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ourism Demand Elasticities by Travel Time Distance in Korea

국민국내관광객의 이동시간거리에 대한 수요탄력성 분석

  • Kwon, J. Younghyu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Euijune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권영현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
  • 김의준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및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4.12.31
  • Accepted : 2015.03.09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ourism demand elasticity of travel time distance on domestic destinations in Korea. Piecewis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he elasticitie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Tourism Survey. It is found that the tourism demand elasticities by tourist distances decrease by 0.005% if time distance increase by 1 minute. In the first section, the most nearest distance is less than 11.6 minutes from the origin, elasticities increases by 0.206% of tourism demand, whereas in second section (from 11.7 to 75.1 minutes) and third section (more than 75.2 minutes) it decreases by 0.106% and 0.021%, respectively. The third section with sharply rising distance decay rate can be interpreted as the Effective Tourism Exclusion Zone of domestic tourists in Korea. Additionally, the more tourism demand is appeared at the younger age group than older age group, single travellers than group travellers, and people in Metropolitan Areas than in smaller c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국내관광객을 대상으로 이동시간거리에 대한 관광수요탄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국민여행실태조사의 여행기록부 원자료를 이용하였고, 이동시간거리별 관광 수요는 구분적 선형회귀모형(Piecewis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우리나라 국민국내관광객의 이동시간거리 1분 증가할 때 관광수요는 비탄력적으로 0.005%만큼 감소하였다. 이를 시간거리에 따른 구간별로 보면, 동일 조건에서 관광수요는 출발지에서 1구간(11.6분 이내)은 0.206% 상승하였고, 2구간(11.7-75.1분)과 3구간(75.2분 이상)에서 각각 0.106%, 0.014% 감소하였다. 둘째, 관광객의 수요가 나타나지 않는 이동시간거리 75.2분 이상의 구간은 거리조락율이 급격히 상승하는 관광효과배제구역(Effective Tourism Exclusion Zone)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관광행태별 관광수요는 동반여행보다 단독여행 할 경우 증가하였으며, 출발지 기준의 관광수요는 중소도시 및 읍면에 비하여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관광수요는 젊은 연령에서 증가하다 고연령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