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계 갈등

Search Result 1,16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Effect of Relational Conflict and Task Conflict between the hotel employee on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 Moderating Effect of Self leadership (호텔 종사원의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 Kim, Je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63-166
    • /
    • 2020
  • 호텔기업은 최고의 서비스를 주고받는 산업으로 다른 기업과의 비교우위를 위하여 우수한 인력개발을 통해 조직의 효율성을 확보하는 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텔종사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첫째, 관계갈등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과업갈등이 조직시민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관계갈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 과업갈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을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도 지역의 특급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40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예측해보면 첫째, 관계갈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관계를 미칠 것으로, 둘째 과업갈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관계를 미칠 것으로, 셋째, 셀프리더십은 관계갈등과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의 역할을 넷째, 셀프리더십은 과업갈등과 조직시민행동에 조절효과를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조직시민행동의 예측변인으로서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에 대하여 탐색적인 수준에서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관계갈등과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셀프리더십의 상호작용을 다룬 연구가 이루어진 것에 의미가 있다. 또한 관계갈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조절하고 과업갈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예측되어지는데 이는 후속연구의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의 관리자는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을 최소화 하고 조직시민행동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자기개발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종사원에게 제공하여 건실한 조직문화를 이루어야 하겠다.

  • PDF

A Study on the Negative Effects of Task Conflict and the Importance of Trust in Peers and Team Orientation (과업갈등의 부정적 효과와 신뢰가 팀 지향성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 Kim, Young-H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3
    • /
    • pp.123-13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ask conflict on relationship conflict and the effect of relationship conflict on team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trust in pe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and the moderating role of team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conflict and team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ask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had a negative effect on team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rust in peer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Third, it was also found that team orient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conflict and team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A Study on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Asymmetric Interdependence and Conflict (불균형적 상호의존성과 갈등간 비선형적 관계에 대한 연구)

  • Kim, Jong-Keun;Kim, Jae-Wook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10 no.2
    • /
    • pp.49-72
    • /
    • 2005
  • As interdependence and conflict are important to the understanding of channel interactions,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eir relationship.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dependence and conflict will help understanding an exchange relationship. In social sc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dependence and conflict is explained by two contradictory theories, and there are also inconsistent results in marketing science. The authors suggest non-linear relations between asymmetric interdependence and conflict, based on bilateral deterrence theory and conflict spiral theory. Using survey data from industrial market, we demonstrate that there is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asymmetric interdependence and interfirm conflict. The result show, as the magnitude of interdependence is high. the hypothesis on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asymmetric interdependence and conflicts is acceptable on both suppliers and distributors. Finally, we discuss several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issues.

  • PDF

초기재혼부부의 결혼생활유지에 자기분화, 부부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 Byeon, Sang-Hae;Park, Hui-J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37-142
    • /
    • 2018
  • 본 연구는 초기재혼부부의 결혼생활유지에 자기분화, 부부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서 재혼부부를 대상으로 자기분화, 부부갈등대처방식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요구도 조사를 위한 포커스 인터뷰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수도권에 사는 부부이고 나이는 30세 이상에서 62세 미만을 선정하였으며, 재혼생활 기간이 1년 이상 6년 미만의 실질적 경험이 있는 부부를 선정하였으며, 부부 한쪽이라도 배우자가 전혼관계를 통해 자녀가 있는 복합가정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재혼부부를 대상으로 2017년 4월 4일부터 5월 25일까지 포커스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1회기에 100분씩 총 2회기로 개별적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재혼부부들은 원가족에서 형성된 미분화로 역기능적인 습관들이 삼각관계를 형성하고 불안을 더욱 증폭시켰다. 부부가 문제해결을 하는 상황에서 낮은 자아분화 수준으로 표현하며 갈등을 더욱 고조시켰다. 낮은 자기분화수준은 갈등관계에서 자신을 이성과 감정을 분리하지 못하고 감정적으로 반응하기도 하며, 환경에 흡수되는 부정적 갈등 대처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재혼부부에게 가장 취약한 면이 부부간 친밀감이며 유대관계이다. 전혼에서 상처와 부정적 정서로 인해 부부 신뢰감이 취약하였다. 비교적 짧은 재혼기간의 영향과 여러 갈등 요소 인 경제적 갈등, 계부모-친부모의 갈등, 계부모-계자녀의 갈등, 전 배우자와의 갈등, 부부간 잠재적 갈등 등으로 인해 친근한 부부유대관계를 맺지 못하는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특히 전혼관계의 배우자에 대한 부정적 경험이 남아 있을 경우 현재 배우자를 신뢰하지 못하는 갈등이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로 인한 부부갈등의 악순환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재혼부부의 결혼생활유지를 돕는 자기분화, 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통합적 프로그램을 구성하려고 하는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점진적으로 재이혼은 증가하여 부부 및 가족 구성원인 또 다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사회문제로 확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방적 차원에서 재혼부부의 결혼생활유지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 PDF

The Differential Effect of Task & Relationship Conflict: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Conflict based on the Conflict Transfer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m-Identification (과업 및 관계갈등의 차별적 효과: 갈등전이에 따른 관계갈등의 매개역할 및 팀 정체화의 조절역할)

  • Kim, Hack-Soo;Lee, Jun-Ho;Bae, Bum-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5
    • /
    • pp.2758-2768
    • /
    • 2014
  • A research on differential effects of task and relationship conflicts claims positive effects of task conflict on innovation performance and negative effects of relation conflict on innovation performance. Yet, given the intimate interconnectedness of task conflict and relation conflict, task conflict, which has a beneficial impact on innovation performance, may have adverse effects on innovation performance as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transferred to relation conflict. That necessitates the need for a way of management that can undermine the process of transference of task conflict to relation conflict, and team identification, which is a social identity of an individual and also a sort of positive, affective or cognitive bonds of such individual toward the team, can be an effective way of managing conflict. The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based on materials collected from 213 employees, confirms that such theory holds true for the real-life business environmen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Effects of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Relational Outcomes (갈등관리전략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

  • Jang, Hae-Soo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23
    • /
    • pp.113-151
    • /
    • 2003
  •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s and the 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s and relational outcomes of actors in conflict communication situations. Some of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integrate strategy has some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competences. But escape strategy has some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m. It means that the actors who have integrate strategy seems to be evaluated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es highly and the others who have escape strategy seems to be evaluated them lowly. 2. The communication competences have som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relational outcomes such as variables of intimacy, trust and relational satisfaction after conflict. This means the actors evaluate others' communication competences highly intend to have more intimacy, trust and relational satisfaction after conflicts. 3.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mediate the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and relational outcomes after conflict. It means that relational outcomes after conflict depend on partners' recognitions of actors communication competence. In sort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s in order to get some productive output in conflict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ituation.

  • PDF

Analysis of Young Children's Peer Conflict Process (유아 간 발생하는 또래갈등과정 분석)

  • Kim, Gyun Hee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2 no.2
    • /
    • pp.165-185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conflict components, and (2) to investigate interaction of conflict participants. Subjects were ninety-four 3-, 4- and 5-year-olds recruited from eleven child care centers in Seoul, Kyonggi and Incheon province. Interaction process between these young children were recorded by a video camera, and the scenes were transcribed for analysis of peer conflict situations which occurred between two children.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Chi-square. First conflict components are interrelat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ccording to conflict issue,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conflict outcomes according to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lso conflict outcomes were related to conflict emotion expression. Second, the stratigies interaction of conflict participants were significant and conflict emotion expression of conflict participants were significant.

  • PDF

Difference of Conflict Levels of Nurses and Nurse-aids against Doctors (의사와의 관계에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갈등수준 비교)

  • Lee, Mun-Jae;Choi, Man-Ky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112-115
    • /
    • 2011
  • 본 연구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동기를 제고하고 효과적인 간호서비스 제공을 촉진하기 위해 의사와의 관계에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가 느끼는 직무 및 대인관계의 갈등 정도와 원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규모 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271명을 대상으로 직무 및 인간관계 갈등 정도, 원활한 의사소통 여부, 갈등 원인과 해결방법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와의 관계에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가 느끼는 갈등의 내용과 정도는 대체로 비슷하였으나 의사와 간호직의 역할이 중복되거나 모호한 부분이 있다고 느낀다는 점에서는 간호사가 간호조무사 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의사와 갈등이 발생했을 때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모두 적당히 피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의 갈등해결 방법은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에 차이가 있었는데 간호사는 상대방에게 나의 의견을 따르도록 함, 노조를 통해 해결등의 순이었고, 간호조무사는 상사에게 해결하도록 함, 서로 조금씩 양보해서 타협함 등의 순이었다.

  • PDF

The Relationship among Different Types of Intra-team Conflict and Their Effects on Commitment in R&D Teams (연구개발 팀에서 팀 내 갈등 간의 관계와 갈등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Junho;Kim, Hack-Soo;Kim, Hann Earl
    • The Journal of Small Business Innovation
    • /
    • v.20 no.3
    • /
    • pp.31-48
    • /
    • 2017
  • Teams play an indispensable role in helping an organization achieve its goal. Since constant interaction among team members is the cornerstone of team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for the team members to commit themselves to shared goals-team commitment, a type of positive, emotional attitude of team members. Constant interactions among team members, however, inevitably breed a byproduct called conflict. Though intra-team conflict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eam performance,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to clarify the roles that relationship, task and process conflicts play in team commitment. This research i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types of conflicts - relationship, task and process conflicts -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232 R&D teams of 13 Korean companies. The analysis suggests that, while relationship conflict has a negative impact on team commitment, task and process conflicts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team commitment. As for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three types of conflict, process conflict has positively influenced task, and relationship conflicts and task conflict also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relationship confli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presented its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PDF

정보기술 아웃소싱에 관한 연구 -금융산업을 중심으로

  • 김동환;이대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461-477
    • /
    • 1998
  • 최근 기업들은 과거처럼 양적 성장위주의 경영관리체제에서 벗어나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부합사는 새로운 변신을 강력히 추진하는 전력도구로서 아웃소싱을 점차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기술 아웃소싱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는 벤더(vendor)와 클라이언트(client)간의 힘의 균형관계다. 본 연구는 벤더와 클라이언트간의 힘의 균형관계가 아웃소싱계약의 엄격성 정도와 갈등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계약의 엄격성 정도가 갈등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조사했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힘의 균형과 갈등관계에 있어서는 정보력 불균형이 서비스 질 문제갈등과 이윤문제갈등에 부(-)의 영향을 주며, 준거력 불균형이 이윤문제 갈등에만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힘의 균형과 계약의 엄격성 정도에 있어서는 정보력불균형이 계약수정정도 및 도구개발정도, 전제내용기술정도 모두에 각각 부(-) 의 영향을 주며, 준거력 불균형 또한 계약수정정도 및 도구개발정도, 전제내용기술정도 모두에 각각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계약의 엄격성정도와 갈등관계에 있어서는 도구개발정도만이 비용문제, 서비스질문제, 이윤문제 갈등에 각각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