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격자수

Search Result 2,69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velopment of 2D inundation model based on adaptive cut cell mesh (K-Flood) (적응적 분할격자 기반 2차원 침수해석모형 K-Flood의 개발)

  • An, Hyunuk;Jeong, Anchul;Kim, Yeonsu;Noh, Joonw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10
    • /
    • pp.853-862
    • /
    • 2018
  • An adaptive cut-cell grid based 2D inundation analysis model, K-Flood, is developed in this study. Cut cell grid method divides a grid into a flow area and a non-flow area depe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s. With adaptive mesh refinement technique cut cell method can represent complex flow area using relatively small number of cells. In recent years, the urban inundation modeling using high resolution and fine quality data is increasing to achieve more accurate flood analysis or flood forecasting. K-Flood has potential to simulate such complex urban inundation using efficient grid generation technique. A finite volume numerical scheme of second order accuracy for space and time was applied. For verification of K-Flood, 1) shockwave reflex simulation by circular cylinder, 2) urban flood experiment simulation, 3) Malpasset dam collapse simulation are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observed data and previous simulation results.

Orthogonal Modulation for Improved Bandwidth Efficiency using Product Code (격자부호를 이용한 대역폭 효율이 개선된 직교 변조)

  • Kim, Do-Hoon;Jang, Jin-Kyu;Hong, Dae-Ki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211-21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다중부호 신호(multi-code signal)를 정진폭으로 전송하는 정진폭 다중 부호 트랜스 이진직교 변조방식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오류 제어 부호를 제안한다. 격자부호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비트오율 성능을 높이는 방식이 정진폭 다중 부호 트랜스 이진직교 변조 방식에 적합함을 보인다. 정진폭다중 부호 트랜스 이진직교 변조방식에서는 정진폭을 유지하기 위해 세로축의 패리티 비트를 사용하여 신호를 부호화 하게 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정진폭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로축의 패리티비트외에 추가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가로축의 패리티 비트를 부가하되 격자구조가 되도록 하여 비트오율 성능의 개선을 최대화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시스템 복잡도의 증가가 거의 없으며 복호기도 매우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시스템은 격자구조를 사용하지 않은 시스템에 비해 성능의 개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Constant-Amplitude Multicode-Trans-Orthogonal Modulation using Product Code (격자부호를 이용한 정 진폭 다중 트랜스 직교 변조 방식)

  • Kim, Sun-Hee;Kim, Jong-Suck;Hong, Dae-Ki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215-21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다중 트랜스 신호를 정 진폭으로 전송하는 정 진폭 다중 트랜스 직교 변조 방식에서 이용할 수 있는 오류 정정 부호 방법을 제안한다. 격자부호를 사용한 다중 트랜스 직교 변조방식이 비트 오율 성능을 높이는 것에 적합함을 보인다. 정 진폭 다중 트랜스 직교 변조 방식에서는 정진폭을 유지하기 위하여 세로축의 패리티 비트를 이용하여 신호를 부호화시키며, 가로축의 패리티 비트를 부가하여 이것이 격자부호를 이루도록 하여 비트 오율 성능 개선을 최대화 하도록 한다. 제안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러 비트율의 성능을 비교해 보았을 때 시스템의 복잡도의 증가가 거의 없으므로 복조기의 복잡도도 간단히 구현할 수 있으며 격자부호를 사용하지 않은 시스템에 비하여 비트 오율의 성능이 더 개선됨을 알 수 있다.

  • PDF

Hybrid Optimization Method for the Reconstruction of Apodized Chirped Fiber Bragg Gratings (무족화 첩 광섬유 격자 재구성을 위한 혼합 최적화 방법)

  • Youn, Jaesoon;Im, Kiego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7 no.6
    • /
    • pp.203-211
    • /
    • 2016
  • We have studied the hybrid method for reconstructing apodized chirped fiber Bragg gratings, using both an analytic estimation of grating parameters and an optimization algorithm. The Hilbert transform of the reflection spectrum was utilized to estimate grating parameters, and then the layer-peeling algorithm was used to obtain refined parameter values by the differential-evolution optimization process. Calculations for a fiber Bragg grating with wavelength chirp rate 2 nm/cm were obtained with an accuracy of $6{\times}10^{-5}nm/cm$ for the chirp rate and $3{\times}10^{-9}nm/cm$ for the index modulation, with much improved calculation speed and high reliability.

Evaluation for the application of WRF meteorological data on grid-based soil moisture model in upland (WRF 기상자료의 밭 토양 물수지 모형 적용 및 효과 분석)

  • Hong, Min Ki;Lee, Sung Hack;Choi, Jin Yong;Lee, Se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13-213
    • /
    • 2015
  • 밭에서의 점적 관개를 이용한 노지 재배의 경우 적정 관개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작물 및 토양의 수분 정보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밭 토양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통해 격자 형태로 분할하여 작물의 증발산량 및 토양의 수분함량을 모의할 수 있는 격자 기반 토양 물수지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을 통해 작물의 소비수량 및 필요 수량을 파악함으로써 작부기간 중 필요한 관개수량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도화 기상자료로는 국가농림기상센터에서 운영 중인 고해상도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모형에서 생산된 격자 형태의 복사, 온도, 바람, 강수 자료를 사용하였고 고도화 기상자료의 격자 해상도 별로 모의되는 작물 및 토양의 수분 정보 간 비교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 물수지 모형에 입력되는 격자형태의 자료로는 기상, 토성 및 토지이용 자료가 있으며 기상자료의 경우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각 270, 810, 2430m로 동일한 3가지 경우로 나누어 적용했으며 토성 및 토지이용 자료의 경우 기상 격자의 최소 크기에 맞춰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각 270m인 격자로 분할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한 모의 결과 각 격자별 작물 증발산량, 토양수분함량 및 관개수량의 일 연별 시계열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동시간대 격자별 수문인자 값을 산정하고 위치에 따른 공간적 상호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고도화 기상자료의 격자 크기에 따른 밭 토양 물수지 분석 결과를 통해 고도화 기상 격자의 규모별 밭 토양 물수지 분석 효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시험 지역(Test Bed) 선정을 통해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을 실측하고 본 모형의 모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검정하는 것을 향후 연구 계획으로 한다.

  • PDF

A Study on Grid Assignment Method of Emission from Area and Mobile Sources (면/이동오염원 배출량의 격자 할당방식 대한 연구)

  • 박일규;김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394-394
    • /
    • 2001
  • 배출량 산정방법 정의서(환경부, 2000)에서는 점오염원을 제외한 면오염원과 이동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공간할당은 개별 오염원의 배출량을 격자에 배분하여 합산하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TM-좌표상에서 1km x 1km로 구성된 격자에 배출량을 할당하게 된다. 국가 전체로 보면 1km x 1km 격자계는 상세정보이지만 대부분의 대기영향평가의 대상범위는 국지규모이므로, 이 경우 1km x 1km 격자 할당방식으로 구성한 배출정보를 사용할 경우 부정확한 예측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중략)

  • PDF

Mode Analysis on Various Periodic Structures (다양한 격자구조에 대한 모드 해석)

  • Kim, Min-Nyun;Chae, Gyoo-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05a
    • /
    • pp.404-406
    • /
    • 2006
  • 본 논문은 격자구조가 가지는 모드 선택특성과 격자구조의 모양 변화가 산란/투과 모드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형파 모양의 격자가 정현파 모양으로 달라짐에 따른 산란/투과 모드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격자구조의 제작상의 오차를 추적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effect of grid number and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fire source on the critical velocity in a road tunnel fire (도로터널 임계풍속 산정에 격자개수 및 화원의 크기와 위치가 미치는 영향)

  • Lee, Seung-Chul;Kim, Sang-Il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4 no.3
    • /
    • pp.183-195
    • /
    • 2012
  • This study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to estimate critical velocity in tunnel fire under variation of grid number and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fire source using three-dimensional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In the target tunnel, by one-dimensional way, the calculated critical velocity in the tunnel, 2.22 m/s was estimated, if appling hydraulic diameter, instead of the tunnel height. According to six numerical analysis, each grid number has different position, temperature, and CO concentration of back-layering. In the case of the subject, the case 1 with 0.84 million grid was found to be the most ideal.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fire source, after three cases for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it is resulted that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fire source affect the critical velocity, because air velocity distribution,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CO concentration distribution showed different each case.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of heat exchange area and loc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cide appropriate grid number, and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fire source for processing techniques through comparison with actual experiment results and three-dimensional analysis.

Mechanically induced long-period fiber grating devices and EDFA gain flattening (기계적으로 유도된 장주기 광섬유격자 소자와 이를 이용한 EDFA 이득평탄화)

  • 김륜경;조준용;이경식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4 no.1
    • /
    • pp.8-11
    • /
    • 2003
  • For the first time to our knowledge we have developed compact mechanically-induced long-period fiber grating devices which have an excellent tunability in the center wavelength and the depth of the notch. The compactness and ease to tune allow us to include them in other optical devices or systems. The devices were characterized by measuring their transmission spectra with different grating periods and applied pressures. We have also demonstrated the EDFA gain flattening using the mechanically-induced long-period fiber grating devices.

Triangular Grid Homogenization Using Local Improvement Method (국소개선기법을 이용한 삼각격자 균질화)

  • Choi, Hyung-Il;Jun, Sang-Wook;Lee, Dong-Ho;Lee, Do-H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8
    • /
    • pp.1-7
    • /
    • 2005
  • This paper proposes a local improvement method that combines extended topological clean up and optimization-based smoothing for homogenizing triangular grid system. First extended topological clean up procedures are applied to improve the connectivities of grid elements. Then, local optimization-based smoothing is performed for maximizing the distortion metric that measures grid quality. Using the local improvement strategy, we implement the grid homogenizations for two triangular grid examples. It is shown that the suggested algorithm improves the quality of the triangular grids to a great degree in an efficient manner and also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remeshing algorithm in adaptive mesh refinement technique.