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업중요성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3초

과업갈등의 부정적 효과와 신뢰가 팀 지향성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gative Effects of Task Conflict and the Importance of Trust in Peers and Team Orientation)

  • 김영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123-131
    • /
    • 2020
  • 본 연구는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으로 전이되고 또한 관계갈등이 팀 만족 감소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팀 구성원간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팀 지향성이 높을수록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의 관계가 약화되는지, 그리고 관계갈등과 팀 만족 감소의 관계가 약화되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경북지역 내 기업 구성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74부가 실증분석에 활용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실증분석 결과 과업갈등은 관계갈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업갈등으로 야기된 관계갈등은 팀 구성원의 만족도 또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업갈등의 부정적 효과는 팀원 간의 신뢰수준과 팀 지향성 수준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팀 지향성은 관계갈등과 팀 만족간의 부(-)적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은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의 영향관계에서 신뢰의 중요성과 관계갈등과 팀 만족도 간의 부정적 관계에서 팀 지향성의 중요성을 기억해야 할 것이며,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횡단적 연구의 한계 등을 보완할 연구방법이 추후에는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소상공인의 핵심직무특성과 태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ore Job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of Small Business Employees)

  • 김찬중;조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28-337
    • /
    • 2011
  • 본 연구는 종업원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 직무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적자원관리의 관점에서 소상공인의 핵심직무특성(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피드백)과 태도(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간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기업의 종업원 315명을 대상으로 소상공인의 핵심직무특성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소상공인의 핵심직무특성과 태도간의 관계에서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회귀분석결과 기술다양성과 과업중요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기술다양성과 피드백은 조직몰입에는 정(+)의 영향을 그리고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는 과업중요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만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소상공인의 직무 태도 증진 방안과 경영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과업갈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Task-Conflict on Job Attitudes :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 정현달;백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92-203
    • /
    • 2016
  • 본 연구는 개인차원에서 과업갈등과 직무태도 간의 관계에서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최근 급변하는 경쟁 환경과 다양해지는 인력다양성 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조직 내에서 발생되는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 인식으로 인해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커뮤니케이션의 유형을 구분하여 커뮤니케이션의 긍정적인 메커니즘을 차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대표적인 유형인 상사와의 커뮤니케이션과 동료와의 커뮤니케이션으로 구분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양화된 인적구성은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대표적으로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과업갈등의 경우 구성원들 간에 업무수행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과업갈등의 경우 선행연구들에서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므로 조직관리적 측면에서 이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과업을 수행하거나 과업 수행 중에 발생하는 갈등의 상황에서 구성원들은 자연스럽게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런 과정 속에서 만족감을 인식한다면 과업갈등의 부정적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 국내기업에 종사하는 280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1.0 & AMOS 21.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2개 이상의 매개효과를 효율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팬텀변수를 활용한 다중매개효과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과업갈등은 직무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상사소통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직무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ask Analysi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조현양;김홍렬;류희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5-2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현장의 직무 분석을 통한 직종별 핵심 직무와 직무별 전문성의 정도, 그리고 조직체계상 도서관 유형별 해당 직무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인력구조 개선의 정책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직무분석에 대한 조사는 경기도 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루어졌으며, 설문조사는 중견급 이상의 공공도서관 사서 49명이 참여하였다. 도서관 과업의 21.1%는 직무의 중요성이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체 과업의 69.6%는 높은 전문성을 요하는 과업으로 인식되었고, 도서관 과업의 73.1%가 사서직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직무로 인식하였다.

중소제조업 종업원의 직무특성과 조직 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남동 및 반월 공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in Namdong und Banwool Area -)

  • 장석인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2호
    • /
    • pp.23-46
    • /
    • 2006
  • 본 연구는 남동 및 반월 공단 중소제조업 생산직 종업원을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직무특성 및 공정성간의 관계를 설문조사 형태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분배 및 절차공정성이 중소제조업 종업원의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II와 구성원이 직무특성을 바람직하게 지각할수록 내적보상 요인에 더욱 만족을 할 것이라는 가설 I를 설정하였다. 선행 연구자들이 제시한 지각된 직무 특성요인은 기능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및 피드백 등 5가지 차원으로 분석되었다. 유의수준 .05에서 기능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및 자율성 등 지각된 직무특성요인은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업정체성과 피드백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직무만족이 분배 및 절차공정성과 강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제조업 종업원의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감안할 때, 중소제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있어서 공정성 인식을 높이는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제한된 조직의 자원을 배분할 때에는 공정한 절차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모든 조직 구성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직무만족을 제고하기 위한 선행조건이라 할 수 있다.

  • PDF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신기술 가치평가 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

  • 박기남;김창진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8-364
    • /
    • 2002
  • 본 연구는 기술개발상의 위험을 진단하면서, 상업화의 위험을 시장분석을 통하여 관찰하고 가격변동으로 인한 민감도를 고려하면서, 신기술 적용상의 장기적인 이익 및 수익의 예측정확도를 극대화하고 시장점유율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으로서 사례기반추론을 통한 신기술 사업성 평가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가 새롭게 제시하는 기법과 새롭게 재무분석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성장옵션 모형을 활용한 신기술 가격결정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두 가지 시스템을 통하여 신기술의 마케팅적 관점, 재무걱 관점, 시스템적 관점을 모두 파악할 수 있으며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이며 예측 정확도가 높은 신기술의 화폐적 가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신기술의 사업성 평가에 관한 연구는 향후 한국기업의 국가경쟁력을 위해서 꼭 필요한 과업이며 신기술 기반의 중소기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도 꼭 이루어져야만 하는 중요 과업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과업의 중요성에 비해서 그 동안 관련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황규성, 2001) 다만 은행 등 금융권의 실무자들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단순한 방법들이 제시되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이렇듯 관련 연구가 부족한 이유는 관련 분야가 재무관리, 회계학, 마케팅, 관련 기술분야 등 광범위하게 걸쳐져 있고 실무적인 성격이 강하여 학문적으로 일반화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 PDF

조달청 맞춤형서비스 사업에 대한 '감독 권한대행 등 건설사업관리용역(CM)' 과업내용 개선방향 (Proposal for Improvement on the Task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ervice(CM) for the Customized Service Project of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 이종태;윤현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11
    • /
    • 2021
  • 건설사업관리용역사업자는 '과업내용서'에 명시된 각 시공 단계의 활동을 명확하게 수행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업무의 빈도와 중요성을 고려하여 '설계변경'과 '준공처리'를 핵심 업무로 분류하였다. 이어서, 실제 수행된 건설 프로젝트를 분석하여 핵심 업무에 대한 과업내용을 표준화했다. 이를 통해 발주청, 건설사업관리기술인 및 시공자가 건설사업관리의 업무 영역을 명확히 이해하고 각자의 업무에 대해 책임을 다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중국 서비스 구성원의 직무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Turnover Intention of Service Industry Employees in China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Self-Efficacy)

  • 황란쥔;진춘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47-5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직무특성의 핵심요소인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직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에 초점을 맞춰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직무특성의 핵심요소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중국의 서비스업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 직무특성의 하위요인들인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직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은 모두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이직의도를 저하시키는 요소로 볼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더 나아가 자기효능감은 기술다양성, 자율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을 통해 직무특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서비스업 기업과 중국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서비스업 기업의 실무자에게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관련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자원봉사활동 직무특성이 활동만족도와 지속의지에 미치는 효과 (Effect on the Work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Will by Volunteer's Job Characteristics)

  • 강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22-330
    • /
    • 2012
  • 본 연구는 Hackman and Oldham의 직무특성이론에 근거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원봉사활동 직무특성이 활동만족도와 지속의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내 6개 대학의 대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자원봉사참가율은 평균 71.6%로 나타났으며, 자원봉사활동의 직무특성과 활동만족도, 지속의지는 중간값 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 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직무특성의 효과에서는 기술다양성과 과업정체성, 피드백이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속의지에 대해서는 자율성을 제외한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피드백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분석을 통해 자원봉사 활동만족도가 높으면 지속의지 역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관리자는 자원봉사활동의 직무를 직무특성이론에 기초하여 설계(design)함으로써 의미충만감이나 책임감, 결과의식을 높여서 최종적으로는 자원봉사를 통한 동기부여와 성과 향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진성리더십과 상사에 대한 신뢰, 조직침묵, 이직의도, 반생산적 과업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Trust in Superiors, Organizational Silence, Turnover Intention,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 권혁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31-147
    • /
    • 2017
  •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이 상사에 대한 신뢰와 조직침묵을 매개로 이직의도와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진성리더십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부산 소재 중규모 제조업체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진성리더십의 구성요소를 상사의 투명성, 도덕성, 균형 잡힌 처리, 자아인식으로 구분되었으며 구성요소 모두 상사에 대한 신뢰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에 대한 신뢰는 구성원들의 조직침묵(체념적, 방어적)에 부(-)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조직침묵은 조직 내 구성원들의 이직의도와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모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