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과 도형

Search Result 23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Web-based Multimedia Contents Development for Training Sense of Space (공간 감각을 기르기 위한 웹기반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

  • 정상영;이경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716-719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근래에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도형영역에 새로이 도입된 '공간감각'을 기르기 위한 웹 코스웨어를 개발하여 단순히 교과서에만 제시된 구체물 조작만으로는 기르기 힘든 공간감각을 기르는데 있다. 개발된 코스웨어는 학습내용을 수준별로 구성하고 있어 바로 학습 현장에 투입하여 수준별 학습, 개별화 학습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저학년에게 구체물로서는 조작할 수 없는 것들을 다양한 애니메이션 기법을 통하여 직접 조작해 볼 수 있도록 하고, 재미있는 놀이를 학습에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학습 흥미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PDF

3D Modeling Method for Cultural Properties Web GIS Database Construction (Web GIS 도형 자료 구축을 위한 문화재 3차원 모델링 기법)

  • Jung, Sung-Hyuk;Lee, Jae-K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2 s.29
    • /
    • pp.37-4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preserving and restoring our nation's precious cultural inheritances transmitted for half millennia but informing the world of them. This study also aims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transmitting them to prosperity, constructing three-dimensional database by using a photogrammetry and VRML method and utilizing basic data of treasure exhibition with the progress of exhibition technique development on cyber space. Therefore, in this study, I suggest three dimensional modeling method that acquire three dimensional database about cultural properties through photogrammetry method which can acquir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with easy and can express various color and stuff-feeling by using VRML.

  • PDF

The Effect of the Indication of Lengths and Angles on Classifying Triangles: Centering on Correct Answer Rate and Eye Movements (분류하기에서 길이와 직각 표기의 효과: 정답률과 안구운동 분석을 중심으로)

  • Yun, Ju Mi;Lee, Kwang-ho;Lee, Jae-Hak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0 no.2
    • /
    • pp.163-175
    • /
    • 2017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length and right angle indication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figure when presenting the task of classifying the plane figures. we recorded thirty three 4th grade students' performance with eye-tracking technologies and analyzed the correct answer rate and gaze duration. The finding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rectness rate increased and Gaze duration decreased by marking length in isosceles triangle and equilateral triangle. Second, correctness rate increased and Gaze duration decreased by marking right angle in acute angle triangle and obtuse triangl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figure rather than measuring the students' ability to measure by expressing the length and angle when presenting the task of classifying the plane figures.

Research on the Teaching Building-blocks in Elementary Geometry Class using 3D Visualization SW (3D Visualization SW를 활용한 초등학교 쌓기나무 도형교육에 관한 연구)

  • Bae, Hun Joong;Kim, Jong-s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6
    • /
    • pp.71-80
    • /
    • 2017
  • The standards for achievement levels for building blocks in elementary geometry class is to enhance spatial cognitive ability through practices describing shape patterns of building blocks observed from different directions. However, most of building block in the textbook is described from only one perspective. Even worse, some examples in the textbook are almost impossible to observe in the real world. Contrary to this, simulated views by Wings3D has shown that each box may look quite differently from different angles let alone the size of each box. Using Wings3D, it is also very easy to build different types of building blocks with various levels of difficulty in the virtual space. Based on these results, in this study, 3D visualization SW is suggested as a potential pedagogical tool for the elementary geometry class to help kids perceive objects in space more precisely. We have shown that 3D visualization SW such as Wings3D could be a powerful, compact 3D SW for most of subjects which are covered in elementary geometry education. Wings3D has another advantage of economic open source SW fully compatible with school PCs.

공간감각 형성을 위한 조작활동의 지도 방안

  • Kim, Chang-Il;Kim, Sin-Jwa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83-192
    • /
    • 2002
  • 자기 주위의 상황과 그 물체에 대한 직감(intutive feeling)을 뜻하는 공간감각은 수학교육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수학과 과학에서 다른 영역을 공부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주위의 구조와 대칭성을 볼 수 있게 도우며, 모든 수학에서 창의적 사고를 지원한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학년도부터 연차적으로 실시되는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도형여역에 ‘공간감각 기르기’를 신설하여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공간감각 지도의 변천과 우리나라 제 7차 교육과정의 공간감각 영역의 학습 내용을 비교, 우리나라 7차 교육과정의 공간감각영역의 학습내용을 살피고, 현행 7차 교육과정에 의거 초등학교 2학년의 공간감각 영역의 교수 ${\cdot}$ 학습과정을 실제 적용, 이후 아동의 학습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아동의 공간감각 형성을 위한 여러 가지 지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이러한 수업으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공간감각 영역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몇 가지 기술하였다.

  • PDF

Research on a New Vision Test Chart Measuring Visual and Spatial Sense of Moire Fringes (무아레 무늬의 시각적 공간감각을 측정하는 시표로서의 가능성 조사)

  • Woo, Hyun Kyung;Lee, Seongjae;Jeong, Youn Hong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5 no.3
    • /
    • pp.241-245
    • /
    • 2010
  • Purpose: In this work we suggested a grating chart of vision test which could be used to measure the sense of distance and motion of object. Methods: A couple of gratings with periodic structure were fabricated. Through a lens the grating images showing geometrical shapes were projected on a vision test chart in order to form a new grating chart of vision test. In rotating and translating the gratings the examinee perceived the variation of position of gratings by the variation of the sense of distance and mo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ense of distance and motion measured in rotating and translating the gratings showed the average errors of ~2.98% and ~1.73% at $\theta=15^{\circ}$ respectively compared to calculated values. Conclusions: The grating chart of vision test suggested in this work can be used as a new test chart that lets an examinee perceive a sense of distance and motion of object.

Basic Modeling Class Method to Improve the Spatial Perception Ability for Jewelry Design Majors (주얼리 디자인 전공자의 공간지각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조형 수업 방법)

  • Chang, Chin-h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0
    • /
    • pp.249-254
    • /
    • 2021
  • This study is about the class model that can demonstrate the modeling ability using the spatial perception capability on basic modeling required for jewelry design majors and the most important perspective method in jewelry design. The outputs were obtained by presenting the topics for creative activities to students after theoretical explaining how to present a spatial sense and presenting practical classes on basic shapes, stereoscopic shapes and perspective methods. While the existing basic molding classes were only practical classes, this study presented students with a class model that allows them to use creativity, basic perspective, and spatial sense together. And it was found out evaluation method that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can relate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nsive education effects and clear evaluation standards. I hope that this paper will continue to study more diverse materials and convergent class models.

van Hiele 모델에 의한 기하학적 사고력 개발에 관한 연구(0 수준과 1 수준의 조작활동 중심으로)

  • 최창우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 no.1
    • /
    • pp.59-71
    • /
    • 1997
  • 기하학적 사고력 개발이라는 우리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보다 낮은 수준의 학생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아가게 하는 경험을 주는 것이다. 학생들이 보다 높은 수준에서 추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들이 보다 낮은 수준에서 충분하고 효율적인 학습 경험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분수에서 이루어지는 것처럼 기계적인 암기식으로 사물을 학습함으로써 수준(단계)을 뛰어 넘으려고 노력하면은 그들이 학습한 것에 관한 많은 것을 기억할 수 없을 것이다. 조작에 관한 보다 풍부한 경험과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주는 설명을 들은 어린이들이 보다 훌륭한 공간 추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본 고에서는 기하학적인 사고의 개발에 관한 van Hiele 모델이 초등학교에서 기하 수업의 토론을 위한 기초로서 사용되어졌다. 그 모델의 수준들이 묘사되었고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아동들의 사고는 0수준과 1수준이라 는 것이 밝혀졌다. 단지 극소수의 아동들이 2수준의 사고에 도달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초등학교에서의 수업이 기하학적인 개념을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둔다면 보다 많은 어린이들이 2 수준의 사고를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0 수준의 어린이들은 도형의 형태에 초점이 맞추어져있고 1 수준의 어린이들은 도형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에 있다. 2 수준의 사고자는 도형의 포함관계를 이해하고 비공식적으로 추론 할 수 있다. 처음 세 수준에서의 활동들에 대한 지침이 주어져 있으며 0 수준과 1수준에 연관되는 다수의 활동들을 묘사했다. 0수준의 어린이들을 위해 묘사된 활동들은 그들이 2차원 및 3차원의 도형 둘 다를 시각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1 수준에서 사고하는 학습자들을 위해 묘사된 활동들은 2차원 및 3차원 도형의 성질들을 강조했다. 아울러 본 고에서 언급한 활동들은 상호교수에의 접근을 반영했다. 그러한 접근방식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활동과 의견으로부터 개념을 구성하게 해주며 그들의 활동 결과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 함으로서 개념을 명확하게 다듬어지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평가 활동들이 본고의 마지막 부분에 주어져있다. 그러한 활동들은 교사들에게 어린이들의 기하학적인 사고수준을 결정하게 해주며 학습자들로 하여금 수업시간 이외에 보다 높은 사고수준으로 나아가게 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형상모댈링 분야에서 Minkowski Sum의 응용

  • 최영;서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260-265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민코스키 합의 기본개념에 기초해서 2D 공간에서 Convex 다각형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형상의 다각형, 즉 concave 다각형과 폴리라인을 포함한 기본도형 들에 대한 민코스키 합을 구현해 보고 이 결과를 토대로 민코스키 합의 특성과 민코스키 합을 이용해서 물체를 모델링 할 때의 장점 및 문제점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3D 공간으로의 확장시 고려해야할 요소들과 다른 자료에서 소개된 응용가능 분야 이외의 새로운 분야에서의 사용 가능성을 살펴본다.

A Review on the Preceding Studies intended to Overcome the Stereotyped School Architecture before School Facilities Modernization Work (학교시설 현대화 사업 이전 탈표준화를 모색했던 학교건축 연구 선례 고찰)

  • Lee, Jeong-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473-476
    • /
    • 2008
  • 본 연구는 1990년대 시행되었던 학교시설 현대화 사업 이전 시기인 1970년대 초와 1980년대 초 학교건축에서의 탈표준화를 모색했던 연구들에 주목하여 이들을 고찰하였다. 이들 연구는 후속 사업으로 연결되지는 못했지만 편복도형의 극복이나 시설프로그램의 변화, 학교 건축계획에서의 도시적 차원의 접근, 학교공간 내에 다양한 공간 적용 등을 제안하고 있어 국내 학교건축이 표준화교사로부터 벗어나는데 선례적인 연구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