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학 교사의 인식

검색결과 921건 처리시간 0.026초

공룡의 멸종 관련 불일치자료에 대한 중학생의 반응유형 (Types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ses to Anomalous Data related to Dinosaur Extinction)

  • 정철;정진우;김선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543-551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학생들이 가지고 있던 기존이론과 일치하지 않는 공룡의 멸종 관련 불일치자료에 대한 중학생의 반응유형을 조사, 분류하는 것이다. ‘공룡의 멸종원인’이라는 지구과학 소재를 이용해 기존이론과 불일치자료에 해당하는 자료지를 구성하였다. 불일치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유형을 분석한 결과, 거부, 재해석, 판단불확실, 신뢰감소, 부분적 이론변화, 이론변화 등 6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불일치자료를 이용한 개념변화 학습에서 불일치자료의 제시로 반드시 개념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불일치자료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인식하고, 구체적인 교수전략을 구상하여 처치함으로써 학생들의 개념변화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이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tudent's Creativity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 오희진;김상달;이용섭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
    • /
    • 2005
  • 과제중심학습이 교사가 학습자에게 전달해야 할 지식을 미리 정한 순서에 따라 차례로 제공하는 학습이라면. 문제중심학습(PBL)은 구성주의의 상대론적 인식론에 따른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의 활용에 관심을 둔 학습양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은 학습과정을 자율적 학습과정과 구분하여 이를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창의력은 관련분야에 실재하는 복잡하고 비구조적인 문제들을 자신의 두뇌 속에 이미 존재하는 지식이나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새롭고 유용한 결합을 이루어 내고, 그것에 기초하여 판단을 내리는 능력으로 보고, 본 연구에서는 이를 창의적 성향과 기능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문제중심학습(PBL)은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05에서 창의력 신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Free Learning Semester')

  • 김진섭;문성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24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middle school teachers perceived major feature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2013, the Free Learning Semester has been proposed by Korean government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educational programs which deals with various activities in classroom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learning ability. The Free Learning Semester helps students to figure out their dreams and develops their talents. The government plans to expand the Free Learning Semester to all middle schools by 2016. Since teacher's perception is an important matter in the applica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this study seeks to document the changes in curriculum by observing the perception of teachers in the school that implemented the Free Learning Semesters and those that did not implemented the Free Learning Semesters. 172 teachers from nine middle schools in Busan that their school schedules allowed were surveyed. Two school which operat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were compared to seven schools which did not operate the Free Learning Semest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most all (97.7%) teachers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schools have completed a training whereas 74.6% of the teachers in the non-Free Learning Semester schools have not. The usefulness of the training was satisfactory, but the teachers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Schools wanted more practical help with the curriculum. Second, the result,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revealed that the first grade second semester of middle school was the best time to implement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order for its successful establishment in schools, there needs to be a reliable and effective evaluation system. However, the results regarding the introduction and management of the new system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Schools, the changes in teachers' perce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need the training and the teacher's community to implement the curriculum and set a basis for valuation.

동물 해부실험에 대한 중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The Awareness of Secondary Teachers and Students toward Animal Dissection in Biology Class)

  • 이선경;이재영;김인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51-460
    • /
    • 1996
  • The ethical issu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s in both scienc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Especially related to the right of other species, animal dissection has been brought about two contradictory attitudes. In spring 1996,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status of animal dissection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awareness of 94 biology teachers and 422 secondary students toward animal dissection. And the meaning of animal dissection in biology class was discussed in ter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students(96.6%) had participated once or twice to animal dissection experiments(eg. fish, frog, shellfish, cuttlefish and chicken). And about half of teachers (57.4$\sim$64.9%) and some students(41.9%) felt ethical conflict in animal dissection. Second, many teachers(81.0%) and students(87.1%) thought that animal dissection was effective method to achieve the goal of biology education, but they needed more consideration on the respect for life in animal dissection experiment. Third, many teachers(88.3%) had students, who objected to animal dissection, participate obligatorily or passively. Fourth, teachers and students thought that audio-visual media such as video(teachers 63.5%, students 39.7%), computer simulations(teachers 31.7%, students 28.1%) and models(teachers 22.2%, students 24.1%) could be effective as alternativ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imal dissection experiment, although it is needed to achieve the goal of biology education,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on the rights of animal and the respect for life, and alternatives for students who object to animal dissection in biology class.

  • PDF

초등교사의 과학과 환경 교육에 대한 수업실태 분석 및 인식도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Subjects of Environment-related Education in Science and of Their Instructional Methods)

  • 조태호;서승조;백남권;김성규;박강은;박원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7호
    • /
    • pp.611-62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perception toward the environment-related subjects in science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ir instructional methods in delivering the subjects in the classroo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mpl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Kyung Nam Prov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surveyed showed that the environment-related units and contents in the science textbook were insufficient to the existing issues. Second, the large portion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textbook were insufficient to deliver the contents. Third, the largest portion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ir preferred instructional method was a teacher-directed instruction followed by a case study approach. Fourth,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both male and female teachers showed negative responses. Furthermore, male teachers were more negative than female teachers. Fifth, total means of their preference of the environment-related units was 3.13. The unit for sixth graders titled`Environmental Pollution and Protecting Nature'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whereas the unit for fifth graders titled`Structure and Functions of Plants'showed the lowest preference. Sixt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 gender and their working areas. Seventh,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s in terms of teaching experience. In detail, the teachers with 5 to 9 teaching experience showed the lowest scores, while the teacher with more than 15 years teaching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ir perception of the units. Eigh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For example, two-year college graduates showed higher preference than four-year college graduates.

탈북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포커스 그룹들과 면담을 통한 교육의 실제 - 수학.과학을 중심으로 - (Some Practice in Math & Science Classes Found by Clinical Interview with Focus Groups of North Korean Students Who Live in South Korea)

  • 고상숙;신동희;김애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2호
    • /
    • pp.125-148
    • /
    • 2010
  • This study was to find the perception of mathematical & scientific learning of North Korean students who lived in Korea.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 three groups as the focus group for clinical interview, consisting of North Korean students, their teaches and their parents, were investigated through narrative description of qualitative method, North Korean students experienced the gap between what they had learned and what they learned in Korea, due to visiting the 3rd country before they came to Korea. So they were in need of well developed instructional instruments based on a precise diagnosis of language ability to help them get over their difficulties. Second, they have difficulties in math & science classes due to differences between curricular and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ays of expression of terminologies used in two countries. They expressed that the group work in learning and a great deal of number of problems could be helpful for their needs. Third, the community-service center should be operated in a systematic way to compensate their lack of getting a private education. Fourth, they thought that the supplemental materials should provide some sources that might help them to get over the language barrier and difficulties from the differences, because they depended on them.

통합 도시 기후 교육을 통한 복원력 구축: 베트남 중부 Da Nang 시 사례 연구 (Building Resilience through Integrated Urban Climate Education: A case study in Da Nang City, Central Vietnam)

  • ;;이달희;박태윤;한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7
    • /
    • 2019
  • 기후변화 대응을 공식화하고 보완하는데 있어서 교육의 중요성은 국제 및 국가별 체제, 의제, 전략 및 실행 계획에 의해 널리 인식되어왔다. 기후변화 교육은 기후변화에 대한 최신 정보와 지식에 접근하고 정책 개발을 지원하며 기후 변화 대응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역 사회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기후변화와 도시화를 교육하교학습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 중 하나로 통합 도시 기후 교육 (IUCE)의 혁신적인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낭 시 캠르 지역의 IUCE 사례 연구에서 얻은 접근법, 방법론 및 주요 교훈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시 복원력 구축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방식으로 IUCE의 개발 및 구현에 대한 여러 가지 중요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는 (1) 다차원 접근법, (2) 교사 중심의 기반, (3) 학교 가족 공동체 연결, 그리고 (4) 공생 원리가 포함된다.

초등 수학 영재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학생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Perception of Stud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Program)

  • 이정;강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07-124
    • /
    • 2007
  • 최근에 우리나라 교육계에 가장 두드러지게 등장하는 것이 영재교육이다. 영재교육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집중되어 지고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 영재교육기관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추적연구나 중장기적 연구가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5년도 서울시 지역교육청 영재 교육원과 2006년도 서울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영재 수학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영재 프로그램의 목표와 구성요소, 표준을 바탕으로 한 설문을 통해 분석하여 앞으로의 영재교육을 설계하는데 있어 학생들의 인식에 대한 자료도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영재교육에 참가하는 학생들은 현재의 영재프로그램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지만 아직 초등학생이라는 발달적 단계로 놓여있는 점을 감안하여 영재프로그램에 참가하는 교사와 좀 더 친밀한 관계형성을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학습에 있어서도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좀 더 가능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앞으로의 초등 영재 수학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바란다.

  • PDF

특수체육전공자들의 특수체육 전문성 인식이 장애학생의 도전행동에 대한 감정적 반응(ERCB)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Majors' Perceived Teacher Competencies on the Emotion Reaction Towards Challeng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김대경;박진우;이현수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2호
    • /
    • pp.421-43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체육 전공학생들의 특수체육 전문성 인식이 장애학생의 도전행동에 대한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체육교육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서울, 경기, 경남, 경북에 소재한 특수 체육 관련 학과 재학생 2, 3, 4학년 재학생 41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권기홍(2008)과 한현정(2011)의 특수교사 전문성인식 설문지와 Oh, Seo & Kozub(2010)의 장애학생 도전행동에 대한 감정적 반응 설문지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차이검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학년, 가족 장애유무, 친구 장애유무)에 따른 감정적 반응에 대한 분석 결과, 성별, 학년, 친구 장애유무는 감정적 반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특수체육 전문성인식이 장애학생의 도전행동에 대한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특수체육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 중 생활지도 및 부모교육, 특수체육 특별활동은 감정적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체육 공통지식, 교과지도, 장애별 교육지식은 감정적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르와 레지스터 분석에서 나타난 중학생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on Earth Science Themes Through Analysis of Its Genre and Register)

  • 차현정;김찬종;맹승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4-98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장르 분석 및 레지스터 분석을 통해 중학생들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7, 9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 온난화'와 '암석의 분류' 주제 글쓰기를 실시하여 얻은 학생들의 글쓰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장르별 글쓰기에 익숙하지 않았으며 특히 논설장르 글쓰기에 많은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내용과 논리관계의 특징으로 정의나 분류와 같이 한 부분을 다른 부분과 관련시키는 관계적 술어보다는 행동 및 하는 것을 의미하는 현상적 술어와 부가적 논리 관계가 많이 나타났다. 셋째, 상호관계적 표현의 특징으로 글 속에서 글의 주체, 글쓴이의 감정, 주관적 의견들이 많이 드러났으며,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에 대해서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불확실성을 드러내었다. 넷째, 텍스트 구성의 특징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부가 접속사를 통해 단편적인 정보들을 나열하였으며, 체계적이며 논리적인 글을 쓰는데 익숙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과학 학습에서 과학 글쓰기가 강조되어야 하며 국가 교육과정차원에서 체계적인 계획뿐만 아니라 과학 글쓰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향상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