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배양

Search Result 1,98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o-culture with Buffalo Rat Liver(BRL) Cell for IVM-IVF Bovine Embryos (소 체외수정란의 공배양을 위한 BRL 세포의 이용)

  • 서태광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18 no.4
    • /
    • pp.257-263
    • /
    • 1995
  • 소 체외수정란의 체외배양 체계는 현재 완전히 확립되지는 않은 상태로서 8∼16 세포기 발육억제현상, 수정란의 파편하 현상, 성장지연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현 배양체계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hepler cell들과의 공배양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들은 상당히 극복되며 또한 체외발생의 촉진 및 공배양된 수정란의 이식에 의해 임신율도 향상된다. 현재 소 체외수정란의 공배양에는 난관상피세포가 가장 널리 이용되나 이러한 시스템은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즉, primary culture를 확보하기 위하여 신선한 조직을 주기적으로 채취해야 하며 따라서 난관채취에 시간이 소요되고, 불편하며 또한 공배양에 이용되는 세포들이 균일하지 않은바 난관상피세포에 따라 배 발생 촉진작용에 변이를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나 확립된 cell line을 이용할 수 있다면 이러한 난관상피세포의 이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있다. Buffalo Rat Liver cell은 이러한 목적에 이용될 수 있는 cell line 중의 하나로서 이들은 여러 가지 성장인자(growth factor)를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소 체외수정란의 공배양을 위한 BRL(Buffalo Rat Liver)cell의 이용성, 이용방법 및 이용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요인들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nti-cancer Activity of Supernatant of Rahnella aquatilis AY 2000 Cocultured with Streptomyces griseus (Rahnella aquatilis AY 2000과 Streptomyces griseus의 공배양 상등액의 항암활성)

  • Kim, Ji-Hyun;Kim, Kwang-Hyeon;Lee, Jong-Hwa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9 no.5
    • /
    • pp.676-679
    • /
    • 2009
  • In order to produce a new antibiotic material against Jurkat T cells using horizontal gene transfer among microbes, co-cultures between soil bacteria AY2000 and the multiple antibiotic producer S. griseus was carried out. It showed that the highest active substance against Jurkat T cells was produced at 48 hr of co-culture time with MTT assay. Moreover, a morphological change of nuclear of Jurkat T cells treated with co-cultured substance was observed in DAPI staining. This result suggests that a new material was produced with co-culture supernatant, and that co-culture between microboes can develop new antibiotic materials.

Effects of 3-dimensional Co-culture of Human Endometrial Cells Decidualized with Progesterone and TGF-${\beta}1$ on the Development of Mouse 2-cell Embryos In Vitro (Progesterone과 TGF-${\beta}1$에 의해 탈락막화가 유도된 인간 자궁내막세포의 삼차원 공배양이 2-세포기 생쥐배아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 Kwon, Wook-Hyun;Kim, Hwi-Gon;Lee, Dong-Hyung;Ko, Kyung-Rae;Lee, Kyu-Sup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5 no.1
    • /
    • pp.49-60
    • /
    • 2008
  •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3-dimensional co-culture of human endometrial cells decidualized with progesterone and TGF-${\beta}1$ on the development of 2-cell mouse embryos. Methods: Stromal and epithelial cells isolated from human endometrial tissue were immunostained for cytokeratin and vimentin. Expression of TGF-${\beta}1$, its receptor-1, -2, integrin-${\beta}3$ and prolactin in mono or co-culture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hormone conditions was investigated by RT-PCR. Differential staining was used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ICM and trophectoderm of hatched mouse blastocysts in different three conditions. Results: The immunohistochemical study was positive for cytokeratin or vimentin and confirmed that epithelial and stromal cells were isolated from endometrial tissue successfully. In co-culture, TGF-${\beta}1$, its receptor-1, integrin-${\beta}3$ and prolactin except TGF-${\beta}1$-r2 were expressed in progesterone dominant condition. The hatching and attaching rate were higher in the co-culture with decidualized cells (p<0.05). However, we observed that lots of the incomplete hatched blactocysts attached on non-decidualized cells. The ICM number of hatched mouse blastocysts was higher in co-culture with decidualized and non decidualized cells than media only culture (p<0.05). The trophectoderm number of hatched blastocyst was higher in the co-culture with decidualized cells than non-decidualized cells or media only culture (p<0.05). Conclusion: The administration of progesterone, estrogen and TGF-$\beta$ could induce decidualization of stromal and epithelial cells isolated from human endometrial tissue using 3-dimensional co-culture, and the decidualization of human endometrial cells could increase the hatching and attaching rate of 2-cell mouse embryos.

The Effects of Vero Cells Coculturing on the Motility of Human Testicular Spermatozoa in an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Program (정자직접주입술에 있어 Vero Cells 공배양이 인간 정소정자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Hyun-Kyoo;Oum, Ki-Boong;Kim, Hyun-Joo;Ko, Jung-Jae;Lee, Sook-Hwan;Yoon, Tae-Ki;Cha, Kwang-Yul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24 no.2
    • /
    • pp.225-232
    • /
    • 1997
  • 폐색성 혹은 비폐색성 무정자증에서 부정소 정자채취법 등이 부적절하다고 여겨질때는 정소 조직을 일부 절제하여 그 조직으로부터 정자를 직접 채취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렇게 정소로부터 추출한 정소정자는 운동성이 전혀 없거나 매우 약한 운동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정소정자를 Vero cell과 공배양을 시킴으로써 운동성을 획득시키거나 향상시키고 이를 수정시키는 시기까지 지속시킴으로써 정소정자추출술 (TESE)을 시행하는 환자나 의료진들에게 보다 편안하고 융통성있는 시간대를 부여하고, 아울러 정자직접주입술 (ICSI)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성공적인 수정률과 임신율을 얻음에 있다. 또한 ICSI를 시행한 후, 운동성이 향상된 잉여의 정소정자를 냉동보존함으로써 차후에 TESE을 다시 시행치않고도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도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잇점도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상환자군은 정관폐색증(n=11) 혹은 비정관폐색증(n=2)을 보이는 13명의 무정자증의 남성불임환자였으며 난자회수예정일 3일전에 TESE를 시행하여 정소정자를 얻은 후 이를 정자직접주입술이 시행되는 당일까지 Vero cell과 공배양을 실시하였다. Vero cell과의 공배양에 의하여 운동성이 있는 정소정자의 수는 공배양전과 비교하여 평균 3.3배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공배양전에 운동성이 있는 정소정자의 수가 50,000/ml이하의 미약한 운동성만을 보였던 경우 (n=5)에는 공배양 후에 운동성이 있는 정소정자 수의 평균증가율이 7.7배였다. 공배양전 정자운동성이 전혀 없었던 2례의 비정관폐색증환자중 3일간의 공배양을 통하여 1례에서 운동성을 획득한 정소정자를 얻을 수 있었으며 (14,300/ml), 정자직접주입술을 통하여 성공적인 수정 및 임신에 도달할 수 있었다. Vero cell과 공배양을 하고 ICSI했던 결과, 평균 수정률은 75.0% 이었으며 임신율은 61.5%였다.

  • PDF

Coculture of Bovine Chondrocytes with Demineralized Bone Matrix in Alginate Bead and Pellet Cultures (알긴산 배양과 펠렛 배양에서 소연골세포와 탈회골기질의 공배양)

  • Sutradhar, Bibek Chandra;Hong, Gyeong-Mi;Park, Jin-Uk;Choi, Seok-Hwa;Kim, Gon-Hyung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7 no.2
    • /
    • pp.147-153
    • /
    • 2010
  • Bio-integration of cartilage grafts with subchondral bone is a significant clinical challenge. To date, the use of demineralized bone matrix (DBM) has been one of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for bone cell proliferation in vivo. Here, we investigated whether coculture of chondrocytes and DBM could serve as a single-platform system containing all the essential elements for purposive bone and cartilage indu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phenotype and proliferation of bovine chondrocytes cocultured with DBM in two different culture systems, pellet and alginate bead culture. In alginate bead culture, we observed an increase in chondrocyte number and formation of cell clusters. Typical chondrocytic phenotype was maintained for entire eight weeks.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chondrocytes maintained a typical round, plump morphology and there was a gradual increase in lacunae. Both coculture systems yielded an expanded cell population as compared to the controls (chondrocytes alone). The production of glycosaminoglycans was also increased in the coculture systems as compared to controls.

칡소 귀세포를 이용한 핵이식란의 배양방법이 배반포 발달율과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 윤종택;이호준;최은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65-65
    • /
    • 2001
  • 본 연구는 칡소 귀세포를 공여핵으로 이용한 체세포 복제송아지 생산에 있어서 배양방법이 배발생 및 배반포 발달율에 미치는 영향과 체세포 복제란의 이식후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조사하여 복제송아지의 생산 효율을 제고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에 공시된 공여핵은 칡소 의 귀세포를 회수하여 10%FBS가 첨가된 DMEM배지에서 3-4일 동안 배양하여 monolayar Confluent 형성 후 0.25% trypsin을 처리하여 준비하였으며 공여세포는 적어도 passage가 5회 이상의 세포만을 사용하였다. 복제수정란의 생산은 18-20시간 동안 체외성숙 된 난자의 핵을 제거하고 공여핵을 주입하여 2.2kv/cm, 10$\mu\textrm{s}$의 전압으로 2회 자극함으로 융합하였으며, 융합된 난자는 5$\mu\textrm{g}$/$m\ell$ ionomycin에서 4분간, 1.9mM 6-dimethyl aminopurine에서 4시간동안 배양하여 활성화처리를 하였다. 핵이식수정란의 배양은 39$^{\circ}C$, 5%$CO_2$ incubator에서 처리구 I은 CRlaa에서 4일간 배양 후 CR2aa배지에서 배양, 처리구II는 CRlaa에 4일간 배양후 CR2aa배지에 cumulus cell과 공배양, 처리구III은 CR2aa 배지에 camulus cell과 함께 배양하였다. 수정란이식은 발정발현 7일째에 비외과적 방법으로 젖소 미경산우에 이식하였으며 이식란수는 2~4개의 핵이식된 수정란을 이식하였다. 임신진단은 45~60일 사이에 직장검사 및 초음파 진단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배양방법에 따른 배발생율은 처리구 I에서 92.2 %(83/90)으로 처리구II와 III의 62.4%(63/101)와 77.8%(144/185)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배반포 발달율은 처리구II와III에서 65.1%(41/63)와 50.0%(72/144)로 처리구 I의 30.1%(25/83)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처리구에 따른 수정란 이식후 수태율은 처리구II와 III에서 공히 20%의 수태율을 나타낸 반면 처리구 I에서는 수태가 되지 않았다. 따라서 체세포 복제수정란의 생산에 있어서 배반포 발달율과 수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배양보다 공배양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되지만 이런 결과가 복제송아지 생산효율에 있어서도 효과적일지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Embryo Density on Development of In Vitro Produced Bovine Embryos (수정란의 밀도가 소 체외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효과)

  • 송상현;박충생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4 no.1
    • /
    • pp.69-76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of effective culture system on development of IVM/IVF/IVC bovine embryos. The cumulus-oocyte-complexes (COCs) collected from Korean cattle ovaries harvested at a local abattoir were matured in 50 ${mu}ell$ of TCM199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FBS) and hormones (35 $\mu\textrm{g}$/$m\ell$ FSH, 10 $\mu\textrm{g}$/$m\ell$ LH, 1$\mu\textrm{g}$/$m\ell$ estradiol 17 $\beta$ under paraffin oil at 39$^{\circ}C$ in a humidified atmosphere of 5% $CO_2$in air. At 24 hrs after culture, matured oocytes were fertilized in vitro for 22~24 hrs with motile semen in which obtained by centrifugation of a frozen thawed semen on Percoll-density gradients (45% vs. 90%) at 500 g for 20 min. The presumptive zygotes were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Single egg (Group 1), 25 (Group 2) or 50 eggs (Group 3) were cultured on cumulus cell in 50 ${mu}ell$ TCM199 supplement with 10% FBS for 6~9 days after fertilization. In vitro developmental rates into the blastocysts in the groups 2 and 3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group 1 (37,27 vs. 6%, respectively). Cell number of blastocysts obtained in groups 2 and 3 at day 8 were significantly (P${mu}ell$) resulted in higher developmental competence and cell number of bovine blastocysts produced in vitro than those the culture of single embryos with cumulus cells.

  • PDF

체외배양조건이 체세포 핵이식란의 배발달 및 배반포의 동결-융해 후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이호준;연승은;윤종택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2.06a
    • /
    • pp.43-43
    • /
    • 2002
  • 체세포 핵이식에 의한 산자가 양, 소, 염소, 쥐 및 최근에 돼지에서 보고되었지만, 생산된 배반포의 동결보존에 관한 연구결과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세포 핵이식란의 활용과 산업화 촉진을 위해서 체세포 핵이식 유래 배반포의 동결성 향상에 배양조건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여세포는 60일령의 태아세포를 10% FBS 가 첨가된 DMEM 에서 39℃, 5% CO₂의 incubator에서 배양하여 monolayer confluent 형성을 유도한 후 0.25%trypsin 처리하였다. (중략)

  • PDF

생물반응기에서의 인삼모상근의 대량배양

  • Park, Don-Hui;Jeong, Gwi-Taek;Im, Won-Bong;Lee, Gi-Yeong;Hwang, Baek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11a
    • /
    • pp.254-255
    • /
    • 2000
  • 형질전환된 인삼 모상근의 여러 생물반응기에서의 대량배양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2 MS 배지를 기본배지(호르몬 무첨가, 3% sucrose)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플라스크 배양에 비하여 $2{\sim}3.5$배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그 성장이 왕성함을 알 수 있었다. 배양 후반기에 모상근의 뭉치 형성으로 물질전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성장에 장해를 미치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