자원을 방문객들에게 집중적으로 소개할 수 있는 중요한 시설이다. 이는 어메니티자원에 기초한 지역활성화라는 지역개발 기조에 맞추어 마을을 발전시키는 데 핵심 시설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조성되어 온 농촌마을의 전시관은 유사한 주제와 단순 나열방식의 전시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관리상태도 열악한 실정이다. 테마전시관을 통해 적극적으로 마을의 중심 어메니티자원을 알리고, 관련 체험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방문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방문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체험요소를 두루 갖춘 전시관의 체계적 계획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nd 과 Gilmore(1998)의 체험경제이론을 고찰하여 체험요소(4Es)로 제시된 교육적, 심미적, 현실도피적,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활용한 농촌체험전시관 계획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철원군 이길리 마을에 계획중인 두루미 테마전시관에 적용함으로써, 방문객과 소통하며 어메니티자원을 부각시킬 수 있는 테마전시관 계획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농촌관광마을에서 농촌체험전시관이 어메니티특성화와 마을활성화에 촉매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요인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분석 (The Impact Analysis on the Tourism Satisfaction of Development Approach Factor in Cultural Tourism Destination)

  • 김사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07-116
    • /
    • 2012
  • 본 연구는 문화관광목적지의 개발접근요인이 각각의 수준 내에서 관광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가야역사문화유적지와 경주국립공원을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먼저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관광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이용교통 수단, 동반자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개발접근요인과 관광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광만족과 관광시장 접근영역(관광 편익, 관광활동 요인), 관광대상 접근영역(관광잠재력, 관광자원가치 요인)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관광만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개발접근요인은 관광편익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관광활동, 관광자원가치 요인 순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발접근요인들이 관광만족을 51.4% 설명하였다. 향후 관광편익, 관광활동, 그리고 관광자원가치 요인의 구성요소를 우선적으로 고려한 문화관광개발접근이 요구되고, 궁극적으로는 관광객의 관광만족을 지속적으로 충족시킬 때 문화관광개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문화관광의 구성요소가 농산물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ural Cultural Tourism on the Image of Agricultural Products)

  • 이익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73-80
    • /
    • 2018
  • 본 연구는 농촌관광객을 대상으로 농촌문화관광요소가 농산물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드웨어 요소는 부분적으로 농산물 브랜드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프트웨어 요소는 부분적으로 농산물 브랜드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적자원 요소는 부분적으로 농산물 브랜드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농산물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농촌문화관광요소에 대해 다양한 전략을 개발하여 농촌문화관광의 활성화 전략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핵심관광지 방문객 유형분석을 통한 인근지역 연계개발 : 강화도 중심 (Neighborhood Region Connection Development with Core Tourist Area Visitor Behavior Characteristics)

  • 권동극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98-407
    • /
    • 2010
  • 강화도라는 핵심 관광 목적지를 선택하는 관광객의 유형을 실증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인접지역인 김포서 북부지역의 개발방향을 제시하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들 관광객을 흡수하기 위해 공간적 연계를 어떻게 만들어 가야 할지가 본 논문의 연구과제 이었다. 이런 면에서 수도권 시민의 관광욕구를 충족시키고 수용하기 위해서는 핵심관광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자료를 근거로 핵심 관광지 및 인근 연계지역 관광자원 개발 전략을 구상함으로써 차별화된 경쟁력을 도모할 수 있다. 강화도와 김포 서북부지역을 대상으로 관광자원의 분포와 접근성, 관광객 행태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지리적 공간요소의 중요성을 재발견 할 수 있다. 각 지역별로 지역의 관광자원 특성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지역단위의 미시적 연구가 증대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핵심관광 목적지인 강화도의 관광객 유형을 분석하여 인근지역인 김포서북부지역의 관광자원을 연계 개발시켜나갈 방안을 모색하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