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분자 복합소재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Organo-Layered Silicate as an Filler of Polymeric Nanocomposites from $delta-Na_2Si_2O_5$ ($delta-Na_2Si_2O_5$ 로부터 고분자 나노복합 소재용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 합성 및 특성)

  • 김윤섭;고형신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226-226
    • /
    • 2003
  • 일반적으로, 고분자 매트릭스에 층상 점토광물이 분산되어 얻어지는 복합재료는 세가지 형태를 이룬다. 첫째 통상의 복합재료는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점토입자가 고루게 분산된 상태를 말하며, 둘째 점토 층 사이에 고분자 모노머나 올리고머가 일부분 삽입된 삽입형 복합재료(intercalated composite)이며, 셋째 점토 층 사이에 삽입된 모노머나 올리고머의 경화 또는 중합반응을 통해 점토내의 한층 한층 균일하게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박리형 나노복합소재(exfoliated nanocomposite) 이다. 이들 복합재료들 중 박리형 나노복합소재는 적은 양의 점토가 단위 층으로 고분자 매트릭스에 완전히 분산되어 다양한 물성의 향상이 기대되는 재료이다. 따라서 최근 고분자의 기계적 강도, 팽윤 저항성 그리고 차폐특성 둥 전반적인 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층상 점토광물의 층 사이에 다양한 유기물을 삽입하여 층간거리를 확장시킨 유기 점토광물을 제조하고 이를 고분자 소재에 첨가하여 박리형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 PDF

특집: 유기광.전자 소재 및 소자 기술 - 전기 활성 고분자 복합재 기술 및 응용

  • Lee, Sang-Bok;Lee, Jin-U;Lee, Won-O;Lee, Je-Uk;Eom, Mun-Gwang
    • 기계와재료
    • /
    • v.23 no.2
    • /
    • pp.54-65
    • /
    • 2011
  • 전기 활성 고분자 복합재는 전기적 자극을 가하여 기계적 움직임을 얻을 수 있고, 기계적 자극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얻을 수 있어 차세대 액추에이터 및 센서와 생물학적 조직과의 유사성으로 인공 근육 및 로봇분야의 응용소재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전기 활성 고분자 복합재의 기본적이 개념과 함께 국내외 기술 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기 활성 고분자 복합재에 있어 핵심내용인 전기활성 소재의 종류 및 작동원리, 전극소재, 이를 이용한 센싱 및 액추에이팅 구동특성과 응용에 대해 소개하고 마지막으로 현 시점에서의 전기 활성 고분자 복합재 응용에 있어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안에 대해 언급한다.

  • PDF

Manipulating Anisotropic Filler Structure in Polymer Composite for Heat Dissipating Materials: A Mini Review (방열소재로의 응용을 위한 고분자 복합소재 내 이방성 필러 구조 제어 연구동향)

  • Seong-Bae, Min;Chae Bin, Kim
    • Composites Research
    • /
    • v.35 no.6
    • /
    • pp.431-438
    • /
    • 2022
  • Efficient heat dissipation in current electronics is crucial to ensure the best performance and lifespan of the devices along with the users' safety. Materials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are often used to dissipate the generated heat from the electronics to the surroundings. For this purpose, polymer composites have been attracted much attention as they possess advantages rooted from both polymer matrix and thermally conductive filler. In order to meet the thermal conductivity required by relevant industries, composites with high filler loadings (i.e., >60 vol%) have been fabricated. At such high filler loadings, however, composites lose benefits originated from the polymer matrix. To achieve high thermal conductivity at a relatively low filler loading, therefore, constructing the heat conduction pathway by controlling filler structure within the composites may represent a judicious strategy. To this end, this review introduces several recent approaches to manufacturing heat dissipating materials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by manipulating thermally conductive filler structures in polymer composit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rovskite-Polymer Composites Materials (페로브스카이트-고분자 복합소재 기술개발 및 응용)

  • Kim, Hyun Gi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4 no.1
    • /
    • pp.25-31
    • /
    • 2021
  •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결정 구조를 갖는 물질은 매우 뛰어난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최근 들어 태양전지, LED, 광검출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폭넓은 분야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소재 자체가 갖고 있는 뛰어난 특성을 지속할 수 있는 안정성이 향상된 기술의 접목이 무엇보다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기고문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실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최근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고분자 복합소재 기술 개발 및 응용 분야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나노 전도성 Filler를 이용한 박막 고분자 PTC 특성 연구

  • 강영구;조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351-354
    • /
    • 2003
  • 최근 안전 분야에서 기능성 고분자 재료의 응용분야로서 첨단 전기전도성 고분자복합재료를 이용한 섬유상, 구형, flake 등 각종 형상의 금속, 흑연, carbon black, whisker 등의 전도성 filler를 고분자 matrix에 혼입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성형가공하여 복합성형체를 제조하고 electrical hazard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전기방지효과, 자기발열체, 전자기파 차폐효과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성형체상으로 가공된 소재로 화학공장, 산업설비, 각종 제조설비의 제조 공정용 제어, 과전류차단 및 외부 전자기파에 의해 발생되는 이상작동 등을 방지하는 안전시스템 소재용으로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중략)

  • PDF

A Review of Graphene Nanoplatelets in Nanocomposites: Dispersion (그래핀나노플레이트 나노복합소재 분산법 연구 동향)

  • Park, Sang-Yu;Hwang, Ji-Young;Park, Young Su;Kang, Seung Beom
    • Composites Research
    • /
    • v.33 no.6
    • /
    • pp.321-328
    • /
    • 2020
  • Recently, development of nanocomposite materials for applying in various fields has been actively underway. Of the two-dimensional nanomaterials, graphene nanoplatelets (GnPs) are highly utilized because of their excellent properties, but a problem of strong aggregations is occurred when GnPs are fabricated with polymer nanocomposites, so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research on the methods of dispersion. In this review paper, the research on GnP nanocomposites with improved properties through various dispersion methods of GnPs. The welldispersed GnP nanocomposites will be applied in more diverse fields in the future.

Recyclable Polymeric Composite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재활용 가능한 고방열 고분자 복합소재 개발)

  • Shin, Haeun;Kim, Chae Bin;Ahn, Seokhoon;Kim, Doohun;Lim, Jong Kuk;Goh, Munju
    • Composites Research
    • /
    • v.32 no.6
    • /
    • pp.319-326
    • /
    • 2019
  • To address tremendous needs for developing efficiently heat dissipating material with lightweights, a new class of polymer possessing recyclable and malleable characteristics was synthesized for incorporating model functional hexagonal boron nitride (h-BN) filler. A good interfacial affinity between the polymer matrix and the filler along with shear force generated upon manufacturing the composite yielded the final product bearing highly aligned filler via simple hot pressing method. For this reason, the composite exhibited a high thermal conductivity of 13.8 W/mK. Moreover, it was possible to recover the h-BN from the composite without physical/chemical denaturation of the filler by chemically depolymerizing the matrix, thus the recovered filler can be re-used in the future. We believe this polymer could be beneficial as matrix for incorporating many other functional fillers, thus they may find applications in various polymeric composite related fields.

Impact of Filler Aspect Ratio on Oxygen Transmission and Thermal Conductivity using Hexagonal Boron Nitride-Polymer Composites (필러 네트워크 형성 및 배향이 복합소재 열전도도와 산소투과도에 미치는 영향 고찰)

  • Shin, Haeun;Kim, Chae Bin
    • Composites Research
    • /
    • v.34 no.1
    • /
    • pp.63-69
    • /
    • 2021
  • In order to develop an integrated heat dissipating material and gas barrier film for electronics, new polymer was designed and synthesized for preparing composites containing hexagonal boron nitride (hBN) filler. Depending on the size and content of the hBN filler, both thermal conductivity and oxygen transmission rate can be adjusted. The composite achieved a high thermal conductivity of 28.0 W·m-1·K-1 at most and the oxygen transmission rate was decreased by 62% compared to that of the filler free matrix. Effective filler aspect ratios could be estimated by comparing thermal conductivity and oxygen transmission rate with values predicted by theoretical models. Discrepancy on the aspect ratios extracted from thermal conductivity and oxygen transmission rate comparisons was also discussed.

A Review of Flame Retarding Polyacrylonitrile (PAN) Fibers and Composites (난연성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고분자 섬유 및 복합소재 연구 동향)

  • Kim, Jongho;Ku, Bon-Cheol
    • Composites Research
    • /
    • v.32 no.6
    • /
    • pp.342-348
    • /
    • 2019
  • Development of flame retarding polymer based materials has been studied actively due to the increase in use of polymers. The post treatment of manufactured fibers or the introduction of flame retardant into fibers is representative method for the way to improve the flame retardancy. Among the polymers, polyacrylonitrile (PAN), which is a precursor of carbon fiber, has been widely used for clothes. Due to low flame retardancy of PAN fiber (LOI value: 17~18%), the improvement of flame retardancy of PAN fiber is needed. In this review paper, we report preparation methods for the fabrication of post-treated (oxidization or chemical reaction) flame-retarding PAN fibers and composites composed of PAN and organic/inorganic materials (SiO2, 2D materials or CNT).

Development of Polymer composites Materials for DMFC Bipolar plates (고분자 복합소재를 이용한 DMFC용 분리판 개발)

  • Son, Dong-Un;Shim, Tae-Hee;Song, Ha-Young;Jung, Eun-Mi;Shin, Yong;Hwang, Sang-Mo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160-165
    • /
    • 2009
  • 연료전지 분리판은 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가장 많은 수량이 사용되는 부품의 하나로서 연료전지의 출력밀도(Power Density, W/L), 비출력(Specific Power, W/kg) 및 가격($/kWe) 관점에서 가능한 저가의 소재 및 제조공정으로 경량, 박형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핵심 부품이다. 이러한 저가의 경량, 박형화 분리판 개발의 전제조건은 연료전지 스택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물성, 장기수명 및 신뢰성은 나타내는 내구성을 만족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듯 연료전지 분리판은 다음과 같은 요구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높은 전기전도도, 전기화학적 부식 저항성, 화학적 안전성, 가스 기밀성,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 등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분리판의 요구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분리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고분자 복합소재(PCB; Printed Circuit Board)를 이용하여 전기도금을 통해 Cu/Au(1st PCB 분리판)과 Cu/Ni/Au(2st PCB 분리판)을 코팅하여 분리판을 제작하였다. 제조된 분리판을 이용하여, 접촉저항, 부식특성, 가스 기밀성, 기계적 강도를 분석하였으며, 단위전지를 제작 하여 상용 Graphite 분리판과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