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학년

검색결과 454건 처리시간 0.026초

집단상벌점제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Collective Reward and Punishment Marks System on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Focusing on the Primary-school Children in the upper Grades-)

  • 이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18-528
    • /
    • 2013
  •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생활지도 과정에서 체벌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여러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학교 현장에서는 상벌점 제도를 도입하여 적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대체체벌로서의 상벌점제 역시 여러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개인적 상벌점 제도를 개인이 아닌 집단에 적용하여, 새로운 대체체벌인 집단상벌점제에 대한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벌점제는 학교적응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대상자 특성별로 파악하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학년의 경우에는 학교적응의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나 5, 6학년의 경우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보다는 하위권인 학생의 경우 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상자별 특성에 따른 집단상벌점제의 효과성을 유의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개입을 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나눔교육을 통한 아동의 변화 연구: Multiple Convergence Model의 적용 (Effects of Philanthropy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 Analysis Using a Multiple Convergence Model)

  • 강철희;김미옥;이종은;이경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4호
    • /
    • pp.5-34
    • /
    • 2007
  • 본 연구는 다중수렴모델(Multiple Convergence Model)을 적용하여 나눔교육을 통한 아동의 변화를 보다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양적 연구를 통해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친사회성 행동 향상에 초점을 두고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질적 연구를 통해서는 나눔교육 후의 아동 변화에 대해 아동, 학부모, 교사의 시각에서 다차원적으로 변화의 내용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나눔교육을 받은 고학년 아동들은 친사회적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으며, 아동, 학부모, 교사의 시각에서도 그러한 변화는 확인되었다. 또한 양적 결과를 질적 결과를 통해 확증하는 수렴적 방법을 활용해 종합해 본 결과, 나눔교육이 아동에게 매우 긍정적인 의미있는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나눔교육의 주요 장(주체)인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나눔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나눔교육을 통한 아동의 변화'라는 현상에 대해 포괄적 심층적 이해 제고를 위해 국내 최로로 다중수렴모델을 적용하는데, 이는 사회복지연구방법의 지평을 확대하는 효과, 즉 새로운 연구방법론 활용의 기초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일개지역 초등학교 고학년들의 컴퓨터 음란물 접촉 실태에 관한 연구 (A Cross Sectional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Access to Computer Online Pornography)

  • 김정남;우해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0-167
    • /
    • 2001
  • This cross sectional study was done to find out the situation of computer online pornography access by 4th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elementary schools in Andong, which were selected randomly and 120 students randomly selected from 4th to 6th grade for a total of 360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with the help of a community health nursing professor and through the reference review.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a PC SPSS 10.0 according to school grade and sex, an 12-test was implemented to learn what percent of students have computers and software which prohibit the viewing of online pornography, access motivation and time, content viewed, attitude after accessing the contents, and opinions about computer online pornograph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total of 86.1% of students had computers at home. Most students placed computers in their own room, 78.9% of students had computer online communication experience. Higher grade students tended to have more experience of communications on the internet (P<0.001). Most students chatted on the internet once or twice a week and higher grade students tended to communicate online more frequently. (P<0.001). Most students used computers more than one hour a day (P<0.05). They used computers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iorities: game, studying, listening to music, communications, chatting. 2. Regarding the frequency of going computer online more than seven times per week, 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frequency than female students (P<0.05). Male students used computers more than one hour a day and female students less than half an hour (P<0.001). Male students mostly used computers to play computer games. On the other hand. female students used the computer to study, listen to music, and chat (P<0.001). 3. Regarding software installation to prevent access of computer online pornography, a total of 19.4% of students responded they installed one. but 80.6% didn't have any, 20.3% of students had accessed pornography, 46.6% of students responded. they first get to know to the computer online pornography through friends. 4. The reasons for accessing computer online pornography were ranked as follows: curiosity, interest, to release stress, and sex drive (P<0.05). Obscene contents were found in computer games, pictures, and video. Among these, pictures were the most common. 5. Regarding students' attitude toward online pornography, most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took much pleasure in the contents (P<0.05). 6. Regarding the question 'Does online pornography degrade morals and cause a sex crime', most students responded as 'no'. They also responded positively to the suggestion that the contents would be effective in preventing sex crimes and to release stress. 74.7% of students responded that males' access of the contents as proper but females' access as immoral. Regarding social efforts to protect students from this harmful environment. most replied that those efforts were unnecessary (P<0.001).

  • PDF

초등학생의 충동성과 자살행동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고학년을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ity and Suicide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22-12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충동성과 자살행동(자살계획, 자살시도) 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개인요인, 가족요인, 또래요인, 학교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지역 초등학생 5~6학년 573명을 대상으로 충동성, 자살행동, 보호요인 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먼저 자살행동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하였으며,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충동성과 자살행동과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29명(5.1%)은 자살계획을 세워 본 적이 있으며, 17명(3.0%)은 자살시도를 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살행동을 보고한 학생은 41명(7.1%)으로 집계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충동성과 보호요인(개인요인, 가정요인, 또래요인, 학교요인)은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충동성과 자살행동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충동성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보호요인 모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충동적인 초등학생이라도 보호요인이 높을수록 낮은 자살행동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렇듯 보호요인은 초등학생의 충동성에 따른 자살행동에 대한 완충제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강화하기 위한 다차원적인 노력이 필요함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교사행동, 학급풍토, 학생의 성취목표지향과 도움찾기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 of Teacher Behavior, Classroom Climate, and Studen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o Help-Seeking for Upper Elementary Students)

  • 박용한;한수연;김은예
    • 교육심리연구
    • /
    • 제31권3호
    • /
    • pp.563-587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자기조절 학습전략의 하나인 도움찾기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개인적 요인(성취목표지향)과 맥락적 요인(교사행동, 학급풍토)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통해 학습관련 도움찾기를 증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얻고자 이루어졌다. 특히, 학생에게 지지적이며 자율성을 부여하고 높은 기대를 하는 교사행동과 학생의 학습관련 도움찾기 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급의 전반적인 풍토와 학생 개인의 성취목표지향이 어떤 매개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개 초등학교 5, 6학년 31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에게 지지적 도움을 제공하고 높은 기대를 하며 학업지향적인 교사행동은 응집력 있고 긍정적인 학급풍토를 만들뿐만 아니라 학생으로 하여금 숙달목표와 같은 접근적인 성취목표를 갖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인 학급풍토가 학생들에게 숙달목표를 갖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여러 성취목표지향 중에서 숙달목표만이 학생들의 도움찾기 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교사행동은 학급풍토와 학생의 숙달목표를 거치는 이중매개를 통해 학생의 도움찾기 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도움찾기 행동에 대해 교실 맥락변인과 학생 개인변인이 상호작용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적응적 학습전략인 도움찾기 행동을 학생들에게 증진시키는데 있어 교사의 역할과 숙달목표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물질의 개념과 예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이해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Matter and its Examples)

  • 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1호
    • /
    • pp.150-161
    • /
    • 2022
  • 물질은 대표적인 과학의 기본 개념이지만 추상성으로 인해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개념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물질에 대한 개념과 물질 및 물질이 아닌 것의 예에 대한 이해를 학년에 걸쳐 조사하고 비교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3학년부터 6학년 학생 총 418명이었으며, 자유응답식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물질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주요 개념은 '물체를 이루는 재료', '보고 만질 수 있는 것', '고체, 액체, 기체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재료 관점의 설명 비율은 줄어들고, 상태 관점의 설명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물질을 무게와 부피를 가진 것으로 설명하는 학생은 거의 없었다. 둘째, 학생들이 제시한 물질의 예는 대부분 고체였으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액체와 기체 상태의 예도 늘어났다. 그러나 오히려 고학년에서 물체와 물질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들이 늘어나는 특징이 있었다. 셋째, 물질이 아닌 것의 예로 물체, 액체, 기체가 언급되는 가운데 다른 학년에 비해서 6학년 학생들은 물질이 아닌 것의 예를 더 잘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물질에 대한 개념은 그들이 제시하는 물질 및 비물질의 예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관한 연구: 고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Gender Equality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Upper Grade Students)

  • 이주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99-50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인 5, 6학년을 대상으로 양성평등의식을 확인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효과적인 양성평등 교육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G시와 A시에 소재한 3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6학년을 대상으로 연구에 관해 설명하고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사용하였고, 대상자의 성별, 학년, 형제 수 등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에 따른 차이는 t-test와 ANOVA를 이용하였다. 양성평등의식은 4점 만점에 평균 3.47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은 사회문화생활 영역은 평균 3.51점, 가정생활 영역은 평균 3.49점, 학교생활 영역은 평균 3.47점, 직업생활 영역은 3.38점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양성평등의식을 키워줄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야 하며, 가정, 학교, 사회는 공동으로 양성평등한 문화 풍토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향후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2008년도 일본유학 및 국학사상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n Japanese Confucianism and Kokugaku Thought in 2008)

  • 임태홍
    • 한국철학논집
    • /
    • 제29호
    • /
    • pp.311-349
    • /
    • 2010
  • 이 글은 2008년에 일본어·한국어·중국어·영어로 발표된 일본의 유학 사상 및 국학사상 관련 논문과 단행본들을 살펴보고 대략적인 연구 동향을 파악한 것이다. 여기에 소개된 약 200여건의 연구 성과들은 일본 에도시대(1603-1868) 사상가와 관련한 연구 성과가 망라되어 있다. 한번 일견함으로써 전 세계에서 에도시대 사상 및 사상가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누가 어떠한 연구를 하고 있는지 바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주자학파, 양명학파, 고학파와 미토학파, 그리고 국학파에 대한 연구는 40건에서 60건 사이로 비교적 골고루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그 중에서도 국학파에 대한 연구가, 가장 적은 주자학파에 대한 연구보다 16건이 더 많다. 이는 일본사상연구의 주류라고 할 수 있는 일본연구자들이 국학파 연구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일본어로 발표된 연구만 본다면 국학파 연구가 51건이며 주자학파 연구는 29건으로 22건이나 차이가 난다. 한국어로 발표된 연구는 주자학파와 고학파·미토학파가 가장 많은 7건이고, 국학파는 4건이다. 중국어 연구는 양명학파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은 고학파와 미토학파이다. 영어권 연구는 각 학파에 골고루 2건 정도로 발표되었다. 언어별로 살펴보면 보면 일본어 연구성과가 153편으로 압도적으로 많고 한국어 연구 성과는 모두 20건인데 중국어 연구는 24건이다. 영어권 연구는 그보다 훨씬 적은 7건이었다.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사상가는 모토오리 노리나가로 총 33건이다. 그 다음이 요시다 쇼인 23건, 오규 소라이 21건이다. 한국어 연구 성과가 많은 사상가는 모토오리 노리나가(4건)와 야마자키 안사이(3건)이다. 중국어 연구성과는 야마가 소코(4건), 요시다 쇼인(4건), 오규 소라이 (3건)이다. 중국어의 경우는 국학파에 대한 연구성과가 가장 적으며, 한국어의 경우는 양명학파에 대한 연구가 가장 적었다.

국내 초기 대수 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초등 수학을 중심으로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Tasks on Early Algebra Education : Focused o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한채린;권오남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42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초등 수학을 중심으로 초기 대수 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과제를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 주요 수학교육 학술지 6곳에 게재된 초기 대수 교육 관련 연구논문들을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 18년간 6개 학술지에 게재된 관련 논문 89편을 연구시기 및 학술지별, 연구 주제별, 연구 대상별로 범주화하고 경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국내 초기 대수 교육 연구는 2000년부터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특정 연구자 그룹의 논문 편수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초기 대수 교육은 초등 수학 교육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초등 수학 교육 전문 학술지보다는 이외의 학술지에 더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다. 연구 주제별로는 대부분의 연구가 대수적 사고의 비례 추론 내용 영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연구 대상은 학생 또는 교과서가 가장 많았고, 학생인 경우에는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초기 대수 교육 연구에 관한 향후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PDF

일본의 초등수학교육 연구 동향 - 최근 10년간을 중심으로 -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Trends in Japan - Focused on the last 10 years -)

  • 진영수;강홍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41-355
    • /
    • 2014
  • 이 연구는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일본수학교육학회 발행의 학술지 '산수교육'에 게재된 논문 196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일본의 초등수학교육의 연구 동향을 제시하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초등수학교육의 다양하고 균형 있는 연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일본의 초등수학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논문의 분석 기준에 따라 연구주제로는 '수업설계 및 방법' (36.7%)이, 내용영역별로는 '수와 연산' (47.4%)이, 학년을 기준으로 하면 5, 6학년인 고학년 (21.4%)이 각 조사 영역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었다. 특징적인 것으로 학술지 '산수교육'에서는 영재아와 부진아에 대한 연구는 찾을 수 없었고 장애아에 대한 연구 (1.0%)는 극소수 이루어지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