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제 작성 교육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Paper Writing Education in Academic Library (대학도서관에서의 과제 작성 교육에 관한 연구)

  • Rhee, Hey-You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2 no.1
    • /
    • pp.369-395
    • /
    • 2011
  • Some academic libraries have paper writing education as part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Paper writing educa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tents; choice of subject, information type and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retrieval. citation and bibliography writing, plagiarism type and(a front) cover table of contents writing. This study investigated paper writing education of the academic libraries that have it. Upon investigation, the academic libraries put a high importance on information type, location and retrieval. On the other hand, they lacked of the education on citation and bibliography writing, especially plagiarism. And some of the academic libraries had not the education on a choice of subject and(a front) cover a table of contents writing.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was required. This study finding will give effective material to the academic libraries having education and will have education.

The Present Condition on Education of Citation & Reference Writing in Academic Library (대학도서관의 인용 및 참고문헌작성 교육 현황)

  • Rhee, Hey-Yo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3
    • /
    • pp.35-56
    • /
    • 2012
  • The citation & reference writing is a necessary curricular course for undergraduate students to improve paper writing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academic libraries have been involved in relation to the course.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present conditions and contents of the citation & reference writing presently taught by academic libraries. The investigation shows that 9 out of 51 universities in Seoul & Gyeonggi-Do taught the course of citation & reference writing. The course was all taught under the title of 'paper writing' except one academic library, and the librarian taught this course on off-line. Some academic libraries taught only part of citation & reference works while many never taught them at all. Especially, the definition and types of plagiarism and reference works on Website were not appropriately covered. Academic libraries teaching the citation & reference writing should grow, and contents of the course should be systematically taught.

Effectiveness of Project Based Learning in Mechanical Drawing Education Using CAD (CAD 활용 기계제도 교육에서 PBL 수업의 효과)

  • Lee, Hee Won
    • Transactions of the KSME C: Technology and Education
    • /
    • v.2 no.2
    • /
    • pp.125-130
    • /
    • 2014
  • Although the subject of Mechanical Drawing is very important in mechanical engineering education, it is hard to teach the subject effectively, because it needs to carry out lectures and labs in parallel and needs substantially large portion of CAD lab time. In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Systems and Design Engineering of SNUST, Project Based Learning is adopted to teach the subject of Mechanical Drawing. In this course, students experience to read and to draw drawings through the PBL project after the lectures on mechanical drawings. In this way, they can learn by heart the drawing skills and the operation of CAD software tools. In this paper, various PBL projects and teaching methods carried out in recent years are presented and the effects of the projects are discussed.

Design of Teaching-Learning Model for Programming Language Education using Advance Programming Assignment (사전 과제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수 학습 모델 설계)

  • Kim, Kyong-Ah;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327-328
    • /
    • 2016
  • 프로그래밍 교육은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지식 교육부분과 문제해결능력과 연관된 프로그래밍 전략을 교육하는 부분이 함께 필요하다. 프로그램 작성 기술을 교육하는 과정은 단순한 지식 습득과정이 아니므로 수업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유도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성의 프로그래밍 수업의 대표적인 수업방식은 실습방식으로, 실제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서로 다른 수준을 고려하면서 실습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에는 수업시간에 대한 제약이 많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사전 프로그래밍 과제를 활용하여 주어진 학점과 시간 안에서 실습 중심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수 학습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한된 실습수업 시간으로 인해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수업을 실시하는데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하여, 학습자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좋은 프로그램 작성 기준에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배양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ubject Management System Based on XML (XML 기반의 과제 관리 시스템에 관한 설계 및 구현)

  • 송현화;박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451-454
    • /
    • 2004
  • 최근 인터넷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도 교과의 특성이나 상황에 따라 학생들이 작성한 과제를 홈페이지 자료실, E-mail, FTP 등을 이용하여 제출 받고 평가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과제물의 공개, 과제물 수용 용량의 부족 현상, 평가에 따르는 불편함, 과제물을 또 다른 정보로 재환용 할 수 없는 문제 등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XML에 기반을 둔 과제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함으로써 학생은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인한 후 과제가 공개되는 일없이 정해진 기간 내에만 제출할 있고, 교사는 제출되어진 과제물을 효율적으로 평가한 수 있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출된 과제물들은 유용한 정보로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 Hwang, Bo-Yun;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02-107
    • /
    • 2016
  • 정부는 최근 2018년부터 초등학교 3학년부터 6년, 중학교 1학년생, 고등학교 1학년생들에게는 기업가정신 교육을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2020년 부터는 전학년에게 기업가정신 교육을 의무화하는 것을 예정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진행되고 있는 중소기업청의 비즈쿨 교육과정 등에서 실시되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교육 내용의 대부분이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을 주 과제로하고 교육과정중에서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한 제반 내용을 교육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교육에 필요한 내용들을 문헌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 특별히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기업가정신 교육 내용의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을 단순히 사업계획서 작성에 목적을 두고 있는 대부분의 현 교육 방법과 달리 창업학의 근본적 목적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관련 각 교육 기관 및 담당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전력 계통 교육의 현황과 과제

  • 김창종
    • 전기의세계
    • /
    • v.45 no.10
    • /
    • pp.32-40
    • /
    • 1996
  • 본 글은 전기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현재의 전력공학의 현 주소는 어디인지를 알아보고 과거 수년간의 급변하는 역사속에서 변화상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진로에 대한 방향을 얻기 위하여 쓰여졌다. 본 글을 준비함에 있어 다음에 설명할 설문지를 47개의 대학 전력공학 담당 교수에게 보냈고 돌아온 응답 37개를 바탕으로 통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교육통계연감과 미국의 IEEE에서 작성한 미국과 캐나다의 전력 공학의 상황에 대한 논문도 사용하여 비교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글에서의 전력공학에 대한 정의는 전력계통과 전력 전자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해석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전통적인 전력공학 즉, 전력계통과 해석, 발송배전, 제어, 기기등의 협의의 정의에 의한 전력 교육 분야를 나타낸다.

  • PDF

Exploring Ways to Learn Online Judge Problems in Block Programming Language (온라인 저지 문항을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로 학습하기 위한 방안 탐구)

  • HakNeung Go;Youngj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719-72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저지 문항을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로 학습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 탐구하였다. 온라인 저지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은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추상화 과정과 이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하는 자동화 과정이 포함되며 이는 컴퓨팅 사고력 발달에 영향을 준다. 온라인 저지는 대부분 텍스트 프로그래밍 언어(이하, TPL)에서 지원되어 초보 학습자가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이하, BPL)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저지는 BPL로 작성한 것을 TPL로 변환하는 방법과 그래픽 기반 문제상황을 해결하는 방법이 있으며 TPL로 변환하는 것은 텍스트 기반 온라인 저지 문항을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하는 방법이 어렵다. 반면 그래픽 기반 문제 상황은 사용하는 방법이 쉽지만 문항이 제한적이고 순차적 사고가 강조된다. 이에 엔트리 '스터디'와 '나의 학급-과제'를 이용하면 자동 평가 기능은 없지만 학습자가 익숙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고 교사는 문항을 직접 개발할 수 있으며 문제 제시, 예시 작품 제시, 블록 제한, 과제제출 등을 사용하여 BPL에서 온라인 저지 문항을 학습할 수 있다.

  • PDF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ticipating Through the Task Dialogue Activity (과제대화록 작성하기를 통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예상하기 특징 분석)

  • Kim, Ji Soo;Lee, Soo Ji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7 no.3
    • /
    • pp.511-536
    • /
    • 2017
  •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ways in which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ticipate 1) students' responses to specific mathematical tasks which are chosen or devised by the participating pre-service teachers as requiring students' higher cognitive demand and, 2) their roles as math teachers to scaffold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To achieve the goal, we had our pre-service teachers to engage in an adapted version of Spangler & Hallman-Thrasher(2014)'s Task Dialogue writing activity whose focus was to develop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bility to orchestrate mathematical discussion. 14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junior at the time enrolled in the Mathematics Teaching Method Course were subjects of the current study. In-depth analysis of both Task Dialogues which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wrote and audiotapes of the group discussions while they wrote the dialogues suggest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nticipated how students would approach a task based on their own teaching experiences. Second, they were challenged not only to anticipate more than one correct students' responses but to generate questions for the predicted correct-responses to bring forth students' divergent thinking. Finally, although they were aware that students' knowledge should be the crucial element guiding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in teaching, they tended to lower the cognitive demands of tasks by providing students with too much guidance which brought forth the use of procedural knowledge.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as it provides insights as to what to attend in designing teacher education course whose goal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ability to effectively orchestrate mathematical discussion.

수학 퍼즐을 이용한 영재학습 자료의 개발 - 공간 감각을 중심으로 -

  • Nam, Seung-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7
    • /
    • pp.97-114
    • /
    • 2003
  • 일선 교육 현장에서 영재를 지도함에 있어서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는 판별 도구와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영재를 위한 수학 프로그램을 문제 해결형, 수학 탐구형, 과제 해결형의 3가지로 분류할 경우, 퍼즐은 문제 해결형과 수학 탐구형 프로그램의 특성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유형으로 수학적 지식의 통합과 연결성. 그리고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 및 수학적 원리 ${\cdot}$ 법칙을 체험적으로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가치있는 프로그램이다. 특히 조작퍼즐은 기존의 대수적 표현 체계로 학습하기가 힘든 관찰력이나 공간에 대한 인식과 표현력 친 공간 추론력을 기르는 데 유용하며, 게임적인 요소가 포함된 퍼즐은 지필에 의존해 왔던 수학학습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수학 퍼즐의 종류 및 특성과 교육적 가치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실제 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정보를 제공과 영재들의 공감 감각을 기르기 위한 프로그램의 원을 이용한 수학 퍼즐의 개요를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