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업의 의미성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1초

집단지성 발현의 선행요인 검토 (An Examination of Preconditions for the Cre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 추철호;류수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3호
    • /
    • pp.213-229
    • /
    • 2022
  •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언급된 집단지성 발현의 선행요인들을 검증함으로써 관련분야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집단지성 발현의 선행요건으로 과업의 복잡성과 의미성, 다양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커뮤니케이션 독립성, 의사결정의 분권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활용을 검토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연구개발 사업부에 속한 구성원을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198부 중에서 불성실한 13개를 제외한 185개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업의 의미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의사결정 분권화, ICT활용이 각각 집단지성 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지각된 비유사성과 가치 다양성은 각각 집단지성 발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모든 변수들을 함께 고려했을 때, ICT 활용, 과업의 의미, 경험에 대한 개방성, 인지된 비유사성과 가치 다양성 순서로 집단지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은 토의부분에서 자세히 분석하였다.

호텔 종사원의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Relational Conflict and Task Conflict between the hotel employee on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 Moderating Effect of Self leadership)

  • 김정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163-166
    • /
    • 2020
  • 호텔기업은 최고의 서비스를 주고받는 산업으로 다른 기업과의 비교우위를 위하여 우수한 인력개발을 통해 조직의 효율성을 확보하는 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텔종사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첫째, 관계갈등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과업갈등이 조직시민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관계갈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 과업갈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을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도 지역의 특급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40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예측해보면 첫째, 관계갈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관계를 미칠 것으로, 둘째 과업갈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관계를 미칠 것으로, 셋째, 셀프리더십은 관계갈등과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의 역할을 넷째, 셀프리더십은 과업갈등과 조직시민행동에 조절효과를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조직시민행동의 예측변인으로서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에 대하여 탐색적인 수준에서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관계갈등과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셀프리더십의 상호작용을 다룬 연구가 이루어진 것에 의미가 있다. 또한 관계갈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조절하고 과업갈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예측되어지는데 이는 후속연구의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의 관리자는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을 최소화 하고 조직시민행동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자기개발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종사원에게 제공하여 건실한 조직문화를 이루어야 하겠다.

  • PDF

신관리기법으로서의 PERT.CPM

  • 이승영
    • 시멘트
    • /
    • 통권37호
    • /
    • pp.4-11
    • /
    • 1970
  • 최근 급속히 팽창된 산업 구조와 이에 따른 업무량의 증가는 종래의 관리기술로서는 이를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없게 되었으며 아울러 인간의 미래조작능력의 증대와 기업구상력의 개발, 사회변동에 대비한 예측적인 계획의 수립 등 관리기능의 신장은 새로운 관리기법을 요구하게 되었으므로 PERT/CPM 수법이 신관리기법의 하나로 등장하게 되었다. PERT/CPM 이란 Program Evaluation Review and Technique, Critical Path Method 의 약자로서 우리말로는 계획수립 집행 및 평가로 번역되는데 이의 직역은 종속 및 총합 $\ulcorner$시스템$\lrcorner$ 과업의 동시진행 및 집중관리라 할 수 있는 것으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려는 기법인 것이다. 또한 PERT 기법은 복잡한 작업형태를 상호관련성있는 Network로 구성하고 제종속작업을 하나의 통일된 목표로 진행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PERT/CPM 기법은 제한된 자원의 효율적인 투자 및 관리와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제거하여 준다. 현재 정부(경제기획원)는 PERT/CPM 제도를 도입하여 건설공사에 대한 예산관리제도를 설정중에 있으며 민간 및 정부투자기관으로서 현대건설주식회사와 한국전력주식회사와 이미 PERT/CPM 제도화방책을 연구기관에 위촉하여 제2단계적용을 시도하고 있는 것은 시대적 당위성에 따른 타당한 전망이라 하겠다. 거금 한국양회공업협회가 본제도의 도입 적용을 추진하기 위한 일련의 조사활동을 시작한 것은 시멘트 공업계의 새로운 경영관리체제를 모색하고 업계를 선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리라 믿는다.

  • PDF

중소기업의 개인-환경적합성이 효과성 변수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결정성 기반 직무동기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erson-Environment Fit on Task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Motivation in SMEs)

  • 이주용;권석균
    • 중소기업연구
    • /
    • 제41권3호
    • /
    • pp.23-47
    • /
    • 2019
  • 본 연구는 중소기업 맥락에서 개인-환경적합성과 효과성 변수 간의 관계, 자발성에 기반한 직무동기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첫째, POF, PJF(욕구), PJF(능력) 등 세가지 유형의 개인-환경적합성이 효과성변수인 과업성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다. 둘째, 개인-환경적합성이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이다. 셋째, 개인-환경적합성과 효과성 변수 간의 관계에서의 직무동기의 매개 역할 규명이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에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211명의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PJF(능력)은 과업성과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POF와 PJF(욕구)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PJF(욕구)와 PJF(능력)은 내재적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PJF(능력)은 외적동기와 동일시동기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POF, PJF(욕구), PJF(능력) 모두 과업성과와의 관계에서 모두 내재적동기가 매개역할을 하였다. 또한, PJF(능력)과 과업성과와의 관계는 외적동기에 의해서도 매개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휴먼에러의 선행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기관사와 관제사의 사회심리변인 상관관계분석

  • 신택현;김중곤;노춘호;구승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3년 추계학술대회
    • /
    • pp.321-327
    • /
    • 2013
  • 기관사와 관제사는 일상적 교번근무의 제도적 틀과 사고 및 장애발생의 가능성을 늘 염려하면서 주어진 과업을 수행해나가고 있다. 최근 철도분야의 휴먼에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휴먼에러 유발의 원인과 해소방안에 대한 연구관심도 더불어 증대되고 있다. 그 동안 기관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관제사에 대한 접근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관제사 또한 안전업무종사자의 일원으로 이들의 과업수행은 휴먼에러와 깊은 관련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업무종사자인 기관사와 관제사의 휴먼에러 및 그 선행요인과 후행요인을 탐색적으로 밝히되 사회심리변인들의 상관관계분석 결과를 토대로 두 직종을 비교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좀 더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는데 주력했다.

  • PDF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이용수준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친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CMC on Learning Performance)

  • 이국충;권순동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2호
    • /
    • pp.75-96
    • /
    • 2011
  • 벤처기업을 경영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은 필수적이다. 커뮤니케이션은 구성원들 간의 상호 응집력을 높이고, 근로의욕이나 협동심, 직업만족 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최근 정보기술의 발달과 융합으로 인해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매체가 등장하고 있고, 이러 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매체가 제공하는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새로운 연구들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과업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첫째,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이용수준이 높아지면 과업성과가 향상되는가? 둘째,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이용수준이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과업이 친숙한 상황과 낯선 상황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셋째, 매체의 동기성 수준에 따라 과업성과가 어떻게 달라지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이용수준과 친숙도 그리고 성과로 구성된 연구모형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모형의 답을 대학에서의 팀 과목 수업에서의 학업성과에 대한 연구에서 찾았다. 왜냐하면 기업조직에서의 과업 수행방식은 예비 관리자 또는 미래 경영자를 양성하는 경영대학의 팀 과목 수업방식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팀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163부의 설문을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케이션 매체 이용수준이 높아질수록 성과가 높아졌다. 즉, 전화통화나 핸드폰 문자, 이메일, 메신저, 블로그, 인터넷 게시판 등의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더 많이 이용할수록 과목 내용을 보다 빠르게 이해하고, 이해수준을 높였으며, 더 나은 학점을 받았다. 둘째, 과목 친숙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과목 친숙도가 높을수록 커뮤니케이션 매체 이용수준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동기성 수준이 높을수록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이용에 따른 학업성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자원봉사활동 직무특성이 활동만족도와 지속의지에 미치는 효과 (Effect on the Work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Will by Volunteer's Job Characteristics)

  • 강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22-330
    • /
    • 2012
  • 본 연구는 Hackman and Oldham의 직무특성이론에 근거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원봉사활동 직무특성이 활동만족도와 지속의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내 6개 대학의 대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자원봉사참가율은 평균 71.6%로 나타났으며, 자원봉사활동의 직무특성과 활동만족도, 지속의지는 중간값 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 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직무특성의 효과에서는 기술다양성과 과업정체성, 피드백이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속의지에 대해서는 자율성을 제외한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피드백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분석을 통해 자원봉사 활동만족도가 높으면 지속의지 역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관리자는 자원봉사활동의 직무를 직무특성이론에 기초하여 설계(design)함으로써 의미충만감이나 책임감, 결과의식을 높여서 최종적으로는 자원봉사를 통한 동기부여와 성과 향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조직문화, 임파워먼트와 신뢰와의 관계 (Inter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Empowerment and Trust)

  • 김영춘;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92-300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이 사회복지사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사회복지이용시설인 지역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로 총 656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사회복지사의 신뢰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신뢰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문화에서는 집단문화, 발전문화가 사회복지사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에서 과업의미성과 자기결정력이 사회복지사의 신뢰수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사의 신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조직이 집단 문화와 발전문화일수록,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이 과업에 의미성을 부여하고 자기결정력이 높게 해야 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학습조직의 영향요인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한진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42-49
    • /
    • 2006
  • 본 연구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의 생존과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조직에 대한 연구로 학습조직을 향상하기 위한 학습조직의 선행요인으로 조직문화를 선정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습조직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게 나타났는데, 조직학습을 통한 학습조직수준의 향상으로 축적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직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직무만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둘째, 학습조직수준향상에 조직문화 중 변화지향문화, 과업지향문화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관계지향 문화, 위계지향문화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조직학습을 통한 학습조직수준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변화지향 문화와 과업지향문화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새로운 조직으로의 조직변화가 있을 때 조직유효성이 크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 PDF

융·복합 시대의 직무임베디드니스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Embeddedness to Job Involvement in the convergence age)

  • 이선규;강은구;김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215-227
    • /
    • 2016
  • 본 연구는 융 복합 시대에서 직무 임베디드니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직무 임베디드니스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의미성이 이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를 하는지 실증검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검증결과, 첫째, 직무 임베디드니스의 적합성과 희생 및 연계의 요인들은 직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의미성에 따라 직무 임베디드니스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대부분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직무 의미성의 기술다양성과 과업정체성은 직무 임베디드니스의 적합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가 작업자에게 기능과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할지라도, 작업자가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 동기수준 등과 같은 태도에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직무에 대한 몰입이 어려울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술적 실무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