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depth Analysis and Future Prospect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Trends : Focused on the Stud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2009 to 2018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동향의 심층분석 및 미래 전망 : 2009년~2018년까지의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in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etween last 10 years(2009 to 2018 first hal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n terms of the researcher, more research was done by 'joint' researchers than a 'single' researcher. In addition, the number of studies in which the first author was male was higher than in women. Also, 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was actively done. Second, the number of studies to develop and verify theories(or models) has increased.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more studies tend to utilize 'quantitative research' using advanced statistics an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o describe and explain Korea's educational administration phenomenon. Fourth, researchers showed high interest in 'School organization and management;', 'Higher education', 'Education policy and planning'. Fifth, according to each research area,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who conducted the research, the nature of the research, and the research methods used main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e future trend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본 연구는 최근 10년(2009년부터 2018년 전반기)간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자의 특성'에 따른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자의 측면에서 '단독' 연구보다 '공동'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며, 제1저자가 '남성'인 경우가 '여성'인 경우보다 많았고, 제1저자가 '대학 교수'인 경우가 가장 많은 가운데, '교수'와 '대학원생'의 공동연구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연구 성격의 측면에서 이론(혹은 모형)을 개발하고 검증하려는 연구들이 증가하였다. 셋째,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 고급통계를 사용한 '양적연구', 면담과 관찰을 통한 '질적연구'가 증가하는 등 한국의 교육행정 현상을 기술하고 설명하려는 연구들이 증가하였다. 넷째, 연구 영역의 경우, '학교조직 및 경영', '고등교육', '교육정책 및 기획' 영역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다섯째, 각 '영역'별로 해당 영역에 대한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연구자의 특성', '연구 성격', 그리고 '연구 방법'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응하는 미래의 교육행정학 연구 동향의 전망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