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속직렬신호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8초

고속신호 무결성 분석을 통한 PCI Express Gen3 시스템 설계 (PCI Express Gen3 System Design using High-speed Signal Integrity Analysis)

  • 권원옥;김영우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4호
    • /
    • pp.125-132
    • /
    • 2015
  • PCI Express는 고속 차동신호를 사용한 점대점(point-to-point) 프로토콜로 시스템 설계 시 Eye Diagram을 통한 신호의 손실(Loss)과 지터(Jitter)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PCI Express Gen3 물리 신호는 8Gbps의 고속 직렬신호로 고속신호분석에 의한 시스템 설계가 반드시 요구된다. 본 논문은 PCI Express Gen3 서버 연결망 스위치카드 시스템 제작을 통하여 고속 직렬신호의 토폴로지 추출, 채널분석, 채널의 S-파라미터 추출 및 송수신 버퍼를 포함한 시스템의 신호분석 시뮬레이션을 다룬다. 채널의 손실을 보안하기 위해 수신단 Eye diagram 분석을 통하여 송신 버퍼의 이퀄라이저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송신단 최적의 De-emphasis와 Preshoot 파라미터 값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찾고 있다.

고속직렬데이터의 지터 측정방법 (Jitter Measurements in High-Speed Serial Data Signals)

  • 권원옥;김성운;김명준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0권3호통권93호
    • /
    • pp.112-121
    • /
    • 2005
  • 고속직렬프로토콜의 출현으로 기존의 병렬 인터페이스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던 파라미터들의 의미가 변화되고 있다. 특히 ‘1’, ‘0’의 디지털 신호가 고속의 차동신호로 전송되면서 신호 무결성의 파라미터로 지터(jitter)가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본 고는 지터의 발생과 분석, 테스트 등 전분야를 다루고 있다. 지터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Eye Diagram, Bathtub 곡선, TIE 히스토그램 등을 다루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지터를 각각의 특성별로 분리한다. 그리고 지터를 테스트 장비와 각각의 특징을 살펴본 후 PCI Express 트랜시버 지터 테스트의 실례를 통하여 지터 테스트 방법과 분석을 보여준다.

MIRIS에서 적외선 관측용 이미지 센서의 제어를 위한 FPGA 개발

  • 방승철;이대희;위석오;가능현;차상묵;박영식;남욱원;정웅섭;이창희;문봉곤;박성준;이덕행;표정현;한원용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10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9권1호
    • /
    • pp.25.2-25.2
    • /
    • 2010
  • MIRIS는 과학기술위성 3호의 주 탑제체로 우주 및 지구의 적외선 관측을 위한 두 개의 카메라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적외선 검출용 이미지 센서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검출된 이미지 데이터를 읽기 위해 고속의 데이터 처리가 요구되어 FPGA 구성방식으로 전용 제어기를 구성하였다. 우주 및 지구의 적외선 관측용 이미지 센서는 구성 및 동작방법이 달라 요구기능을 만족하는 각각의 전용 이미지 센서 제어기를 개발했다. FPGA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제어기에는 검출된 이미지를 읽기위한 센서 제어 신호발생기,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ADC 제어용 신호 발생기, ADC의 출력 신호를 고속의 직렬 통신선로로 출력 하는 기능 외에 동작 모드 및 동작 상태 입력용 DSP 인터페이스, 고속의 직렬 통신 선로에 MIRIS 상태정보 삽입 기능, 제어기의 기능을 원격지에서 확인 할 수 있는 이미지 패턴 생성기능 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미지를 읽기 위한 동작 시에만 클록 주파수를 인가하는 방법으로 FPGA 내부 회로를 구성하여 전류의 소모량을 최소화 하였다.

  • PDF

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설계 및 분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Design and Analysis on the High-Speed Serial Interface Connector)

  • 이호상;신재영;최대일;나완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1084-109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12.5 Gbps의 전송 속도를 갖는 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커넥터(high-speed serial interface connector)의 설계 및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커넥터는 다양한 매질로 구성되며, 내부 선로도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선로의 불연속 부분의 각각을 임피던스 정합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커넥터의 각 부분을 단순화한 커넥터 라인(connector line)의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이 구조에서 R, L, C, G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차동 모드 임피던스를 분석하며, TDT(Time Domain Transmissometry)와 TDR(Time Domain Reflectometry)을 이용하여 임피던스 불연속(impedance discontinuity)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단순화한 커넥터 라인에서 추출된 분석 방법 및 결과를 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적용하였다. 제안한 커넥터는 총 44개의 핀(pin)으로 구성되며, 본 논문에서는 4개의 핀의 폭과 간격을 변경하여 신호 전달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접지 핀의 폭이 증가할수록 임피던스는 소폭으로 감소하고, 접지핀과 신호 핀 사이의 간격이 증가할수록 임피던스가 증가했다. 또한, 신호 핀의 폭을 증가시키면 임피던스가 감소하며, 신호 핀과 신호 핀 사이의 간격을 늘리면 임피던스가 증가하였다. 최초 커넥터 임피던스 특성은 $96{\sim}139{\Omega}$ 사이에서 변화되는 값을 나타내었으나, 제안된 커넥터 구조를 적용했을 때 임피던스 특성은 $92.6{\sim}107.5{\Omega}$ 사이의 값으로 나타나, 설계 목표 $100{\Omega}{\pm}10%$를 만족함을 보였다.

모바일 직렬 전송방식의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구현 (Implementation of a Client Display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via Serial Transfer)

  • 박상우;이용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22-525
    • /
    • 2006
  • 최근 모바일 기기들은 3D 게임, 무선 인터넷, 동영상, DMB, GPS, PMP 등의 기능을 추가하고 있으며 이들을 제대로 지원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크기도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더 빠른 전송 속도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으나 기존의 병렬 방식의 인터페이스로는 그 한계에 이르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 고속 직렬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대두되고 있다. 직렬 방식의 장점은 높은 대역폭과 더불어 적은 신호선 수, 저전력 특성, 전자파 장애의 최소화라는 특징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 직렬 방식의 물리적 계층으로 LVDS(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를 응용하고 링크 계층으로 패킷 방식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한다. 구현된 직렬 인터페이스는 충분한 전송 대역폭과 함께 대폭 감소된 신호선 개수라는 특징을 갖는다.

  • PDF

전기도금용 전원장치구동을 위한 DSP 탑재 제어보드의 개발 (Development of a DSP Control Board for Electroplating Power System)

  • 송호신;이대희;배종문;이오걸;노성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551-2553
    • /
    • 2000
  • 고속 신호처리 및 실시간 제어 분야에 적합한 제어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신호처리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인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이용한 제어용 보드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기도금용 전원장치의 고성능화를 위하여 DSP제어용 보드를 개발하였으며, 전체구성은 고속 신호처리를 위한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경제성과 응용범위가 넓은 TMS320C32 DSP CHIP, Wait없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한 고속 SRAM, 외부 디지털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 아나로그 입출력 회로 및 PC 혹은 다른 마이크로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한 직렬 통신 회로 등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DSP 보드는 시제품 제작을 완료하여 그 성능 및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전기도금장치의 고성능 제어처리를 위하여 채용하여 상품화 개발을 완료하였다.

  • PDF

CC1020 동작을 위한 레지스터 설정방법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Method of Register Setting for Using CC1020 Chip)

  • 임현진;조형국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7-352
    • /
    • 2005
  • 유비쿼터스라는 새로움 페러다임의 도래로 인해 많은 IT산업이 이를 중심으로 많은 발전을 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관련 산업에 있어서 상당 부분 무선 통신기술인 RF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RFID 시스템 및 센서 네트워크 등이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무선 통신기술에 적합한 저전력 저전압 Wireless UHF 트렌시버인 CC1020 칩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MCU와의 Interface를 구성하고 CC1020 칩의 레지스터를 설정하기 위해 4선의 직렬 구성 인터페이스로 모토로라사에서 개발된 근거리용 고속 직렬 동기식 통신규격인 SPI 방식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레지스터 종류 및 설정순서와 타이밍에 대한 내용과 MCU와의 인터페이스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시스템을 구현하고 실험을 통해 신호의 파형과 데이터 송수신을 확인하였다.

  • PDF

대형 TFT-LCD용 SDI 신호 생성기의 개발 (Development of SDI Signal generator for Large size TFT-LCD)

  • 최대섭;신호철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3-16
    • /
    • 2014
  • 최근 TFT-LCD TV를 구동하는데 있어서 비발광소자인 LCD의 응답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1 Frame 의 시간주기를 보다 작게 나누어 구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경우 화면을 구성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이 소요됨과 동시에 드라이버 IC의 구동 속도가 문제가 되고 있다. 기존의 차동신호를 바탕으로 한 TFT-LCD 구동신호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는데 문제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Full HD를 Quad 쌍으로 구동하는 고속 구동을 위해서 기존의 신호전송방식이 가지고 있던 많은 입력선 수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서 직렬 데이터 전송방식의 Full HD Generator 를 제작하여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평가 결과 육안으로도 잔상이 없는 고속구동이 가능한 직렬 데이터 방식의 구동 설비를 제작할 수 있었다.

테라급 스위치 패브릭 인터페이스를 위한 고속 신호 전송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High-Speed Transmission Line for Terabit Per Second Switch Fabric Interface)

  • 최창호;김환우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2호
    • /
    • pp.46-55
    • /
    • 2014
  • 고속 전송로를 위한 PCB(Printed Circuit Board) 설계기술은 꾸준히 발전되고 있으며, 통신 시스템의 대용량화에 맞추어 백플레인(Backplane)에 사용되는 스위치 패브릭 인터페이스(Switch Fabric Interface) 또한 10Gbps 이상의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를 사용하도록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테라급 시스템에서 스위치 패브릭 인터페이스로 11.5Gbps의 직렬링크를 사용하기 위하여, PCB 재질 따른 전송로의 전송거리 별 성능을 비교하고, 비아 스터브(Via Stub)의 길이에 의한 영향 및 누화현상(Crosstalk)에 의한 영향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의 결과로 백플레인 보드에 저유전 재질 PCB를 사용함으로써, 전송손실에서 8dB의 개선효과를 얻어 표준에서 정한 -25dB 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아 스터브 길이에 의한 반사손실의 영향을 분석하여 백드릴(Back-drill)여부를 결정하였으며, 전송신호 간 상호간섭을 최소화하는 이격거리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로부터 모든 스위치 패브릭 링크에 11.5Gbps의 직렬 링크를 적용할 수 있도록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구조를 확정하였다.

고속 LVDS 응용을 위한 전송선 분석 및 설계 최적화 (Analysis and Design Optimization of Interconnects for High-Speed LVDS Applications)

  • 류지열;노석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10호
    • /
    • pp.70-7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고속 저전압 차동 신호(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전송방식의 응용을 위한 전송선 분석 및 설계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차동 전송 경로 및 저전압 스윙 방법의 발전으로 인해 저전압 차동 신호 전송방식은 데이터 통신 분야, 고 해상도 디스플레이 분야, 평판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매우 적은 소비전력, 개선된 잡음 특성 및 고속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차동 유연성 인쇄 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전송선에서 선 폭, 선 두께 및 선간격과 같은 전송선 설계 변수들의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직렬 접속된 전송선에서 발생하는 임피던스 부정합과 신호 왜곡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선 모델과 개발된 수식을 제안한다. 이러한 차동 FPCB 전송선의 고주파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주파수 영역에서 전파(full-wave) 전자기 시뮬레이션 및 시간 영역 시뮬레이션을 각각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저전압 차동 신호 방식의 응용을 위한 고속 차동 FPCB 전송선을 최적화하는데 매우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