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광수요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4초

국민국내관광객의 이동시간거리에 대한 수요탄력성 분석 (Analysis of Tourism Demand Elasticities by Travel Time Distance in Korea)

  • 권영현;김의준
    • 지역연구
    • /
    • 제31권1호
    • /
    • pp.65-8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국내관광객을 대상으로 이동시간거리에 대한 관광수요탄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국민여행실태조사의 여행기록부 원자료를 이용하였고, 이동시간거리별 관광 수요는 구분적 선형회귀모형(Piecewis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우리나라 국민국내관광객의 이동시간거리 1분 증가할 때 관광수요는 비탄력적으로 0.005%만큼 감소하였다. 이를 시간거리에 따른 구간별로 보면, 동일 조건에서 관광수요는 출발지에서 1구간(11.6분 이내)은 0.206% 상승하였고, 2구간(11.7-75.1분)과 3구간(75.2분 이상)에서 각각 0.106%, 0.014% 감소하였다. 둘째, 관광객의 수요가 나타나지 않는 이동시간거리 75.2분 이상의 구간은 거리조락율이 급격히 상승하는 관광효과배제구역(Effective Tourism Exclusion Zone)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관광행태별 관광수요는 동반여행보다 단독여행 할 경우 증가하였으며, 출발지 기준의 관광수요는 중소도시 및 읍면에 비하여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관광수요는 젊은 연령에서 증가하다 고연령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해외관광 수요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제목 - 중력모형과 회귀모형 (A Study on Forecasting of Overseas Tour - Gravity Model and Regression Model)

  • 최경호;김재훈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2권2호
    • /
    • pp.103-111
    • /
    • 2001
  • 과거 오랫동안 기업가나 팝슨(1979)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21세기의 가장 큰 산업이 될 것이라고 예측된 관광산업은 오늘날 단일산업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이다. 관광분야에 대한 연구 중, 관광현상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하고 제시하며 응용하는 분야로 관광조사분석론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다루어지는 내용 중 관광수요와 마케팅분야가 핵심분야로 여겨진다. 오늘날 경제성장에 기인하여 해외관광은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광마케팅을 위한 올바른 관광정책 수립에 필요한 해외관광 수요예측이 요구되는 바,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해외관광 수요예측을 위 한 중력모형과 회귀모형 에 대해서 비교해 보았다. 또한 중력모형을 이용한 수요 예측 시 우리실정에 맞는 여행유입요소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모형 비교분석을 실시해 보았다.

  • PDF

서.남해안권 관광벨트의 해양관광레저인력 수요 분석 (Analysis of Demands of Manpower in Southwest Marine Tourism)

  • 박창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87-93
    • /
    • 2007
  • 전남 목포권 중심의 관광개발사업인 서남해안권 레저도시(J프로젝트)과 여수권 중심의 남해안관광벨트 개발사업 등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기 위해서는 관광사업시설의 공급뿐만 아니라 신규관광개발사업의 확대에 따른 원활한 신규 인력 도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규모 관광개발계획에 따른 관광시설 조성이 동시에 추진되었을 경우 사업의 완료시점에 인력 수급의 불균형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현재의 관광사업체 자연증가수요와 계획 중인 해양관광개발 수요를 통합 예측하여 적정한 해양관광레저인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해양관광레저인력 수요예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특수목적관광 유형 간의 대체보완 및 총 관광수요와의 영향관계 -상관관계분석 및 계량경제모형의 활용- (Substitute or Complementary among Types of Special Interest Tourism an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otal Individual Tourism Demand and Each Types -Application of Correlation Analysis and Econometrics Models-)

  • 곽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409-41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 목적관광유형들 간의 대체보완관계 및 총 개인관광수요와 각 유형의 특수목적관광 사이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500개의 표본 중에서 349개의 유효표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통계적 분석방법으로서 상관관계분석은 대체보완관계의 파악을 위해 그리고 인과관계분석을 위해서는 계량경제모델이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농촌관광과 해양관광은 상호 경쟁적 대체관계에 놓여 있었으며, 해양관광은 다른 어느 유형의 특수 관광보다 총 개인관광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어촌어항 정책방향

  • 박승준
    • 어항어장
    • /
    • 통권74호
    • /
    • pp.30-34
    • /
    • 2006
  • 생활수준 향상과 주 40시간 근무제 도입등에 따라 해양성 휴양 및 관광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어항 기반은 매우 취약한 편이다. 다양한 관광수요를 만족시키는 환경친화적 관광기능어항 개발이 절실한 실정인 것이다.

  • PDF

관광동굴이 포함된 철도관광상품의 시공간적 특성 (Time-Spatial Characteristics of Railroad Tour Package with Open Cave)

  • 김원진
    • 동굴
    • /
    • 제75호
    • /
    • pp.73-77
    • /
    • 2006
  • 운영중인 철도패키지 관광상품중 관광동굴이 포함된 철도관광상품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모든 상품이 당일 또는 1박정도의 철도노선 주변에 위치한 자연관광자원과 주로 연계된 상품 특성을 보였다. 철도관광상품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보다 다양한 시장세분화가 요구되며 적극적인 홍보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키지 상품의 차별화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철도관광상품에 포함된 지자체의 경우 수요관광객에 대한 질적인 서비스 향상과 지역간 관광협력 네트워크구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철도관광상품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관광객에 대한 만족도와 경험하고자 하는 예비관광객에 대한 수요조사도 아울러 필요하다.

어촌지역 관광의 수요현황.예측과 활성화 정책: 강원도 동해안을 중심으로 (Demand Forecasting and Activation Policies for Tourism of Fishing Regions)

  • 강윤호;정문수;우양호;김상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757-769
    • /
    • 2009
  • 본 연구는 어촌지역의 미래 관광수요를 예측하고 어촌지역 관광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지방정부의 정책적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는 강원도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다. 분석은 시계열 분석과 그 지역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동해안 어촌지역의 내국인과 외국인 관광객은 모두 증가되어 왔지만, 그 지역은 그러한 증가되는 관광수요를 지역경제 성장으로 흡수할 정도로 충분히 수용하지는 못해왔다. 그 지역의 미래 내 외국인 관광수요는 꾸준히 증가될 것으로 예측 되었다. 그러나 과거의 증가율에 비하면, 그 증가율은 특히 외국인 관광객의 증가율은 그다지 긍정적으로 평가되기 어렵다. 이런 분석 결과를 통하여, 그 지역의 관광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방정부의 정책적 시사점을 몇 가지 발견 하였다.

관광 수요 예측 모형의 계절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sonal Effects of the Tourism Demand Forecasting Models)

  • 김삼용;이주형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1호
    • /
    • pp.93-102
    • /
    • 2011
  • 본 연구는 관광수요 예측 분야에서 사용되는 계절형 ARIMA 모형과 다변량 계절형 시계열 모형과 오차수정모형의 성능을 비교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중국, 미국, 필리핀에 대한 실제 자료를 이용한 결과 관광 수요에는 계절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보이고 각 국가별로 예측 정확도를 RMSE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문화공간으로서의 등대 활용방안 연구 - 문화공간으로서의 입지성을 중심으로 -

  • 김재관;김가령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1-434
    • /
    • 2013
  • 국민관광객과 방한 외래관광객의 증가(문체부, 2012)로 도서와 해안지역에 대한 관광수요가 확산됨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등대(예 : 영도등대, 간절곶등대, 울기등대, 거문도등대)를 중심으로 국민생활속의 해양관광공간, 해양레저스포츠공간, 어촌체험공간, 유통관광중심의 어항개발 및 크루즈관광활성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새로움을 추구하는 관광객의 욕구가 증가하면서 틈새관광(niche tourism)의한 형태로 도서 관광(small island tourism)이 주목되고 있다(김영준, 2011). 내륙 중심의 관광에서 해양 관광으로 관심이 변화 확산되면서 친수공간시설에 대한 관광수요의 증가가 예상된다(이한석, 심미숙, 2009). 이와 같은 현실에서 도서에 위치하고 있는 등대자원을 활용하여 관광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등대관광활성화가 기대된다. 등대가 전통적인 기능과 역할에 충실한 항로표지로서 뿐만 아니라 공공서비스장소로서 해양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체험의 장을 제공하고 건축문화유산으로서의 역사성과 등대 고유의 기능에 대한 관광객의 흥미와 욕구를 잘 접목시켜 해양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농촌관광수요의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Rural Tourism Demand)

  • 손은호;구정대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0권1호
    • /
    • pp.43-52
    • /
    • 2023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GDP as a proxy variable of income, consumer price index as a proxy variable of price, and foot-and-mouth disease and avian influenza as derby variables on rural tourism dem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research were gross domestic product(GDP), consumer price index(CPI), and dummy variable(DM) such as food & mouth disease &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Results showed that GDP affected tourism demand positively whereas DM influenced negatively. The study suggested that it was important for policy-mconsider GDP and DM when making decision on strategic tourism management. In conclusion, first, gross domestic product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ural tourism demand. Second, avian influenza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negative effect on rural tourism dem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a reasonable rural tourism policy in the future economic dime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