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과 도형

Search Result 23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mplementation of New Mobile Puzzle Game for Improve Spatial and Figure Sense (공간 및 도형 지각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모바일 퍼즐 게임 구현)

  • Kim, Suk-Chul;Han, Ju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05-507
    • /
    • 2010
  • 본 논문에서 구현한 게임은 과거 사용자들이 즐겨했던 퍼즐 게임인 헥사 게임에 기본을 두고 있으며 슈팅 및 빠른 조작의 유도로 기존의 퍼즐 게임보다 긴박감 및 몰입성을 배가하였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 판타지풍의 분위기를 새롭게 적용하여 게임 진행상의 전체적인 흐름은 아기자기 하며 신비스럽게 게임을 구성하였다. 더욱이 판타지 게임의 느낌을 살려 기존의 틀에 박힌 도형 맞추기 퍼즐에서 탈피하였고, 제안한 게임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간 및 도형 지각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실험을 통하여 높은 게임성과 교육적으로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eaching Material for Enhancing Mathematical Reasoning and Connections - Figurate numbers, Pascal's triangle, Fibonacci sequence - (수학적 추론과 연결성의 교수.학습을 위한 소재 연구 -도형수, 파스칼 삼각형, 피보나치 수열을 중심으로-)

  • Son, Hong-Chan
    • School Mathematics
    • /
    • v.12 no.4
    • /
    • pp.619-638
    • /
    • 2010
  • In this paper, we listed and reviewed some properties on polygonal numbers, pyramidal numbers and Pascal's triangle, and Fibonacci sequence. We discussed that the properties of gnomonic numbers, polygonal numbers and pyramidal numbers are explained integratively by introducing the generalized k-dimensional pyramidal numbers. And we also discussed that the properties of those numbers and relationships among generalized k-dimensional pyramidal numbers, Pascal's triangle and Fibonacci sequence are suitable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al reasoning and connections.

  • PDF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Nets of Solids Present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전개도 제시에 관한 국제 비교)

  • Seo, Hwajin;Lee, Kwangho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2 no.2
    • /
    • pp.199-220
    • /
    • 2018
  • This is a traditional education content that has been consistently handl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since the first curriculum in Korea. It has been mainly used to find out the properties of the solid figure or to save the surface area. However, as the importance of spatial ability is increasingly emphasized, the nets of solids can be a very suitable learning material for dealing with the spatial 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nets of solids were taught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in Korea, and based on the analysis,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nets of solids covered in textbooks of Japan, Singapore, Finland and Hong Kong. Through this study, we suggested the enhancement of activities to find the right nets, the presentation of solid figure from various angles, and the nets of solids with patterns for improvement of spatial visualization and spatial orientation.

  • PDF

User-driven Context-aware Service Development for Smart Space (지능공간을 위한 사용자주도형 상황인식서비스 개발)

  • Park, Jeong-Kyu;Lee, Keung-H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31-134
    • /
    • 2011
  • 상황인식은 사용자의 상황을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컴퓨팅 기술이다. 상황인식에 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개발자가 만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전통적인 개발 모델을 따르고 있다. 이런 일방적인 모델은 원하는 서비스가 서로 다른 다양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황인식서비스가 설치되는 각 지능공간의 특징을 반영하기도 어렵다. 사용자와 대상 컴퓨팅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서비스를 개발하고 배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지능공간을 구성하는 기기들의 기능을 활용해 직접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상황인식서비스 개발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에도 이와 유사한 방법을 제안한 연구들이 몇몇 있었으나 기기의 일부 기능 간 연동만을 지원해 확장성이 낮았다. 본 연구는 독립된 다수 기기의 모든 기능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연동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이런 연구들 문제를 개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공간을 위한 사용자주도형 상황인식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도비(Dobby) 시스템을 소개하고 이를 구현한 결과를 설명한다.

Augmented Reality based Learning System for Solid Shapes (증강현실 기반 입체도형 학습도구 시스템)

  • Yeji Mun;Daehwan Kim;Dongsik Jo
    • Smart Media Journal
    • /
    • v.13 no.5
    • /
    • pp.45-51
    • /
    • 2024
  • Recently, realistic contents such as virtual reality(VR) and augmented reality (AR) are widely used for education to provide beneficial learning environments with thee-dimensional(3D) information and interactive technology. Specially, AR technology will be helpful to intuitively understand by adding virtual objects registered in the real learning environment with effective way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AR learning system using 3D spatial information in the 2D based textbook for studying math related to geometry. In order to increase spatial learning effect, we applied to solid shapes such as prisms and pyramids in mathematics education process. Also, it allows participants to use various shapes and expression methods (e.g., wireframe mode) with interaction. We conducted the experiment with our AR system, evaluated achievement and interest. Our experimental study showed positive results, our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effective learning methods in various classes through realistic visualization and interaction methods.

The influence of Mandala coloring activity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capacity (만다라 색칠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Kye, Young He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4
    • /
    • pp.687-698
    • /
    • 2015
  • This research is based on Jungian psychology. The founder psychoanalysist Jung introduced the notion of unconsciousness. This researcher made Mandala figures as an intermediar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then took Mandala figures a research starting point. Until now, Mandala has been used therapy tool for emotional stability. But, this researcher tried Mandala coloring to develope cognitive and emotional abilities for early childhood. This paper is a result of experiment to recognize geometric and spacial conceptions for early childhood.

The influence of fractal plastic activity for early childhood's mathematics capacity about space and figure (프랙털 조형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Kye, Young Hee;Ha, Yeon He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0 no.4
    • /
    • pp.453-468
    • /
    • 2016
  • This study is a result of experiment to recognize geometric and spacial conceptions for early childhood. This researcher had built up Mandala figures which was an intermediar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then have studied about early childhood's geometric and spatial concepts by using Mandala figures. In this paper, authors have studied fractal art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as a follow-up study, since the structure of fractal art is similar to Mandala. As a result, three years old young children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in four areas(figure perception, visual discrimination, position-in space perception and visual memory), but five years old young children have significant in three areas(figure perception, position-in space perception and visual memory). For five years old group, there is some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also they had described for their art activities like real models.

The impact of Google SketchUp on spatial ability and 3D geometric thinking of 7th grade students in volume measurement of solid figures (공간 능력과 공간 기하적 사고에서 SketchUp활용의 효과 -중학교 1학년 입체도형의 측정 단원을 중심으로-)

  • Lee, Hyun Hui;Kim, Rae Young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52 no.4
    • /
    • pp.531-547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effects of activities using Google SketchUp on students' spatial ability and 3D geometric thinking in measuring the volume of solid figures. By comparing the results from pre- and post-tes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 found that activities using Google SketchUp help students improve their spatial ability in the spatial orientation and visualization. In addition, more than hal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moved from level 4 up to level 7 in thinking process of measuring the volume in terms of Battista(2004)'s level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struction with Google SketchUp can help to improve students' spatial ability and 3D geometric thinking in the regular class in middle school. In addition, SketchUp can be an advanced technological tool to support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which create an effici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 great opportunity to learn geometry in an effective manner.

A Study on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CAD System (컴퓨터 지원 협동 CAD시스템에 관한 연구)

  • Yoon, Bo-Yul;Kim, Eu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35-238
    • /
    • 2000
  • 오늘날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공유된 가상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컴퓨터 지원 협동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래픽 분야와 CAD시스템은 하드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서 제안하는 협동 CAD시스템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웹 상에서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고 협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VRML과 Java3D API를 이용하여 쉽게 도형을 생성하고 편집하여 전송하거나 출력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채팅을 통해 인터액티브 한 작업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클라이언트는 자바 애플릿을 통해 웹 상에서 접근하고 서버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으로 접속을 통제하는 접속관리자, 작업 그룹의 동기화를 유지하며 공유작업공간을 확보하는 작업관리자, 그리고 3차원 도형 객체를 생성해 내는 솔리드 모델러로 이루어져 있다.

  • PDF

공간 시각화 과정에서의 교구의 역할

  • Jeon, Pyeong-Guk;Jeong, Bu-Y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87-9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의 도형 영역에서 도형의 모양과 변환을 대상으로 공간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구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공간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학습 능력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교구 활용 의존도 및 교구의 역할을 비교 ${\cdot}$ 분석하고자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양적 측면에서 아동 C(학습능력 하: 33%), 아동 A(학습능력 상: 18%), 아동 B(학습능력 중: 15%) 순으로 나타났지만, 문제 해결 과정의 단계에서 나타나는 교구의 활용은 서로 간의 다른 특징을 보였다.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교구 사용을 통해 아동은 과제 해결을 위한 수학적 사고를 시작하였고, 새로운 방법 모색에 관심을 가졌으며, 유익한 시행착오를 제공하여 아동에게 자신의 사고에 대한 반성과 구체화를 촉진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