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학설계과정

Search Result 1,69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nalysis of Design Pattern of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설계방식 분석 - P대학 공학설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 Lee, Eun-Hwa;Bae, Won-Byong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0 no.3
    • /
    • pp.5-20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esign pattern on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P University based on the curriculum design model. For this study, the relation model between organizational factors by Drake & Burns(2004) and university curriculum design pattern Toohey(1999) were used as a frame of the analysis. From the analysis, we confirmed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in the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was designed to acquire the knowledges of facts, topics, and concepts and then to improve low-level skills, broad-range skills, and high-level skills related to engineering design sequently. Secondly, the design pattern of the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analyzed in this paper is project and problem based structure. This result will be useful for reviewing and improving the relation between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An Approach to Implementation of Creative Design-Oriented Curriculum and Engineering Design Complex (창의설계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및 종합설계실 구축 방안 (전자공학전공을 중심으로))

  • Lee, Jae Mi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6 no.1
    • /
    • pp.53-61
    • /
    • 2015
  • Recently a demand for student-centered creative design education is rapidly growing, but well organized design curriculum and design practice complex are not established properly in most universities. In this paper, we present a scheme for design-centered engineering curriculum and a method to build a design practice complex for creative design education which it is currently attracting a lot of interest in engineering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ventional curriculum of electronic engineering, a new curriculum and a design practice complex that is suitable for enhancement of professional practice capability and by which an effective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introductory design, element design and advanced design steps can be performed is describ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Engineering Design Process for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생을 위한 공학 설계 기반 과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Hwa-Jung Han;Kew-Cheol Sh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3 no.3
    • /
    • pp.321-331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ngineering design-based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engineering design abilities. "Creating healthy shoes for maintaining proper posture program" was developed as an activity to come up with creative solutions using the methodology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to solve problems in daily life. The creating healthy shoes for maintaining proper posture program consisted of the following five stages: "defining the problem," "ingathe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blem," "generating the solution," "implementing the best solution," and "evaluating the solution & reflecting."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engineering design-based science education program, it improved the high school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engineering design abilities. Therefore,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high school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engineering design abilitie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continuous operation and expansion of activities incorporating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in science education are necessary as a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cultivating future science talents.

Design for ESFAS ARC (공학적 안전설비 작동 계통 보조계전기 캐비넷 설계)

  • Han, Sang-In;Jang, Woo-Hyun;Shin, Hyun-K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1.07a
    • /
    • pp.734-737
    • /
    • 1991
  • 본 고는 공학적 안전설비 작동계통 보조계전기 캐비넷의 설계과정을 위하여 작성되었다. 공학적 안전설비 작동계통 설계는 순차적인 과정을 밟아서 진행이 되므로, 설계담당자(Cognizant Engineer)는 그 작업순서를 이해하여야 하며, 각 과정마다 필요한 자료들과 생산해야될 결과물들을 정확히 파악하여야만 설계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설계과정은 많은 연계 업무가 있으므로, 서로 주고받아야 할 자료들의 종류 및 그 시기를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하여, 본 내용에서는 공학적 안전설비 작동계통 보조전기 캐비넷의 특성에 따라 연계요건서, 설계시방서 및 개념적인 도면을 중심적으로 기술하였으며, 기기설계(Component Design)와 제작설계(Manufacturing Engineering) 및 현장지원(Field Supports)은 아직까지도 미비한 점이 많으나, 담당자(Cognizant Engineer)가 아는 바대로 작성하였다.

  • PDF

다양한 구조설계 과정의 표현을 위한 모델의 필요성

  • 이창호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2
    • /
    • pp.40-48
    • /
    • 1998
  • 본 기사에서는 간단한 구조물에 대한 구조설계과정의 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구조설계 과정은 MSD model의 개념을 이용하여 표시하였다. 그러나 MSD model은 구체적인 설계과정의 표기법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실제의 구조설계 과정은 본 기사에서 나타난 것보다는 더욱 복잡하고, 이를 위하여 질서정연하게 구조설계과정을 표시할 수 있는 표기법을 가진 model이 필요하게 된다. 지금까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설계과정의 다양성을 표현하기 위한 model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본 기사에서 설명된 MSD model과 관련된 것으로는 Context-Free Grammar를 이용한 설계과정 표기법이 있다. 이 표기법은 개체형 통합설계모델의 일부로서 개발되었다.

  • PDF

A Design Education Model in Undergraduate Engineering Program (학사과정 공학프로그램의 설계교육모델)

  • Hahn Song-Yop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 no.1
    • /
    • pp.27-32
    • /
    • 1998
  • Engineering methodology which is defined broadly as the various nontechnical knowledge such as design process and the personal skills such as creativity that an engineer must have to be a successful practitioner, is not sufficiently implemented in the present undergraduate engineering programs. A systematic design education model is proposed in this paper to teach the principles and art of engineering. First level design education is to introduce engineering process and cultivate student's creativity. Second one is to apply the knowledge of sciences, mathematics and engineering sciences to the solution of basic engineering problems. Third one is to solve a real-life problem.

  • PDF

A Study on Perceptions of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Engineering Design Process (중학교 과학 영재들의 공학 설계 과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Song, Shin-Cheol;Han, Hwa-Jung;Shim, Kew-Ch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7 no.5
    • /
    • pp.835-84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ir engineering design process according to gender and talent division. The instrument in surveying their perceptions about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consists of 24 items (Likert 5 point type) five domains: problem definition, information collection and utilization, idea generation, inquiry performance, and teamwork (communication, cooperation, leadership). A total of 102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ccording to gender (69 males and 33 females) and talent divisions (physics, biological sciences, software, mathematics, space-geological sciences, and chemistry). They had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ir engineering design abilit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stomized gifted-education program so that their talent in their field of interest can be ful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alent division. In addi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of the engineering design program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established to fully reflect the practical needs of the talented.

Design of Engineering Education Using Robot Applications (로봇을 응용한 청소년 공학 설계)

  • Won, Sub;Lee, Dong-Hyuck;Lee, Ju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436-43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로봇을 제작하고 응용함으로써 창의력을 키우고 실험과 제작을 통하여 협동심을 기르도록 하는 공학 과정을 설계하였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무선 전송 장치 등의 차세대 유비쿼터스 개념을 통하여 이해하고 응용 및 활용하는 과정과, 반도체에 응용 제품인 컴퓨터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실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청소년들에게 로봇을 통한 대화 공간 마련과 로봇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 및 로봇분야의 인재 발굴에 기여하고 로봇에 대한 공감대 확산 및 과학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 하였다.

  • PDF

Font Design System for Hangul (한글꼴을 근간으로 한 서체설계지원시스뎀)

  • Choi, Hae-Ock;Park, Do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173-184
    • /
    • 1993
  • 폰트관련기술은 폰트의 개발에 사용되는 폰트개발기술과 개발된 폰트의 효율적인 이용에 관한 폰트처리기술로 구분된다. 본 논문에서는 폰트개발기술의 대표적인 예인 서체설계지원시스템 특히 한글폰트의 개발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에 대하여 논한다. 지금까지의 폰트개발은 서체전문가의 원도제작과정과 제작된 원도를 폰트화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나 본 시스템은 서체전문가가 직접 컴퓨터의 지원을 받아 원도를 제작하며 원도제작과정의 결과로 폰트가 만들어지도록 폰트개발과정을 일원화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체설계과정을 정의하고, 정의된 서체설계과정을 컴퓨터상에서 구현하기 위한 기법을 개발하였다. 본고에서는 참조설계로 표현되는 서체설계지원시스템의 개발을 위하여 고안된 기법중 글자의 중심선과 굵기로 윤곽선을 자동생성하는 기법과 글자의 특징을 이루는 돌기를 라이브러리화하여 운영하는 기법에 대하여 논하기로 한다. 시스템 개발은 PC상에서 VGA그래픽카드와 mouse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Cognitive Systems Engineering as a New Approach to Designing Software-Based Systems (소프트웨어 기반 시스템을 설계하는 새로운 접근법으로서의 인지시스템공학)

  • Ham, Dong-Han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14 no.3
    • /
    • pp.229-236
    • /
    • 2012
  • 소프트웨어 기반의 시스템 설계과정에서 설계자가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이 다양해지면서 시스템 설계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다양한 설계 요소들이 존재하지만 사용자의 특성 및 직무, 사용가능한 정보기술의 특성 등이 핵심적인 요소로 간주된다. 또한 정보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간과 시스템의 상호작용이 점점 인지적인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성 높고, 효율적이면서 안전한 소프트웨어 기반의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설계자가 사용자의 인지적인 요구사항 및 그들의 직무를 시스템 설계과정에서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공학, 시스템 공학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등에서의 전통적인 시스템 설계 방법은 이러한 설계자의 설계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 대안으로 인지시스템공학(cognitive systems engineering; CSE)은 인간중심의 설계철학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기반의 복잡한 시스템 설계과정에서 설계자의 활동을 체계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유용한 개념과 방법을 제공해주고 있다. CSE는 원래 사람이 실시간으로 감시 및 제어해야 하는 복잡한 사회기술적 시스템(예: 원자력발전소 및 공항관제소)의 분석, 설계 및 평가를 위해 태동한 학문이다. 그러나 CSE에서 제공하는 이론적 및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 논문은 CSE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개념 및 원칙을 고찰하고 소프트웨어 기반 시스템 설계에의 활용가능성 및 그 방안을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