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항환경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33초

공항의 지속가능성 평가모형의 개발 (A Develpment of System Dynamics Model for Airport Sustainability Assessment)

  • 유광의;김원규;김병종;김미경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24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의 지속가능성 개념을 공항에 적용하여 공항의 지속가능성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분석방법은 시스템 사고를 기본적 틀로 하고 있는 시스템 다이나믹스(System Dynamics) 기법을 사용하여 공항 시스템의 모델을 구축하고, 구축된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공항 및 배후지역의 실제 데이터를 적용,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공항의 활동으로 인해 공항 및 배후직역은 경제적으로는 지속가능하나 사회, 환경적으로는 지속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재의 상황에서 공항개발을 3년 앞당겨야 항공수요를 매끄럽게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최소 3% 저감시킬 경우 배후지역개발에 따른 항공화물 물동량 및 인천지역 GRDP의 6% 증가범위 내에서 공항 및 배후지역의 경제, 사회, 환경 측면에서 모두 지속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공항들의 성장전략과 민영화: 인천국제공항에 대한 시사점 (Growth Strategy and Privatization of Chinese Airports: Implications for IIAC)

  • 최경규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3호
    • /
    • pp.551-581
    • /
    • 2009
  • 이 연구는 중국의 공항 중 인천의 허브화 전략의 경쟁공항인 베이징공항(수도), 상하이공항(푸동)을 대상으로 지분매각, 지배구조, 공항운영 및 시설확충 등에 관한 사례를 분석한다. 세계 주요공항의 전략적 허브화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인천공항은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대처하고 무한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경영 패러다임의 전환이 시급하다. 그 일환으로 공항에 대한 대내외적 혁신요구에 적극 대응하는 새로운 소유구조와 지배구조 및 운영효율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공항의 일반적인 민영화 방안에는 기업거래(trade sale), 기업공개(IPO), 영업허가, 경영위탁,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5가지가 있다. 세계 공항산업의 동향과 함께 중국의 경쟁공항의 민영화와 관련하여 지분매각 및 이후의 지배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인천공항의 일부 지분매각과 지배구조, 공항개발 및 운영 등의 주요 의사결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인천공항이 동북아허브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공항시설 확충을 위한 재원을 조달하여야 하며, 운영 효율성의 강화가 필요하다. 공공성의 보장을 위해 공기업 형태를 유지하되, 민영화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 정부가 51% 이상의 지분을 보유하는 부분 민영화를 하되,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기업거래와 기업공개를 함께 활용하되 전략적으로 그 속도와 시기를 결정하여야 한다.

EDMS를 이용한 김포 국제공항 이전에 따른 주변지역 NOx 오염도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Ox Concentration Change of Kimpo Area by Transfer of the Kimpo International Airport Using EDMS)

  • 장영기;조종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3-454
    • /
    • 2003
  •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수송분야 중 항공기, 선박, 건설기계 농기계 등과 같은 비토로 이동오염원에 의한 대기오염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진한 실정이다. 2001년 김포공항을 이용하던 국제선 항공기는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에 따라 이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항공기 이착륙에 의한 대기오염 배출이 상당 부분 김포지역에서 인천 영종도지역으로 이전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FAA에서 공항의 대기오염배출량 산출 및 주변지역의 농도예측에 선정모델로 추천하고 있는 EDMS (Emission and Dispersion Modeling System)을 사용하여 국제선 이전에 따른 김포공항 주변지역의 NOx 오염도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실측치와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중략)

  • PDF

국내 운용환경을 고려한 항공기 출발관리시스템 설계 방안 (System Design Plan for Departure Manager Considering Operation Environment in Korea)

  • 김현경;전대근;은연주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7-120
    • /
    • 2015
  • 공항에서의 항공기 운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항공기 출발관리시스템이 국내에 적용되기 위해 고려할 사항에 대해 기술하였다. Eurocontrol에서 정의한 출발관리시스템의 기본 요구사항과 해외 개발 사례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항공기 출발관리를 위해 필요한 환경 요건을 분석하였으며, 출발관리와 관련한 국내 공항의 운용 방법과 연동 가능한 시스템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항공 교통량 증가율이 가장 높은 국내 대표 공항인 인천공항과 제주공항을 대상으로 한 항공기 출발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고려할 사항에 대해 분석하고, A-CDM 등 다양한 외부 조건에 대해 독립적인 시스템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공항보안감독관의 개인태도가 검색장비 운영요인에 미치는 영향 (Airport security supervisor's individual attitude effets on the screening equipment factors)

  • 정주섭
    • 시큐리티연구
    • /
    • 제29호
    • /
    • pp.279-300
    • /
    • 2011
  • 세계 각국이 항공테러에 대한 심각성과 우려를 공동으로 인식하고 차단에 적극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세계적으로 항공테러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공항보안의 핵심은 승객과 휴대 및 위탁수하물, 화물이 검색장비를 통과하는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결과에 따라 승패가 달려 있다. 공항에서 인적 및 물적 검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대화된 검색장비와 전문화된 보안요원의 확보, 그리고 이를 감독하는 공항보안감독관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항보안감독관의 개인태도가 검색장비 운영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하기위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항보안감독관의 직무관이 검색장비 운영요인의 전문성, 만족도, 신뢰성 및 교육훈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가관은 검색장비 운영요소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환경은 교육훈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는 부의 인과관계가 있어 근무환경이 좋으면 이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높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공항보안감독관이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항보안감독관은 공항을 각종 테러 등 위해로부터 방호하기 위해서는 항공보안 각종 규정과 절차서 및 운영기준 등을 준수하고, 국가와 국민의 생명을 지킨다는 긍지와 자부심과 함께 인식전환이 필요하며, 올바른 처우개선을 위한 종합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치모의를 통한 인천국제공항 건설 후 안개발생과 관련한 국지기상변화 고찰

  • 이화운;임헌호;김동혁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지 제13권(제2호)
    • /
    • pp.185-187
    • /
    • 2004
  • 인천국제공항 건설후 안개 발생과 관련한 국지 기상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온도의 시계열 변화를 살펴 보았을 때 건설 전과 대비해 건설 후에 약 $2^{\circ}C$ 정도의 온도 상승효과가 나타났으며 지표면이 Urban일 경우 주간에 가장 온도가 높고 야간에 온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

공항 콘크리트 포장 설계를 위한 환경하중 산정방법 개발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Load Calculation Method for Airport Concrete Pavement Design)

  • 박주영;홍동성;김연태;정진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729-737
    • /
    • 2013
  • 콘크리트 포장의 환경하중은 온도하중과 수분하중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 슬래브 내의 온도분포와 건조수축 및 크리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항 콘크리트 포장의 역학적 설계에 필요한 환경하중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먼저, 대상 지역과 설계 슬래브 두께를 결정한 후, 포장 온도 예측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예측된 슬래브 깊이에 따른 콘크리트 온도분포를 등가선형 온도차이로 환산하였다. 기존 건조수축 예측 모형을 개선하여 지역별 상대습도를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을 예측한 후 부등건조수축 등가선형 온도차이로 환산하였다. 또한, 응력이완을 건조수축에 반영하였다. 결국, 온도에 의한 등가선형 온도차이와 수분에 의한 부등건조수축 등가선형 온도차이를 합하여 최종 환경하중인 총 등가선형 온도차이를 산정하였다. 적용 예를 보이기 위해 지역별 기상조건을 대표할만한 국내 민간공항 8곳 및 군공항 2곳의 환경하중을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으로 계산하고 비교하였다.

동아시아 주요 공항의 항공화물 경쟁구도 분석에 관한 연구 (Competitive Composition of Main Airports in North Asia - Focused on Air Cargo -)

  • 정태원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93-105
    • /
    • 2015
  • 본 연구는 최근까지 이루어진 공항의 집중도 및 항공 유동성 자료를 바탕으로 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항공 및 공항의 환경변화에 따라 변화되고 있는 아시아 주요공항의 화물 물동량 구조를 파악하였다. 또한, 아시아 지역에서의 화물 전이 현상을 분석하여, 경쟁공항들의 경쟁수준을 파악하여 향후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현재 동북아 권역의 과점화는 꾸준히 약화되고 있으나 이는 중국공항의 성장에 따른 결과이며 이 지역에서의 푸동공항은 지속적인 물동량 확대는 새로운 과점화 증대 현상도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2000년부터 2012년까지 항공화물 변이 효과분석 결과에 의하면 인천공항의 항공화물은 약 42만 톤이, 나리타공항은 약 128만 톤이 동북아 권역의 다른 공항으로 전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일부가 직접경쟁이 가능한 푸동공항으로 전이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향후 전이가 지속적으로 창출되는 원인과 이유에 대한 추후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민간공항주변 항공기소음 관리를 위한공간계획적 접근 (Spatial Planning Approach to Noise Mitigation for Areas Adjacent to Civil Airports)

  • 권태정
    • 환경정책연구
    • /
    • 제9권2호
    • /
    • pp.83-109
    • /
    • 2010
  • 본 논문은 주민 불편과 민원, 소음관련 소송, 이에 따른 정부의 막대한 재정적 부담 등 도시화 및 국민소득의 향상에 따라 악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민간공항주변 소음지역 내 제반 문제에 대한 항구적 대응책으로서 공간계획적 접근 방안을 제안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정부는 민간공항주변 소음지역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하여 행위제한을 근간으로 하는 소음지역 관리방안과 피해주민에 대한 개별적 보상 위주의 소음대책사업을 전개해왔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소음대책 방안은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개발압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소음지역 내 공항 및 소음친화적 적정기능 및 시설을 입지시키는 데 그 한계를 보여 소음대책지역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또한 임시방편적 성격의 소음대책사업에 대한 주민만족도 저조로 소음과 관련된 민원 및 소송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미국과 영국의 공항주변 소음지역 관리사례를 바탕으로 소음대책사업의 다양화와 섹터개념을 도입한 공간계획적 관리체계의 도입, 이를 위한 공공기관의 긴밀한 협력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국내 민간공항주변 소음지역관리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 PDF

대우건설-서울시 지하철 9호선 901공구 현장을 찾아서

  • 한국건설안전기술협회
    • 건설안전기술
    • /
    • 통권35호
    • /
    • pp.30-33
    • /
    • 2006
  • 지하철 노선망 체계의 완성으로 서울시 도시교통난 완화를 위한 제3기 지하철9호선(김포공항~방이동) 901공구 현장(대우건설 이섬범 현장소장)을 찾았다. 서울시 지하철9호선 901공구는 서울시 강서구 개화동에서 김포공항 계류장 지하를 관통하는 3,285.5m 구간으로 901 현장은 농경지에 건설되는 차량기지 398,851㎡(약120,000평)와 김포공항 계류장 지하를 관통하는 구간이 있기에 어느 공구보다 안전 및 환경관리를 절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삼아야 하는 구간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