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등교육정책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6초

고등교육기관 평가인증제에 대한 대학의 대응 노력이 대학의 지각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The Affect of the University's Response to th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Perceived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 Focused on Junior Colleges)

  • 윤문도;서영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139-152
    • /
    • 2019
  • 4차 산업혁명과 융복합 시대를 맞아 국내 대학들도 교육의 질 개선을 비롯한 적극적인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1주기 전문대학의 기관평가인증제에 대한 대학의 대응 노력이 대학의 BSC 관점의 지각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 심사를 받은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152부의 설문지를 표본으로 하여 SPSS v.18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평가인증제에 대한 대학의 대응 노력 중 평가인증제에 대한 관심 정도는 학습과 성장 성과에만 영향을 미치며, 평가인증 준비의 적절성은 고객 성과, 내부프로세스 성과, 재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자체평가의 만족도는 BSC 4가지 관점의 성과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관평가인증제를 통한 대학의 경영성과 관리방안을 강구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기관평가인증제를 대학 경영성과의 확대로 연결 지을 수 있는 발전된 연구가 필요하겠다.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따른 건강역기능 고찰 (A Review of Studies on the Health-adverse effects in using Digital Textbooks)

  • 서문경애;김은영;노원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165-175
    • /
    • 2012
  • 교육과학기술부는 2006년에 학교교육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방법으로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을 시도하였다. 2007년 이후 일부 초등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를 시범적으로 사용하였다. 이에 교육과학기술부는 가까운 미래에는 초등, 중등, 고등학교에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을 확산하려는 의지를 발표하였다. 그러나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은 건강이라는 측면에서 많은 우려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따른 건강역기능을 확인하고자 국내외의 선행문헌고찰을 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디지털교과서 관련 건강연구가 처음이므로 컴퓨터를 활용한 유사한 학습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헌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가장 중요한 시사점은 신체적인 요소와 심리적인 요소인데, 신체적인 증상으로는 안증상, 근골격계증상, 전신증상, 피부증상 등이 나타났고, 심리적인 증상으로는 학습스트레스와 학습소진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의 영미문화 내용분석: 2011년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ultural Content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 류다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71-83
    • /
    • 2013
  • 우리나라와 같이 EFL의 상황에서는 대부분의 학생과 교사들은 영어권의 문화적 요소를 습득하기 위해 교과서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영어 교과서에 문화적 요소가 어떻게 다루어졌는지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교과서가 각 과마다 문화 고정란을 포함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문화적 개념을 습득하는 데는 부족하다. 둘째, 정신문화, 물질문화, 그리고 행동문화의 세 가지의 유형이 비슷하게 분포되어 있다. 셋째,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화 소재별 분석 결과 예술, 문학 등의 심미적 심성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소재가 가장 높은 반영률을 보였다. 넷째, 문화 배경별 분석을 해본 결과 보편문화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영미문화의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하고 고르게 문화를 다루려는 노력을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문화와 영어권 문화를 비교할 수 있는 내용과 한국문화의 소개 등도 좀 더 많이 다루어서 학생들이 의사소통을 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공공기관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측정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ary Factors to Establish for Public Institutions Big Data System)

  • 이광수;권정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143-149
    • /
    • 2021
  • 초연결 지능정보사회에 빠른 진입으로 빅데이터 기반의 자원관리 등을 위한 빅데이터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대두되면서, 공공기관에서 빅데이터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관 현실에 맞는 빅데이터시스템 구축 시 고려해야할 측정항목을 도출하고자 한다. 고등교육기관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의 환경요인 측정항목에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관련연구들의 성공요인들과 공공기관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의 특성을 분석·결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빅데이터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방법등을 사용하여 빅데이터 특성이 반영된 19개 측정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빅데이터시스템에 구축하고자 하는 공공기관에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공공기관에서 성공적인 빅데이터시스템 구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in STEAM Education)

  • 곽혜정;류희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1호
    • /
    • pp.72-89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관련 논문 271편에 대해 발행 연도,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 주제, 발행 기관별로 연구 성과를 진단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결정하는 지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융합인재교육의 논문 게재 수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2014년에는 연구의 증가 추세가 주춤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013년부터는 대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두드러지게 증가하였고, 2014년에는 유치원 대상의 연구의 증가와 부진 학생과 특수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유치원과 대학교급에서는 미술을 중심으로 한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고, 초.중.고등학교급에서는 실과와 과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 학문 분야에서는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연구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반면 교육 관련 학회에서는 2014년에 논문 게재 편수가 2013년에 비하여 약 16% 감소하였다. 앞으로 융합인재교육 연구에 있어 사례연구와 같은 질적연구 방법론이 더 높은 비중으로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프로그램 보급 및 활용 실태에 대한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와 교육정책 및 제도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예비 교사 및 현장 교사의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와 장기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동향의 심층분석 및 미래 전망 : 2009년~2018년까지의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An In-depth Analysis and Future Prospect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Trends : Focused on the Stud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2009 to 2018)

  • 신현석;박균열;이예슬;윤지희;신범철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247-286
    • /
    • 2018
  • 본 연구는 최근 10년(2009년부터 2018년 전반기)간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자의 특성'에 따른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자의 측면에서 '단독' 연구보다 '공동'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며, 제1저자가 '남성'인 경우가 '여성'인 경우보다 많았고, 제1저자가 '대학 교수'인 경우가 가장 많은 가운데, '교수'와 '대학원생'의 공동연구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연구 성격의 측면에서 이론(혹은 모형)을 개발하고 검증하려는 연구들이 증가하였다. 셋째,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 고급통계를 사용한 '양적연구', 면담과 관찰을 통한 '질적연구'가 증가하는 등 한국의 교육행정 현상을 기술하고 설명하려는 연구들이 증가하였다. 넷째, 연구 영역의 경우, '학교조직 및 경영', '고등교육', '교육정책 및 기획' 영역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다섯째, 각 '영역'별로 해당 영역에 대한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연구자의 특성', '연구 성격', 그리고 '연구 방법'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응하는 미래의 교육행정학 연구 동향의 전망을 제안하였다.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MIL) 인식과 협력수업 경험 분석 - 경기도교육청 소속 교원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n the Awareness and Cooperative Class Experience of the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MIL): Targeting the Teachers in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 박주현;임정훈;백영선;김서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33-157
    • /
    • 2024
  •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교원들의 MIL 인식과 협력수업 경험을 분석하여 MIL 협력수업의 내용과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청 소재 초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원 401명을 대상으로 협력수업, 미디어, MIL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① 교원을 대상으로 협력수업의 경험을 제공하고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MIL 협력수업 모델과 메뉴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② MIL 교육과정을 학교 교육에 적용하고 필요한 경우 협력수업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③ MIL 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미디어 유형은 발달단계와 교육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④ MIL 교육과정에서 'MIL 윤리'와 '정보 이해(독서) 및 평가 역량 교육'을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 ⑤ 학생의 MIL 향상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를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후속 연구로 MIL 협력 수업 모델과 MIL 교육과정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수준별 이동수업이 고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경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Mathematics achievement - Utiliz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

  • 홍순상;이덕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49-16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들을 분석하고, 특히 학교수준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이 실질적으로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선택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6차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경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사용하여 수학 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이 수학성취도의 지표인 수능 수리영역 표준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수준별 이동수업과 수학성취도 사이의 양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정책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가상 학습 공간에서의 협력 학습이 학업 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a Virtual Environmen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 김미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1-8
    • /
    • 2021
  • 본 연구는 가상 환경에서의 협력 학습에의 참여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세컨드라이프라는 가상현실 플랫폼에 고등학생이 국사 과목을 학습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이를 활용하였다. 총 119명의 참가자를 '협력학습 유형'이나 '개인학습 유형'에 무선 할당하였으며,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를 측정 도구로 수집하였다. 가상공간에서의 협력학습의 효과를 검토하려 독립표본 t검증 및 대응표본 t검증을 실행하였고, 연구의 결과는 개인학습 유형에 참여한 경우보다 협력학습 유형에 참여한 경우가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향후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협력학습의 활용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한국 지방대학의 중국유학생 유치·관리방안 (Enrollment Elevation to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Local Universities in Korea)

  • 정건섭;뢰송림;심문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327-340
    • /
    • 2010
  • 세계경제 단일화의 가속화에 따라, 고등교육의 국제화는 점차 세계적인 추세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서방 선진국들은 세계 각국 유학생들의 유학 선호 국가가 되어버렸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교육자원, 환경, 정책 등 여러 문제로 각 지방 대학이 유학생 유치에 불리한 위치에 처한 것이 사실이다. 최근에는 중국과 한국 양국의 문화 교류 증대와 양국 간의 지리적 접근성에 힘입어 많은 한국 학생의 중국 유학과 동시에, 중국 유학생 또한 한국 각 지방대학의 주요 입학자원이 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의 중국 유학생 수는 신속히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한국의 유학생 교육제도 또한 끊임없이 개선되고 있지만, 유럽, 미국 등 선진 국가나 한국 수도권 대학의 교육 환경적 우세 조건에 비하면 한국 지방대학의 중국 유학생 유치는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제시해 본다면, 우선 한국 지방 대학의 중국 유학생 유치는 유리한 점이 있는 반면 또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어떻게 중국 유학생이 선호하는 특색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들고, 중국 유학생의 학습과 발전에 적합한 "One-Stop (신속, 빠른, 편리한) 교육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가, 또 어떻게 유학생 교육의 관리 체계와 모델을 완성하여 중국 유학생과 지방대학이 다함께 Win-Win할 수 있는가? 이런 점들이야 말로 한국의 각 지방대학 중국 유학생 관리자들이 끊임없이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