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적 자기의식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페이스북 포스트의 여행지 사진유형과 사용자의 공적자기의식(public self-consciousness)에 따른 광고효과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picture types of the sights and Facebook user's public self-consciousness)

  • 박은아;우연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33-139
    • /
    • 2019
  • 본 연구는 Facebook에 게시된 여행지 사진 중 어떤 유형의 사진이 더 여행지에 호감을 느끼도록 만들고 떠나고 싶은 의향을 불러일으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때 사용자의 개인차 특성인 공적 자기의식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어 여행지 사진유형(여행자 존재 여부)과 공적 자기의식 정도(고/저)에 따라 여행지 태도와 여행지 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여행자의 모습이 여행지 풍경 속에 존재하는 경우, 여행지에 대한 호감이 인물이 없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여행자 모습이 존재하는 경우에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여행지에 대한 호감도, 방문의도 및 추천의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적 자기의식이 낮은 집단에서는 이와 같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 게시되는 여행지 사진에서 인물 존재 여부와 사용자의 공적 자기의식 수준이 여행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증했다는 데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여행지 홍보에 있어서 사진제시 방식과 사용자의 심리적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가치를 지닌다.

미디어 노출이 다이어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에 관한 연구 : 자기대상화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underlying the Influence of Media Exposure on Diet Intention : Focusing on Self-Objectification Theory)

  • 김예솔란;이미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359-370
    • /
    • 2020
  • 본 연구는 미디어 노출이 다이어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히기 위해 문화배양이론과 자기대상화이론에 기초하여 공적자기의식, 신체감시성, 신체수치심, 신체불만족의 역할을 상정하고 그 경로를 검증하였다. 20대 여성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그 영향관계와 경로를 검증한 결과, 미디어 노출로 인해 야기된 공적자기의식이 신체감시성이나 신체수치심을 거쳐 신체불만족에 영향을 주고 이는 다이어트 의도로 이어지는 모형이 지지되었다. 또한 공적자기의식은 신체감시성을 매개로 신체수치심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감시성은 신체불만족을 매개로 다이어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신체수치심은 다이어트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패션 소비자들의 브랜드 민감성과 공적 자기의식에 관한 연구 (Brand Sensitivity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mong Fashion Consumers)

  • 이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4호
    • /
    • pp.102-110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sensitivity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the effects of gender and age on brand sensitivity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The subject used for this study were three hundred and thirty-five college students (118 male students and 217 female student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multiple regression, and t-test were used. As the results, first,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on brand sensitivity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Fe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brand sensitivity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than male students as expected. Second,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younger college students and older college students on brand sensitivity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Older college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brand sensitivity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than younger college students. Finally, public self-consciousness influenced on brand sensitivity the most significantly, followed by age variable. Based on these results, brand management marketing strategy of fashion products would be provided.

성별에 따른 공적 자기의식, 신체이미지, 사회문화적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Public Self-Consciousness, Body Image, & Socio-Cultural Influence on Gender Differences)

  • 이승희;이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5호
    • /
    • pp.45-5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public self-consciousness, body image, and socio-cultural influ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Six hundred twenty-six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reliability test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males, females had higher scores on appearance orientation(AO), appearance evaluation(AE), and weight occupation(WP). Also females were more dissatisfied with their bodies such as lower body part or middle body part than males. That is, women had lower body image than men. Second,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self-esteem between males and females. Third, females had higher scores on public-consciousness than males did. Fourth, compared to males, females were more influenced by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internalization and awareness. Finally, women had more higher scores on appearance behavior management than me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would provide more efficient strategies to reduce negative body image, especially in women.

모방구매가 제품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Mimetic Purchase on the Product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Self Esteem-)

  • 김동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73-37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간 모방구매가 제품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소비자 특성변수로 소비자의 자존감과 공적자기의식의 역할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모방구매의 영향력을 제품만족도와의 관계를 통해 살펴본 것은 제품만족이 또 다른 모방구매뿐만 아니라 강력한 구전의 원천정보가 된다는 점에서 기업의 구전전략 수립에 중요한 의미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연구가설은 모방구매 정도가 제품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영향(가설 1), 가설 1의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자존감과 공적자기의식의 조절적 역할 가설(가설 2, 가설 3) 등 3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는 모방구매가 가장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스마트폰 사용자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 1에서 예상한 모방구매 정도와 제품만족도간의 관계는 가설의 내용과 방향대로 모방구매 정도가 높을수록 해당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영향관계는 소비자의 자존감이 높을수록 부정적으로 나타났는데(가설 2), 이는 높은 자존감을 가진 사람의 경우 모방구매로 인해 훼손된 자존감이 해당 제품에 대한 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반면 공적자기의식의 조절효과(가설 3)는 당초 예상했던 것과 달리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성악심리치료활동을 통한 자기의식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the vocal psychotherapy upon Self-Consciousness)

  • 이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2호
    • /
    • pp.66-8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악심리치료활동이 자기의식 수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기의식 수준의 차이에 따라 자기보고서에 보고하는 내용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E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3명을 대상으로 총 10회로 약 60분간 진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이들은 음악치료 프로그램 지원자 모집에 자발적으로 지원한 자들이며, 연구에 사용된 성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은 4단계로 구성되었다. 성악심리치료활동을 통한 대상자의 자기의식 수준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에 자기의식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매 회기 성악심리치료활동을 마친 후 자기보고서를 작성하여 보고 내용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성악심리치료활동이 자기의식검사 점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에 자기의식검사를 실시한 결과, 자기의식검사 전체 점수와 하위개념 점수가 개인별로 다른 변화를 보였다. 자기의식검사의 전체 점수와 하위개념 점수의 사전사후 점수에는 나타나지 않은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문항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총 28문항 중에서 대상자 A는 13개, 대상자 B는 16개, 대상자 C는 19개의 문항이 1-2점씩 변화하였다. 이는 점수의 변화율에는 나타나지 않은 결과로 위의 내용들을 종합하면, 성악심리치료활동이 자기의식검사의 하위개념 점수의 증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유추할 수 있다. 둘째로는 매 회기를 마친 후 자기보고서에 보고된 내용의 분석을 통해 성악심리치료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자기의식 수준의 차이에 따라 자기보고서에 보고하는 내용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자기의식의 개인차에 따라 자신을 목소리로 표현하는 것에 대한 인식, 자신의 목소리에 대한 인식, 타인이 의식되는 정도와 내용이 회기와 개인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분석된 자기보고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적자기의식 점수와 공적자기의식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대상자 A는 자신의 내적 사고와 감정에 대한 측면을 많이 의식하고, 사회적 객체로서의 자신에게 주의를 집중하는 경향이 자기보고서에 많이 나타났다. 또한 감정적 풍부함, 예술적 호기심과 같은 긍정적 정서 경험과 함께 특성, 상태 불안, 신경증적 경향성 등의 부정적 정서도 많이 나타났다. 반면, 대상자 A와 함께 사적자기의식 점수와 공적자기의식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B의 경우 사회적 객체로서의 자신에게 주의를 집중하는 경향은 A와 비슷하나, 다른 사람 앞에서 불안해하고 당황하는 사회불안 관련 경향이 많이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다른 참여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자기의식점수를 보이는 대상자 C는 대상자 A와 B에 비해 자신의 타인을 의식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적게 보고되었으며, 특성, 상태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도 적게 보고되었다. 이 연구는 자기의식으로 인해 활성화되는 자기평가과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위한 연구라는 점과 자기(Self)와 밀접하게 연관된 목소리를 주로 사용한다는 점, 그리고 기술적 어려움의 해소를 위해 성악기술훈련을 실시하였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 또한 성악심리치료활동을 통해 정신건강과 성격발달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PDF

공적자기의식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이미지관리행동에 미치는 인과관계 (Diretional Relationship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n Image Management Behaviors)

  • 전정혜;유태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11호
    • /
    • pp.1333-1345
    • /
    • 2011
  • This study establishes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s causal variables to identify their direct or indirect effects. This study is an aggregate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that reveals the relations of how these factors turn to be the image management behaviors. A survey was conducted on 962 women from the ages of 20 to 59 who live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programs such as AMOS 16.0 and SPSS 18.0 for Window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self-consciousness had a direct effect on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o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whereas it affected image management behaviors directly or indirectly. This means that as women become aware of others' attention, they recognize the social importance of appearance, internalize ideal social standards, and observe and evaluate their own bodies from a third person's viewpoint regarding the standards for a body required by society; in addition, these procedures lead them to manage their image behaviors. Second,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had a direct influence o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however, they had an indirect effect on image management behaviors. This demonstrates that body consciousness plays a role as a mediator between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the image management behaviors. Third, it appeared that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directly affected image management behaviors.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was identified as a causal variable that exerts immediate influence on image management behaviors where the mor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women objectified themselves as the body standards that created further image management behaviors.

공적 자기의식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이상적 외모태도와 신체수치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문화연구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Influenc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ocultural Pressure over Ideal Appearance Attitude and Body Shame)

  • 홍금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731-1741
    • /
    • 2010
  • Personal appearance attitude about the ideal beauty is influenced by the context of the culture one belongs to. In a cultural sphere the higher public self-consciousness individuals have then the more sensitive one would be to the sociocultural pressure about thinness and thus the higher the expectations about the ideal appearance. Accordingly, in that culture one would have more body shame when they do not reach the ideal beauty standard.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German culture, with a focus on the age group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especially sensitive to aesthetic consciousn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ce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perceived sociocultural pressure, appearance internalization, appearance awareness and body shame between the two cultural spheres; in addition,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he variables when compared to Germ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higher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perceived sociocultural pressure then the higher the internalization of the ideal appearance; the ideal appearance awareness increased the body shame. In the case of the German female university student group, public self-consciousness influenced body shame directly; however, in case of the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 group public self-consciousness were not directly affective. Rather, perceived sociocultural pressures directly affected body shame and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ltural spheres. Finally, in regards to the direct effect about body shame, the German female university student group noted the influenc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as the most significant; however, the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 group noted the influence of sociocultural pressure as the most significant.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긍정적인 자아노출과 자아속성 (Facebook Users' Positive Self-Presentation toward Personal Characteristics)

  • 김유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1-31
    • /
    • 2017
  • 본 연구는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자아노출을 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페이스북에서의 긍정적인 자아노출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자아효능감, 나르시시즘, 공적/사적 자아 요인들이 긍정적인 자아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3년 이상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는 197명의 이용자들이었다. 분석결과 자기과시, 환심사기, 유능함보이기, 모범보이기, 후광노출, 권리주장, 정당화하기를 통해 조사된 긍정적 자아노출에 대해 통계상으로 높은 수치가 제시되지 않아 페이스북에서 이용자들이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자아노출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용자의 자아효능감과 나르시시즘적인 성향은 통계상으로 긍정적인 자아노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이용자들의 공적 자아의식은 긍정적인 자아노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사적 자아의식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 소비자들의 가십(Gossip) 행동성향에 관한 연구 (Fashion Consumers' Gossip Behavior Tendency)

  • 이승희;소지인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4호
    • /
    • pp.135-14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sumers' gossip behavior tendency with regard to collectivism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Three hundred fifty-five college students (male: 123, female; 227) in the 20s age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Cronbach's Alpha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As the result, first, those who had a higher score on collectivism had higher gossip behavior tendency than those who had a lower score. Second, those who had a higher public self-consciousness had higher gossip behavior tendency than those who did not. Third, female students showed more gossip behavior tendency than male students did. Finally, all three variables (collectivism,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gender)) did affect on gossip behavior tendency among college students. Out three variables, collectivism affected on gossip behavior tendency the most. These results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fashion marketers to understand fashion consumers better. Based on these results, fashion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WOM (word-of-mouth) marketing strategy would be provided to fashion retailers or marke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